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endemic plants to Korea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25초

금성산(충남·금산)의 관속식물상 (A Floristic Study of Geumseongsan Mt. (Geumsan-gun·Chungnam) in Korea)

  • 장경숙;김중현;이병윤;황경록;류수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89-506
    • /
    • 2017
  • 본 연구는 금성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5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총 30회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관속식물은 112과 358속 417종 8아종 48변종 8품종 2교잡종으로 총 48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발견된 483분류군 중에서 국립생물자원관 지정 적색목록식물이 3분류군, 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이 8분류군, 한반도 고유종이 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29분류군, 귀화식물은 42분류군, 귀화율은 8.6%이었다. 관속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이 190분류군(39.3%), 목초용이 162분류군(33.5%), 약용이 154분류군(31.8%), 관상용이 58분류군(12.0%), 목재용이 14분류군(2.8%), 공업용이 2분류군(0.4%) 그리고 섬유용이 5분류군(1.0%)으로 나타났다.

대흑산도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Daeheuksando in Korea)

  • 장창석;양선규;장현도;이로영;박민수;김기홍;오병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18-533
    • /
    • 2014
  • 대흑산도 지역(북위 $34^{\circ}37^{\prime}{\sim}34^{\circ}42^{\prime}$, 동경 $125^{\circ}23^{\prime}{\sim}125^{\circ}38^{\prime}$)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13과 316속 446종 4아종 43변종 3품종의 총 496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124분류군이었다. 대흑산도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7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6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47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특히 특산식물 중 떡조팝나무, 흑산도비비추, 홍도원추리, 홍도서덜취 등 4분류군은 한반도에서는 대흑산도를 포함하는 흑산면 도서지역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DMZ 접경지역 인근 고령산·개명산(파주시, 경기도) 일대의 식물상 (Flora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Paju-si, Gyeonggi-do) in DMZ Area of Korea)

  • 김상준;신현탁;안종빈;허태임;권영한;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4-280
    • /
    • 2016
  • 본 연구는 고령산·개명산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79속 391종 4아종 49변종 6품종으로 총 45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왜박주가리, 쥐방울덩굴, 태백제비꽃 등 총 5분류군, 특산식물은 진범,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등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3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7.7%, 10.9%로 나타났다. 조사된 450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186분류군(27%), 목초용 173분류군(25%), 약용 149분류군(22%), 관상용 51분류군(7%), 목재용 20분류군(3%), 염료용 13분류군(2%), 섬유용 4분류군(1%), 공업용 5분류군(1%)그리고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92분류군(13%)으로 나타났다.

조계산의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Jogyesan Mt.)

  • 선은미;최승만;김별아;손현덕;홍행화;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31-356
    • /
    • 2018
  •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조계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총 16회(20일)에 걸친 현지조사에서 확보된 표본과 전남대 생물학과 표본실(CNU)의 수장표본에 근거하여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조계산에서 115과 334속 521종 8아종 45변종 4품종 총 57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한국특산식물로는 지리대사초, 매미꽃, 노각나무 등 18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환경부지정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으로는 진퍼리잔대를 비롯한 V등급종 2분류군, 제주지네고사리, 털조장나무, 천마, 히어리 등 IV등급종 6분류군, III등급종인 약난초 등 16분류군, II등급종으로 금붓꽃 등 25분류군, I등급종으로 사다리고사리 등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t. Danseok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권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07-521
    • /
    • 2017
  •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함과 아울러 자연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단석산지구를 대상으로 2011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97과 331속 489종 4아종 48변종 11품종으로 총 5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은 1분류군, IV등급은 5분류군, III등급은 8분류군, II등급은 12분류군, I등급은 24분류군 등 총 5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백두대간 만복대.고리봉.수정봉 일대의 관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anbokdae, Goribong and Suieongbong in the Baekdudaegan)

  • 임동옥;김용식;박양규;유윤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7-403
    • /
    • 2003
  • 여원재에서 만복대 사이 백두대간에 해당되는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104과 305속 439종 60변종 3품종 총 502종류로 확인되었다. 산림청이 지정한 회귀 및 멸종위기종은 구름송이풀, 구상나무 금마타리, 께묵, 눈향나무(식), 땅나리. 목련(식). 산작약. 뻐꾹나리. 금강제비꽃의 총 10종류와 환경부의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식물종은 보춘화 1종류가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 종은 개나리(식), 구상나무, 금마타리, 꽃마리, 나비나물, 노각나무, 말채나무, 병꽃나무, 분취, 뻐꾹나리, 일월비비추, 할미밀망 등의 총 24종류가 확인되 었다.

외나로도의 관속식물상 (Flora of vascular plants on Oenarodo Island)

  • 황승현;라은화;이진웅;안진갑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79-197
    • /
    • 2019
  • 전라남도 고흥군에 위치하는 외나로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2015년 3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3년 동안 총 21회의 현지조사에서 확보된 표본에 근거하여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고, 국립생물자원관 표본관(KB)과 대전대 생물학과 표본실(TUT)에 수장하였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은 122과 364속 538종 6아종 41변종 2품종의 총 587분류군이다. 멸종위기야생생물로는 혹난초, 지네발란, 대흥란, 석곡 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한반도고유종은 변산바람꽃, 해변싸리, 거제물봉선 등 14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 4분류군, IV등급 4분류군, III등급 47분류군, II등급 18분류군, I등급 64분류군으로 총 13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적색식물목록종으로는 위급종(critically endangered) 꽃꿩의다리를 포함하여1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로는 가시상추, 물참새피 등 4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국립 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National Yonghyeon Natural Recreation Forest, South Korea)

  • 변준기;신재권;정수영;김동갑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9-239
    • /
    • 2017
  • 본 연구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일대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2014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 95과 280속 398종 3아종 50변종 9품종의 총 460분류군이며, 이 중 한국 특산식물은 총 6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V등급 7분류군, III등급 7분류군, II등급 12분류군, I등급에는 17분류군 등 총 43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3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8.5%로 나타났다. 조사된 470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189분류군(41.1%), 약용 155분류군(33.7%), 목초용 177분류군(38.5%), 관상용 52분류군(11.3%), 목재용 17분류군(3.7%), 섬유용 12분류군(2.6%), 공업용 3분류군(0.7%)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은 식생은 양호하나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훼손이 일어나고 있으며,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관속식물상과 식생 동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친화적 골프장 조성을 위한 식생입지환경별 생태적 특성과 식재방안 - 경상북도 청도군을 중심으로 -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lanting Plan by Location Enviornment of Vegetation for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Golf Course - Focused on Cheongdo-gun, Gyeongsangbuk-do -)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75-90
    • /
    • 2008
  • The golf course has many problems that are a pollution of river, a extinction of habitat by destructing a forest and a simplication of species composi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construct-reserved site of golf course. The results were as follow.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42 taxa; 86 families, 231 genera, 295 species, 42 varieties and 5 forma. In the results by the location environments of vegetation, Salix caprea community and wetland species like Persicaria thunbergii were appeared in the swamp. Especially, S. caprea will be made use of promoting a landscape. In the stream, Stephanandra incisa community has a functions like an ecological axis and a corridor of wild animals. The planting technique will be applied to using Atractylodes japonica and Ainsliaea acerifolia in the lower part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Becaus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Convallaria keiskei grew by layer in Q. variabilis community, this will be made use of natural vegetation model. The rare plants were 2 taxa; Aristolochia contorta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To preserve their community, we will prohibit a development and remove a threatening factor. The endemic plants were 4 taxa; Salix caprea, Clematis trichotma,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9 taxa; Rumex crispus, Bildedykia dumetora and so on. To establish the quantitative management plan, we will obtain a ecological information about a naturalized plants in accumulating by season, community and land use pattern.

남한강 일대의 관속식물상 (Vascular Flora of Namhan River)

  • 유성태;이명훈;이유미;장계선;김병도;신현탁;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63-490
    • /
    • 2013
  • 본 연구는 남한강 유역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기간은 2012년 3월부터 동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표본에 의한 관속식물은 86과 250속 383종 2아종 39변종 6품종 등 총 4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낙지다리, 층층둥굴레, 흑삼릉 등 총 13분류군, 특산식물은 키버들, 할미밀망, 애기감둥사초 등 총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56분류군,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은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13.5%, 18.1%로 나타났다. 조사된 430분류군의 유용도는 목초용 자원식물이 174분류군(40.5%), 식용 141분류군(32.8%), 약용 112분류군(26.0%), 관상용 48분류군(11.2%), 염료용 11분류군(2.6%), 섬유용 7분류군(1.6%), 목재용 4분류군(0.9%), 공업용 2분류군(0.5%) 그리고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109분류군(25.4%)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