• 제목/요약/키워드: the forest activity

검색결과 1,006건 처리시간 0.028초

기능성 활엽수종의 생리활성 (Bioactivities of Several Functional Hardwood Trees)

  • 배영수;함연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2호
    • /
    • pp.66-74
    • /
    • 2000
  • 아까시나무의 목질부와 현사시나무, 물푸레나무 및 느릅나무의 수피를 채취하여 아세톤-물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한 후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및 물 분획으로 분류하고 동결건조하며 생리활성 시험용 추출분말을 조제하였다. 각 수종의 목질부에서 채취된 목재 블록에 대하여 수행된 내후성 시험은 아까시나무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현사시나무가 가장 낮은 내후성을 나타내었다. 목질부 또는 수피부 추출물에 대한 항진균, 항세균 및 항산화 활성 시험이 수행되었으며 항진균 및 항세균에 대한 활성 시험에서는 모든 분획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 시험은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합성 항산화제인 BHT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추출물 분획의 항산화 활성과 비교하였다. 이 시험에서 물푸레나무의 ethylacetate 분획이 BHT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아까시나무는 모든 분획이 다른 수종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Negativ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Sawdust on Mycelium Growth of the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 Choi, Myung-Suk;Yang, Jae-Kyung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0-114
    • /
    • 2005
  • Extracts from sawdust of Pinus densiflora were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Lentinula edodes. It was extracted by hot water and then successively extracted by n-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The yields of the n-hexane-soluble, ethyl acetatesoluble, methanol-soluble and methanol-insoluble fractions of water extracts were 8.2%, 10.6%, 32.0%, and 49.2%,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showed the greates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L. edodes: 41.5% inhibition at 1,000 ppm.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antifungal activities between n-hexane-soluble fraction and methanol-soluble fraction at a concentration of 1,000 ppm. The hot water extracts showed 23.5% of antifungal activity against L. edodes at a concentration of 1000 ppm. The four antifungal compounds were separated from ethyl acetate fraction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정금나무의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과 생리활성 (Functional Bioactive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Vaccinium oldhamii)

  • 채정우;조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7-174
    • /
    • 2022
  • 현대사회에서 산화물질에 의한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합성 항산화제는 다량 섭취 시 유해하다는 연구 등에 기인하여 수요가 감소하고 있으며,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천연물에서 유래된 항산화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세계 10대 장수 식품의 하나로 알려진 블루베리는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도나무속(Vaccinium)의 식물로 항산화를 비롯한 다양한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정금나무(Vaccinium oldhamii)는 블루베리와 같은 속에 속한 낙엽활엽관목으로 본 논문에서는 정금나무의 추출물과 정제물의 효능 분석을 실시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정금나무 열매의 페놀류 화합물의 함량은 항산화 활성 및 항인플루엔자 활성과 비례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블루베리에 비해 높았다. 정금나무 열매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정금나무 가지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과 염증반응에 의한 파골세포의 분화 및 골흡수를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금나무 열매 추출물은 인간 급성 백혈병에 대한 항암 활성을, 정금나무 가지 추출물은 여러 인간 암세포주에서의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정금나무는 블루베리에 비하여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며, 국내에 자생하여 대량 재배를 위한 연구가 용이하고, 상업화 시 해외 사용료를 부담할 필요가 없는 등 블루베리의 대체작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구강암에 대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methanol 자화 방선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ethylotrophic Actinomycetes capable of Producing Anti-oral Cancer Activity)

  • 김정;김선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93-200
    • /
    • 2001
  • An appropriate amount of samples, collected from three each paddy forest, field and riverside soil near Taegu city, was suspended in sterile water and then diluted in order to isolation of antagonistic to oral cancer. The diluted samples were inoculated on separating medium in the routing spreading method. So, seven hundred and eighteen strains were isolated on HV agar and 220 strains were on methanol medium from soil samples. So, during the screening of anti-oral cancer activity from soil, we isolated microorganisms showing powerful antagonistic activity. Among them, No. 78 strain exhibited the most strongly anti-oral cancer activity. Microbi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the methods described in the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and experimental methods of identification of actinomycetes by Hamada et al. As a result, a methylotrophic actinomycetes strain No. 79 was estimated as Amycolatopsis sp. based on taxonomic studies.

  • PDF

A Robust Approach for Human Activity Recognition Using 3-D Body Joint Motion Features with Deep Belief Network

  • Uddin, Md. Zia;Kim, Jaehyo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2호
    • /
    • pp.1118-1133
    • /
    • 2017
  • Computer vision-based human activity recognition (HAR) has become very famous these days due to its applications in various fields such as smart home healthcare for elderly people. A video-based activity recognition system basically has many goals such as to react based on people's behavior that allows the systems to proactively assist them with their tasks. A novel approach is proposed in this work for depth video based human activity recognition using joint-based motion features of depth body shapes and Deep Belief Network (DBN). From depth video, different body parts of human activities are segmented first by means of a trained random forest. The motion features representing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each joint in next frame are extracted. Finally, the features are applied for training a DBN to be used for recognition later. The proposed HAR approach showed superior performance over conventional approaches on private and public datasets, indicating a prominent approach for practical applications in smartly controlled environments.

조경수목(造景樹木)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대한 방어기능(防禦機能)(II) - POD 활성(活性)을 중심으로 - (Resistance Function of Woody Landscape Plants to Air Pollutants(II) - POD Activity -)

  • 김명희;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234-246
    • /
    • 1992
  • 조경수목(造景樹木)들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들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및 저항성(抵抗性)을 규명하기 위해서 야외조사(野外調査)와 실내실험(室內實驗)을 통하여 엽내(葉內) 유황함량(硫黃含量)과 peroxidase(POD) 및 superoxide dismutase(SOD) 함량(含量)을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였다. 은행나무에서는 엽내(葉內) 유황함량(硫黃含量)과 POD 활성간(活性間)에 부(負)의 상관(相關)이 나타났고 잣나무, 소나무 및 양버즘나무에서는 엽내(葉內) 유황함량(硫黃含量)과 POD 활성간(活性間)에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각 수목(樹木)들은 오염물질(汚染物質)이 체내(體內)에 흡수(吸收), 축적(蓄積)됨에 따라 내성기구(耐性機構)로써 POD 같은 효소(酵素) 활성(活性)을 증가시켰다. 특히 잣나무와 양버즘나무의 POD 활성(活性)이 높게 나타났다, $SO_2$ 처리실험에서 고유의 POD 활성(活性)이 낮은 침엽수(針葉樹) 1년생 잎이나 은행나무에서는 $SO_2$ 처리구간에 POD 활성(活性) 변화가 거의 없으나, 고유의 POD 활성(活性)이 높은 스트로브잣나무와 튜립나무에서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POD 활성(活性)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외부 stress에 대한 단기적 POD 활성(活性)은 감수성(感受性)이 큰 수종(樹種)에서 나타나며, 장기적 POD 활성(活性) 증가는 식물체(植物體)의 방어기작(防禦機作)중의 일부로써 나타났으며 수목(樹木)의 SOD와 POD 활성간(活性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은행나무에서만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이고 나머지 수목(樹木)에서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SOD와 POD 활성(活性)은 수종(樹種)마다 특이한 반응(反應)을 나타내며, 대부분의 수종(樹種)에서 SOD와 POD가 동시에 내성(耐性) 기구(機構)에 참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Leukotriene D4 Antagonistic Activity of a Stilbene Derivative Isolated from the Bark of Pinus Koraiensis

  • Song, Hong Keun;Jung, Jihyun;Park, Kwan Ha;Lim, Yoongh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199-201
    • /
    • 2001
  • A phenolic substance was isolated from the bark of Pinus koraiensis. It was identified to be pinostilbenoside. Its anti-$LTD_4$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isolated guinea pig trachea, and its half maximal bronchodilating activity ($EC_{50}$) was $593{\pm}56{\mu}g{\cdot}ml^{-1}$. Because it is not known that stilbene derivatives possess anti-asthmatic activity through $LTD_4$ antagonism, here we report the result.

  • PDF

SMOTE와 Light GBM 기반의 불균형 데이터 개선 기법 (Imbalanced Data Improvement Techniques Based on SMOTE and Light GBM)

  • 한영진;조인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12호
    • /
    • pp.445-452
    • /
    • 2022
  • 디지털 세상에서 불균형 데이터에 대한 클래스 분포는 중요한 부분이며 사이버 보안에 큰 의미를 차지한다. 불균형 데이터의 비정상적인 활동을 찾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모든 트랜잭션의 패턴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패턴이 비정상인 불균형 데이터로 기계학습을 하면 소수 계층에 대한 성능은 무시되고 저하되며 예측 모델은 부정확하게 편향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균형 데이터 세트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식으로 Synthetic Minority Oversampling Technique(SMOTE)와 Light GB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정치를 결합하여 대상 변수를 예측하고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실험 결과는 Logistic Regression, Decision Tree, KNN, Random Forest, XGBoost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정확도, 재현율에서는 성능이 모두 비슷했으나 정밀도에서는 2개의 알고리즘 Random Forest 80.76%, Light GBM 97.16% 성능이 나왔고, F1-score에서는 Random Forest 84.67%, Light GBM 91.96% 성능이 나왔다. 이 실험 결과로 Light GBM은 성능이 5개의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편차없이 비슷하거나 최대 16% 향상됨을 접근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사상균 Microsporum canis 및 Tricho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한 편백정유의 항진균활성물질 탐색 (Investigation of Active Antifungal Compound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Against Dermatophytes, Microsporum canis and Trichophyton Mentagrophytes)

  • 박미진;이수민;곽기섭;정의배;장제원;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72-78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산 편백의 활용도를 높이고 편백정유의 식물성 의약품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피부사상균인 Microsporum canis (KCTC6591),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6077)에 대한 국내산 편백정유의 항진균활성을 평가하고, 활성분획의 주성분을 GC/MS로 확인하였다. 편백정유는 M. canis보다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진균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한천 희석법에서 5,000 ppm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M. canis와 T. mentagrophytes 모두 균사 생장을 못하였다. TLC를 이용한 편백정유 분획에서는 B와 C부분에서 활성이 나타났으며 B와 C의 하부분획에서는 C-2가 강한 항진균 활성을 보였다. 항진균활성을 보이는 C-1의 주성분은 ${\alpha}$-terpineol이고, C-2의 주성분은 elemol, cedrol, eudesmol임을 GC/MS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눈 위 발자국 추적을 통한 담비의 겨울철 생태특성 파악 (The Food Habits and Habitat Use of Yellow-Throated Martens(Martes flavigula) by Snow Tracking in Korean Temperate Forest During the Winter)

  • 우동걸;최태영;권혁수;이상규;이종천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532-54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담비의 겨울철 생태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속리산과 지리산 일대에서 2011년 1월에서부터 2013년 2월까지 3차례의 겨울에 걸쳐 총 13회, 49.8km 구간의 눈 위 담비 발자국을 추적하여 겨울철 먹이습성 및 행동유형과 이동경로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담비의 겨울철 무리구성은 1-6마리로 평균 2.9마리(${\pm}1.6$)가 함께 활동하고 있었으며, 겨울철 먹이는 동물성 9종, 식물성 5종이 발견되어 잡식성으로 나타났다. 담비의 먹이탐색은 땅 위의 작은 구멍이나, 나무뿌리, 나무 더미, 관목림 하층부 등을 수색하면서 이루어지며, 나무를 타고 올라가 나무 구멍이나 비어있는 새 둥지를 수색하는 행동도 확인되었다. 먹이 활동 흔적은 1km당 1.20개, 영역 표시 흔적은 1km당 1.42개가 발견되었으며, 사냥 성공률은 28.3%로 나타났다. 겨울철 담비의 서식지 내 이동과 영역표시는 능선에서 이루어지지만, 먹이활동은 주로 사면과 계곡부 및 산림 가장자리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담비 개체군 보전 및 서식지 관리를 위해서는 주요 능선뿐만 아니라 계곡부와 산록지대 및 산림 가장자리까지의 산림 전반에 대한 보전 및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