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elderly not living alon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경기도 일부 노인의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의 영양상태 평가 및 영양관리 현황 (Nutritional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Long-term Care Insurance's Home Visit Care Service)

  • 윤미옥;문현경;김서연;김복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2-153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nutritional management and nutritional care demands of home-visit care service and the nutritional status of serviced elderly.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5^{th}$ to $21^{st}$ of January, 2011 among 37 In-Home Service institutions. The number of elderly surveyed by 143 care helpers was 281. Analysis was performed for 203 subjects (male: 44, female: 159).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50 to 99 years. The grading by long-term care insuranceshowed 18,2% on level 1 and 2, and 81.8% on level 3. For the disease treatment, the proportion of implementing diet treatment turned out to be very low. The proportion of subjects living with their children was 45.3%, and living alone was 29.1%. The proportion of home-visit care among types of In-Home Service was 70%. Subjects who needed additional necessary diet management service turned out to be 40.9%. Diet management was the most necessary services from all levels. MNA (specifiy MNA) scores were significantly (p < 0.001) associated with BMI, mid-arm circumference (MAC), calf circumference (CC), intake problems, and weight loss during the last 3 months. For studied elderly, 45.3% were malnourished, and 46.8% were at the risk of malnutrition by MNA sc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urvey, the nutritional care was not systematic on the In-Home Servic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disease was much better than the treat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e conclude that nutrition management is necessary for the elderly.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in home care services, systematic nutrition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고령자 맞춤 능동적 상호작용의 AI스피커 개발 (Development of AI Speaker with Active Interaction Customized for the Elderly)

  • 정재헌;장지훈;문미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23-1230
    • /
    • 2020
  •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노인 인구가 늘어나고,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AI스피커는 일상적으로 사람과 사람 간에 이루어지는 대화보다는 사용자의 명령어에 반응하는 형태이다. 독거노인이 먼저 얘기를 하지 않으면 AI스피커의 사용성은 떨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령자 맞춤 능동적 상호작용의 AI스피커 개발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본 스피커는 독거노인의 움직임과 주변 상황을 파악하여 능동적으로 말을 걸어줄 수 있으며, 대화의 내용에 맞는 감정표현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AI스피커를 의인화하게 되어 친근감을 느낄 수 있고 감성 대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외로움을 달랠 수 있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고령자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의 Smart Aging 시스템의 연구 (A Study on Smart Aging System for the Elderly based on Metaverse)

  • 조면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61-268
    • /
    • 2022
  • 최근 급격한 고령화, 핵가족화 현상에 따라 외로움과 우울증으로 고통 받는 독거노인 인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고령자에게 주거환경과 건강상태에 따라 IT의 도움으로 최적의 고령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smart aging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의학의 발달로 건강한 노년층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 속에서 활동적으로 생활하고자 하는 고령자뿐 아니라, 시설에서의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에 대해서도 IoT, AI(인공지능) 기술 및 메타버스 환경을 십분 활용하여 선진적인 고령자 맞춤형 지원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안시스템은 병원(요양) 시설 및 재택으로 외로움으로 고통 받는 고령자에게 주거환경과 건강상태에 맞추어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 사회적 연결(social connection)을 제공하여 인간적인 만족감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급변하는 사회 환경 변화에 AI와 메타버스 기술을 접목하고 주거환경과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smart aging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미래 지향적 노인복지정책의 새로운 길을 제시할 수 있다.

전국 법정복지대상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치매와의 상관관계 (A Study on ADL and Dementia of Aged Person with Medicaid in Korea)

  • 유호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9-14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and dementia among the elderly people who have Medicaid. The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a nationwide randomization sampling among the population of elderly families who have Medicaid.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month of October, 1999 and total sample was 1,027 elderly people. There were major findings according to the studies. In the results of the ADL assessment most of elderly people were within the 24 to 45 point range. Also, 63.3% of elderly people who made 45 points do not need help when performing dail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15 areas of activity components, and 4.9% of these people couldn't do their daily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Dementia assessment were 70.6% of elderly people were in the normal range, 21.7% have a mild case, and 2.8% have severe case of dementia. These were found by using instruments for mental states, which simplified to items of detection of early dementia. In the result of these test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L and degree of dementia with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the author recommend to strengthen function and organization of public health like a visiting nurse center for elderly people who are over 65 years old.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apply early de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dementia in the community continuously and cost-effectively, especially for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and are vulnerable elderly as our priority.

  • PDF

재가노인의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y Residents)

  • 김은주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6권2호
    • /
    • pp.122-130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which is one of the typical symptoms among the demented elderly. Methods: The number of subjects was 417 elderly residents aged over 65 yr in a community. A cognitive function and a depression level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and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Alcohol abuse was measured using the CAGE instrument.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The prevalence rates of cognitive impairment of the sample was 43.5%. Sex, age, educational level, perceived health and alcohol abuse were strong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However, the effects of smoking, living alone, depression, family history in dementia and stroke were not strong. Conclusion: Risk for cognitive impairment were increased by being female and older than 70 yr, having low education, perceiving health as poor, and drinking alcohol abusively. Therefore, a reinforcement system, continuous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proper programs should be preformed in order to prevent cognitive impairment.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시간과 공간적 맥락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Daily Life Experiences of Korean Elderly Welfare Recipients: Focused on Time and Space on Daily lives)

  • 주경희;김희주;김세원;오혜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00-21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을 시간과 공간의 맥락으로 재구성하여 이러한 일상의 맥락들이 수급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1명의 수급노인을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적 맥락에서의 일상경험은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홀로 견뎌내는 시간 속에서 엇갈리는 복지 서비스"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고, 세부주제로 '반복된 하루의 시작: 공적 서비스 혜택 뒤의 무료한 생활', '식사시간: 억지로 치루는 일상 의식', '운영 종료되는 복지 서비스와 잠 못 이루는 정신적 고통의 밤', '복지서비스 중단과 혼자 보내는 휴일', '수급비 감소와 생활비 부족으로 움츠러드는 추운 겨울', '힘든 삶을 버틸 수 있게 하는 일상의 자원들'이 나타났다. 공간적 맥락에서의 일상경험은 "단절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제한된 복지 서비스와 상호작용"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주제로 '나를 더 아프게 하는 집', '무료한 일상을 벗어나기 위한 최소한의 피난처', '건강한 노인들에게만 유익한 복지기관',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차이 속 공통된 복지서비스와 사회 관계망의 빈약함', '아픈 몸, 제한적 치료만 받을 수 있는 의료서비스', '높은 문턱의 행정기관', '수급서비스 제도 안에서의 양가감정의 생활'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제주도 노인들의 치매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Dementia in Elderly People in Jeju Island)

  • 홍성철;이창인;고금자;강문정;현인숙;정민;주민선;채수경;이혜숙;박은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1-237
    • /
    • 2003
  • As the population ages,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including functional disorders and cognitive impairment, have become som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issu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rate of prevalence and factors related to dementia among the elderly in Jeju Province. 2405 elderly in Jeju Province were interviewed,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quality of life, and MMSE-K. Prevalence of dementia was 9.4%(11.7% of females, 4.1% of males). Factors related to dementia, analyz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age, working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In community health care for the elderly, factors relating to dementia have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community health car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elderly who: need care but live alone; lack social support; have a low standard of living; believe they are not in a good state of health; or whose life satisfaction is low.

고령화에 따른 도시형 노인 시니어 멀티 케어존 실효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Urban Senior Multi-Carezon for the Elderly)

  • 이종식
    •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3-286
    • /
    • 2018
  •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다양한 인구정책을 펴고 있지만 인구 통계학적 결과에 따르면 급속히 고령화가 이어지고 있고 앞으로도 더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많은 노인들은 열악한 경제적인 여건과 체계적이지 못한 건강관리에 노출이 되어있고 대 부분 정신적인 질환과 만성질환에 항상 시달리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기존에 도시의 노인들은 대가족 구조에서 소가족으로 바뀌면서 가족의 소외감과 혼자 거주하는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현재 혼자 주거하는 노인들의 건강관리는 더욱 더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또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매우 빈약한 관리아래 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노년기를 거쳐야 되며 우리는 노년의 과정을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보내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의 기본적인 연령이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복지정책과 의료정책 등 여러 측면에서 고려하여야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100명의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경제학적인 상황과 신체적인 건강 상태와 정신적인 건강상태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심각한 소외감과 고독감 그리고 정서적인 상황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최신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일명 "도시형 시니어 멀티 케어존"이 실제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는 노인의 맞춤형 건강관리를 통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을 찾고자 연구하였다.

노인요양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 연구 - 부산지역 12개 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Nursing Homes - Focused on the 12 Nursing Homes in Busan -)

  • 박진경;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3-13
    • /
    • 2011
  • The Korean society is recently becoming the aging society at an unprecedentedly rapid speed. Following the increase of the older population, their needs for special care is also rocketing. However, due to the increase of working women, nuclear-families, and old persons living alone, new facilities for the elderly such as nursing home are urgently needed. Thus, many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are also rapidly providing. It is needed to examine if such nursing homes are properly designed for the dependent elderly to l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field observation using a checking sheet with measuring and taking photograph. The subjects were 12 nursing homes which gave positive responses for walking through their facilities. The items for observing and measuring were made based on the regulation on improving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the pregnant. Whether each item fits the regulation or not was examined. The 9 areas in each nursing home were examined : entrance, hallway and corridor, stair, elevator, ramp, bed room, shower and locker room, bathroom, and rest room. It was founded that many accessible-related items were met. However, many supportive-related items such as ones for the visual disabled, and many supportive-related and accessible-related ones for bathroom, shower room, and restroom were unmet.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t was founded that the tool for evaluating the design of nursing home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should be developed.

서울 일부지역 여자 노인들의 가구유형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 및 식사의 질 평가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of elderly women in Seoul area)

  • 이연주;권민경;백희준;이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3호
    • /
    • pp.277-288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 시내 복지관 두 곳을 방문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신체계측과 설문조사, 24시간회상법을 통한 영양섭취 상태를 조사하고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여자노인을 독거노인군 (LA군), 부부노인군 (LS군), 자녀동거 노인군 (LC군)으로 세 가지 가구 유형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인 특성에서 여자노인의 나이는 LA군이 75세로 가장 높았고 LS군이 70세로 가장 낮았다 (p < 0.001). WHR에서 LC군이 0.91로 0.89인 LA군과 LS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49). 월수입은 LS군이 185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LA군이 67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p < 0.001). 질병유병률에서는 여자노인 80% 정도가 1가지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심혈관계 질환 유병율이 가장 높았다. 2) 식생활과 생활습관면에서 가구유형별로 흡연, 음주, 운동유무, 영양제 섭취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1일 영양소 섭취량에서 열량, 식물성 단백질, 지질, 칼슘, 인, 칼륨, 셀레늄의 섭취량에서 가구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또한 비타민의 섭취량에서는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B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 < 0.05), LA군의 섭취량이 LS군 또는 LC군에 비해 영양소의 섭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과 월 수입을 보정한 후에는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칼슘, 비타민 D, $B_{12}$,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5). 영양질적지수(INQ)를 보면 칼슘, 비타민 D, 비타민 $B_2$에서 1 미만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타민 $B_{12}$의 INQ 값은 연령과 월 수입을 보정한 후에도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5). 4) 에너지 섭취율을 비교한 결과 에너지필요추정량보다 적게 섭취한 대상자가 LA군이 가장 많았다 (p < 0.05). 탄수화물에서는 가구유형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에너지적정비율보다 높게 섭취하는 대상자 분율이 LA군에서 가장 높아서 탄수화물 의존도가 가장 높았다. 지질의 경우 LA군의 50%가 에너지적정비율에 못 미치는 양을 섭취하였고 단백질은 세군 모두 에너지적정비율만큼 섭취하였다. 5) 미량영양소 섭취 상태를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을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LA군에서 비타민 $B_2$, 나이아신, 비타민 $B_6$, $B_{12}$의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 미만 섭취 분율이 가장 높았고 LS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 < 0.05). 6) 여자노인의 1일 식품군별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과일류, 생선류, 해조류의 섭취량은 연령과 월 수입을 보정한 후에도 가구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 < 0.05), 과일류는 LS군에서 해조류는 LA군에서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노인들의 식품군 점수를 평가한 KDDS를 살펴보면 여자 노인의 경우 다섯가지 주요 식품군이 모두 포함된 식사 (KDDS = 5)를 하는 대상자는 LS군이 가장 많았고, 3가지 이하의 식품군을 섭취하는 식사 (KDDS = 0~3)를 하는 여자 노인은 LC군과 LA군에서 많았다. (p = 0.048). 노인들의 식품군별 섭취패턴을 보면 우유 및 유제품 군을 부족하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식품섭취는 가족 구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러나 월 평균 수입도 여성 노인들의 식품 및 영양섭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거노인이 부부노인과 자녀동거 노인에 비해 영양소 섭취율이 낮았고 식품군별 다양성 점수가 낮았다. 영양섭취의 취약계층인 독거노인을 위한 영양교육 및 영양지원을 통해 식습관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