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field investigation

검색결과 2,947건 처리시간 0.028초

Introduction of Hydraulic Field Investigation Method to Utilize on the Inhabitation Environment Definition at a River

  • Lee, Hyun-Seok;Kim, Young-Sung;Lee, Geun-Sang;Seo, Jin-Won;Yang, Jae-Rheen;Kwon, Hyung-Joong
    • 생태와환경
    • /
    • 제41권4호
    • /
    • pp.547-553
    • /
    • 2008
  • In recent years, attention on the inhabitation environments of animals and plants which coexist with humans is growing more and more, and relevant research is being activated. In habitats of rivers, a lot of factors are interacting, even among them, some elements especially such hydraulic factors as water velocity and water depth, and such geological shapes as gravels, sand and mud are being considered as primary elements. In this study, various field investigations a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ver habitats of fishes and hydraulic primary elements using high-tech equipments. Furthermore numerical experiments to classify such habitats according to topographical spaces are carried out. In detail, hydraulic field investigations perform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opographical survey, discharge measurement, water level fluctuation monitoring and so on. In numerical experiments, the RMA2 model of the commercial program, Surface-Water Modeling System (SMS), which is widely used in conducting a two-dimensional analysis of the flow behavior of a river is utilized.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field investig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velocity and water depth is obta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velocity and water temperature is identified, too. Finally, using above obtained results, the inhabitation 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Riffle, Glide, Run, Pool, and E.D.Z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velocity and water depth.

스마트폰 기반 자연재난 피해조사 업무 프로세스 개발 (Development of Work Process on Natural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using Smartphones)

  • 최우정;조재웅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10
    • /
    • 2012
  • 우리나라는 매년 태풍, 홍수 등으로 인한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그 피해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연재해가 발생하게 되면 복구를 위한 피해조사를 실시하게 되며, 피해조사내용을 바탕으로 피해규모와 피해금액을 확정하게 된다. 이러한 피해조사는 공공시설의 경우 피해종료 후 7일안에 모두 완료하여야만 한다. 현재 자연재해 피해조사는 현장에서의 조사 업무와 사무실에서의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에 입력하는 업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조사의 업무와 NDMS의 입력 업무가 대부분이 중복되고, 현장조사 자료의 시스템 입력을 위한 부수적인 업무들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업무의 중복과 부수적인 업무로 인하여 업무의 효율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많은 지자체 피해조사 담당 공무원들이 피해조사의 시간과 인력 부족이라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피해조사를 함과 동시에 NDMS에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스마트폰 기반의 피해조사 표준 업무 프로세스를 개발하였으며, 기존 대비 56%의 프로세스가 단축되었다.

Recent Developments in Magnetic Measurements: from Technical Method to Physical Knowledge

  • Basso, V.;Fiorillo, F.;Beatrice, C.;Caprile, A.;Kuepferling, M.;Magni, A.;Sasso, C.P.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8권3호
    • /
    • pp.331-338
    • /
    • 2013
  • We present a few significant advances in methods and concepts of magnetic measurements, aimed both at providing novel routes in the characterization of hard and soft magnetic materials and at improving our basic knowledge of the magnetization process. We discuss, in particular, investigation methods and experimental arrangements that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times for: 1) Hysteresis loop determination in extra-hard magnets by means of Pulsed Field Magnetometry; 2) Broadband observation of domain wall dynamics by highspeed stroboscopical Kerr techniques; 3) Entropy measurements in magnetocaloric materials by calorimetry in magnetic field. While pertaining to somewhat independent fields of investigation, all these measuring techniques have in common a solid approach to the underlying physical phenomenology and have a potential for further developments.

초동수사역량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Measures of First Investigation Capability)

  • 박형식;박호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6_2호
    • /
    • pp.83-88
    • /
    • 2014
  • 초동수사란 사건발생의 초기에 행하는 긴급한 수사 활동이다. 초동수사가 잘못되면 사건이 영원히 미궁에 빠지거나 많은 증거가 사라져버리게 된다. 따라서 초동수사가 잘못되면 많은 인력과 예산을 낭비하거나 또 다른 피해자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초동수사는 범죄현장을 중심으로 한 수사와 피해자중심수사 그리고 피해품 중심 수사 등이 있다. 현장중심 수사는 범죄현장주변에서 유류품의 발견, 범행일시의 확정, 참고인의 발견, 지리감 등을 파악하는 수사 활동이다. 피해자 중심수사는 피해자의 인적사항, 피해자 및 가족의 생활상태, 재산상태, 교우관계, 가정 내부사정 등을 파악하여 범인을 검거하는 수사방법이다. 피해품 중심수사는 범죄피해품의 소재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범인을 검거하는 방법이다. 경찰의 초동수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초동수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FTX(현장훈련)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초동수사매뉴얼을 제작하여 활용하여야 하며, 사건분석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수사기법의 개발과 국민의 협조가 필요하다. 앞으로는 사건에 대한 초동수사부터 철저히 하여 국민에게 믿음을 줄 수 있는 경찰이 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 화재조사 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ational Fire Investigation Data)

  • 김인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05-109
    • /
    • 2006
  • 소방서는 재난관리의 대응기관으로서 각종 현장에 출동하여 현장상황에 대한 많은 경험과 자료를 축적하여 화재예방 및 진압활동 등에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의 기록, 분석, 정보관리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항을 보완하기 위하여 소방방재청에서는 화재조사팀을 주축으로 "국가 화재조사분류체계"를 혁신적으로 개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서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존의 화재조사 과정과 자료 취득 및 분석 과정을 살펴보고, 활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국가 화재조사분류체계"의 운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화재조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Fire Investigation System)

  • 고기봉;이시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01-110
    • /
    • 2009
  • 현재 우리나라의 화재조사 제도는 소방, 경찰 등 공적영역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제조물 하자에 따른 화재발생 시 화재피해 이재민들의 권익보호를 위한 '민간 화재조사관 제도'와 같은 사적영역의 화재조사 제도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조사 관련 법률이 각 기관별로 분산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유사기관간의 중복조사로 인한 민원발생, 화재조사 현장에서 타 기관을 배제하는 과잉대응, 화재조사 조직 및 인력의 중복운영으로 비효율적인 행정력 낭비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화재조사제도에 관한 전반적인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공적영역 및 사적영역에서 화재조사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Near Field 지진의 특징과 구조응답에 대한 영향 (Characteristics of Near Field Earthquakes and its effect on Seismic demands)

  • 배미혜;권오성;한상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8-213
    • /
    • 2002
  • Near field ground motions contain distinct, large amplitude pulses in both velocity and displacement.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near filed earthquakes and their effects on seismic demands. For this purpose 20 sets of near field ground motion and 20 sets of far filed ground motion are compared with respect to Linear Elastic Response Spectrum(LERS), Response Modification Factor(R), Inelastic Response Spectrum(IRS), and performance point of Capacity Spectum Method(CSM).

  • PDF

한국의 전자탐사 현황 (Electromagnetic Survey in Korea)

  • 조동행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4호
    • /
    • pp.427-440
    • /
    • 2006
  • 다른 물리탐사법과는 달리, 전자탐사의 실질적인 국내 활용과 연구는 1980년대부터이다. 이렇게 늦게나마 시작하게 된 것은 1970년대 미국 유학한 네 명의 연구자들의 영향이고, 이 들과의 공동연구와 유대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그 동안 국내 연구진이 이룬 성과는 괄목할 만 하다. 이제 우리는 MT와 CSAMT탐사, 지자기수직탐사, 소형루프탐사, VLF탐사, GPR탐사, 시간영역 전자탐사 등 전 분야에 걸쳐 국제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게 되었고 신기술인 고주파수 전자탐사, 시간영역 전자탐사, 역산기법 분야에서 창의 있는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활용 분야도 지하자원탐사에서 지반조사, 환경조사, 고고학조사, 구조물 결함조사, 땅굴조사 등으로 엄청나게 확장되었다. 아직도 자료해석이 난삽하기 이를 데 없는 전자탐사법을 한 단계 높일 결정적인 돌파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서 나올 날이 멀지 않을 것이다.

폐기물매립지 주변 침출수 누출조사 (Investigation on Leachate Leakage Around Waste Landfill)

  • 정하익;김상근;정길수;진현식;조동행;이창열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69-72
    • /
    • 1999
  • Now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the field of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projects where geotechnical engineering has been combined with environmental concerns. Many of these projects involve some investigation on leachate flume in the waste landfill. In this study, investigation on leachate around the waste landfill was carried out to detect the leachate leaking area. Many techniques such as geophysical, drilling and sampling method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the concentration of leachate and the point of leachate leaking around landfill were analysed.

  • PDF

석회석 광산 지역의 지반침하 원인 규명을 위한 현장조사와 지반 안정성 분석 사례 (A Case Study of Site Investigation and Ground Stability Analysis for Diagnosis of Subsidence Occurrence in Limestone Mine)

  • 이승중;김병렬;최성웅;오석훈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4호
    • /
    • pp.332-340
    • /
    • 2015
  • 광산지역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는 인명과 지표시설물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지반침하 발생지역에 대한 일련의 현장조사와 지반안정성 분석은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원군에 위치한 석회석 광산의 일부 지점에서 발생한 지반침하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와 지반안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사지역 암반의 공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전기비저항 탐사를 통해 지표 부근 연약대의 분포양상을 파악하였으며, 이 결과들을 토대로 침하원인 규명을 위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본 광산지역에서 발생된 지반침하는 석회암층에서 발달된 용식공동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