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elderly not living alon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1초

차세대 노인의 노후생활 형태 인식에 관한 연구 (Elderly people's understanding level of their life style in next generation)

  • 김희정;정연강;권영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11-22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olution to effectively nurse elderly people in the aging society of next generation by analyzing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problem of elderly people in the future society, their preferred life style, and their understanding level of an asylum for the aged.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questioning 316 persons(257 visitors at C University hospital and 59 residents in Chun - Ra Nam Do) from December 1996 to March 199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ssumption that an individual's preferred life style at old age depends on his /her understanding level of the social problem of elderly people was verified ($X^2=9.75$, p<0.00). The assumption that one's understanding of an asylum for the aged depends on his /her understanding level of the social problem of elderly people was verified ($X^2=4.40$, p<0.05). The assumption that one's understanding of an asylum for the aged depends on his/her pre-ferred life style at old age was verified($X^2=34.51$, p<0.01). Among those who want to live together with children when they get old,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their conception were noted: Elderly people who has lost his /her wife /husband should marry again(p<0.01). Children should take care of their parents(p<0.01). Children should live with their parents(p<0.01), A desirable living style for an elderly people. An undesirable living style for an elderly people. Among those who want to live alone when they get old, the following differences were observed: It is okay for children to live separately from their parents as long as they provide financial support(p<0.01). Any child,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of sex or the order of birth among siblings, can take care of his/her parents(p<0.05), It is desirable for an elderly people to live alone (p<0.01). It is undesirable for an elderly people to live in an asylum for the aged(p<0.05). It was verified that those who view an asylum for the aged in a negative way believe that children should take care of their parents. Also, it was verified that those who view an asylum for the aged in a positive way believe that children should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their parents even though they do not live together(p<0.01). Regardless of the subjects' opinions on seriousness of the social problem of elderly people, the assumption that any child,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of sex or the order of birth among siblings, can take care of his/her parents was verified(p<0.01) (p<0.05). Regardless of the subjects' view on asylum for the aged, the assumption that it is undesirable place for an elderly people to live was verified (p<0.01). The assumption that one's understanding of an asylum for the aged depends on the distinction of sex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religion was verified(t=-2.82, p<0.01). The assumption that an individual's preferred life style at old age depends on the distinction of sex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religion was verified(t=l.68, p<0.l).

  • PDF

가족동거여부가 치과진료 수진률에 미치는 영향 :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이용 (The Effect of Family Cohabitating on Dental Examination Rate : Use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정호진;김경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1-298
    • /
    • 2023
  • Purpose : Although Korea's health insurance system and access to medical care are well establishe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rate of non-fulfillment of dental treatment is high. Medical use rates can be affected by economic characteristics, individual heatlh condtions, health concerns, and health behaviors.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iddle-aged elderly people's family living together on the dental examination rate a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and poicies to promote oral health. Methods : Raw data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2018)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SPSS 21.0 Version (IBM, United State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family types accro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ore women are (p<.001), the higther the age (p<.001), the lower the hosehold income level (p<.001), the low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p<.001), the more people who live in Eup-Myeon (p<.001) It was fouend that the rate of living alone was high. The dental examination rat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related to age (p<.001), income (p<.001), and educational background (p<.001), and the higher the examination rate was in the same (p<.001), and the higher the family living together (p<.001). Factors influencing whether or not dental treatment was not performed were in the following order: household income (p<.001), age (p=.001), and family type (p=.017). Conclusion :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hip and dental examination rates, and measures such a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articipatory programs to improve public oral health by resolving medical inequality and enhancing health equity, and it is believed that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the operation of education and programs for professionals are necessary.

국내$\cdot$외 실버 브랜드에서의 패션 트렌드 반영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about Fashion Trend Reflection in a Dmestic and foreign Silver Brand)

  • 정삼호
    • 복식
    • /
    • 제55권2호
    • /
    • pp.1-17
    • /
    • 2005
  • The realistic plan to establish a silver market in the clothing industries has not taken concrete shape, although the interest in the establishment of a silver market targeting the aged as a new custom group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in the 20th century has led to an extension of lift an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The specialized business which produces and sells the clothing for the elderly is of small number and most of the clothes for the elderly are manufactured and sold by the companies for women's clothing in which change the size or length of the original works rather than reflect the bodily features of the elderl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domestic brands showed the coordinated concept of a suit of jacket and slacks or skirts while the clothes were formed with a variety of coordinations centering around single article in the U.S brand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centering around cotton and silk etc. and in the use of embroidery, lace and decorative detail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knit brands of knit suit style in Korea were formed with the items focused on pull over and cardigan twin set, while the U.S brands were mainly formed with the design of knit suit style. The domestic knit brands were mostly developed with complicated patterns and gorgeous colors, while most of the U.S. brands were presenting a single or two tone color suit style and evening one-piece dress with a simple and modern style. The sporty casual brands of sporty casual style in Korea had a variety of colors and patterns focused on function and comfort for diverse leisure activities and daily life, while the U.S brands were established to present a variety of styles with the items of single article because they had a separate brand for casual even though it was not a exclusive brand for the elderly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e presentation of the design idea considering the bodily shape of the elderly compared to the ready-to-wear considering the size alon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bodice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nge of the elderly women, analyzing the design of madam brand and the style of the ready-to-wear, researching the general circumstances of the brand for the elderly women, and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the elderly clothing market.

노인과 청장년의 주관적 건강에 관한 비교 연구 (Determinant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Healthy City Wonju, Republic of Korea)

  • Nam, Eun-Woo;Ikeda, Nayu;Green, Jackie;Moon, Ji-Young;Park, Myung-Bae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5-77
    • /
    • 2008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연관된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것들이 청장년층 들과는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조사대상은 원주시에 거주하는 노인으로 하여, 65세 이상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 결정요인과 $19{\sim}64$세 인구집단의 주관적 건강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두 집단에 대하여 각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이들을 비교하였다. 응답자는 청장년층이 1,685명, 노인이 188명 이다. 주관적 건강은 0에서부터 100까지 10점 단위로 표시하여, 11개의 카테고리로 나뉘어진자 모양의 그림을 제시하여 자신의 건강에 대하여 점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원주시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은 '가구소득', '교육', '배우자 유무', '적절한 취침', '불건강에 영향을 받는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이동능력', '불안', '우울'과 관련이 있었다. 노인들에게서 유의한 변수는 '가구소득', '적절한 취침', '사회활동 참여'였고, 반면, 청장년층의 주관적 건강은 '농촌거주', '규칙적인 운동', '혼자거주', '아침식사 결식'과 같은 요소들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아침식사 결식'은 노인의 주관적 건강에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원주시 노인들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노인들의 특별한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곤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의 강화와 같은 프로그램들을 건강도시사업에 도입 운영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의 아침식사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breakfast in elderly)

  • 김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668-4678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의 아침식사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65세 이상 40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SAS 9.3 version을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를 고려한 SAS SURVEY procedure로 t-test, 카이스퀘어,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노인의 아침 결식률은 4.7%였고 여성, 혼자 사는 노인에게서 아침결식률이 높았으며 음주, BMI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아침식사를 하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0.85, 아침을 결식하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0.81이었다. 식사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침식사를 하는 노인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 중 통증/불편감, 불안/우울 영역에서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식사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을 대상으로 아침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개선이 필요하며 식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한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지역사회 거주 여성노인들의 근감소증 실태와 일상생활능력, 영양상태, 및 우울과의 관련성 연구 (Prevalence of sarcopenia in association with ADL,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women)

  • 신영희;홍영혜;김혜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26-134
    • /
    • 2016
  • 본 단면 연구의 조사 목적은 지역사회거주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근감소증 실태와 일상생활능력, 영양상태, 및 우울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자는 2014년 5월~7월 동안 B와 D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여자 노인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신체계측(anthropometric measures), Mini-nutritional assessment instrument (MNA). ADL, IADL, MMSE, SGDS-K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평균 연령은 74.2세이었고, 37.8%가 근감소증이 있었으며, 대부분 도움없이 독립적인 일상생활 능력을 가지고 있었고, 15.6%가 영양부실 위험이 있었으며, 12.2%가 우울증상을 나타내었다. 근감소증이 있는 노인들은 없는 노인들보다 수입과 교육수준이 낮았고, 혼자 사는 노인이 더 많았으며, 동반질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감소증이 있는 노인은 없는 노인들보다 영양상태가 불량하고, 우울점수가 높았으나 일상생활능력에는 차이가 없었다. 근감소증 예측요인은 종아리와 허벅지 둘레, 인지기능이었다. 결론적으로 65세 이상 지역사회거주 여성노인들은 종아리둘레, 허벅지둘레, 및 인지기능이 낮을 때 근감소증 위험이 높을 것이며, 이들 세 요인은 앞으로 근감소증의 조기발견을 위한 간이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주거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ving Arrangement of Older Korean Noncitizens in the United States)

  • 이금룡
    • 한국인구학
    • /
    • 제20권2호
    • /
    • pp.99-134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주거형태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 미국 센서스 데이터인 Public Use Microdata(Samples PUMS)의 8% sub-sample을 이용하였다. 주거형태에 영향을 주는 주요변인들로 동화과정(이민 온 연령과 영어구사능력), 경제적 요인 (지난 일년간의 개인수입과 보조적 보장소득 수혜여부), 건강상태(외출활동과 일상생활 활동능력), 그리고 민족 지역공동체 등이 포함되었으며, 나이, 성별, 교육, 결혼상태 등의 변인들을 함께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화과정과 경제적 여유는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의 단독주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건강과 한국 지역공동체는 주거형태에 통계적으로 일관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동화과정의 측정변수로서 이민연령의 효과는 배우자 유무에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한국 노인들의 단독거주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어구사 능력의 경우, 무배우자 노인들 중 영어구사능력이 높을수록 가족과 함께 살고 있었고, 유배우자 노인들에게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가족과 떨어져 사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무배우자 노인들의 경우, 이민연령의 효과 역시 순수한 의미의 동화과정이라기보다는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수혜하기 위한 자격조건과 한인지역 네트워트 파악을 위한 적응기간이라는 설명이 더 설득력이 있다. 배우자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보조적 보장소득의 혜택을 받고 있는 한국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두 세배 이상 단독주거를 하고 있었다. 일단 보조적 보장소득을 수혜하고 있는 노인들에게는 메디케이드, 푸드스탬프, 정부지원 월세보조금, 공공요금 할인 등 다양한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므로 대부분의 보조적 보장소득 수혜 노인들은 단순히 금전적인 수입의 측면뿐 아니라 그 외의 사회보장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보조적 보장소득의 수혜는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독립적인 삶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영주권자들에게는 전면 금지하는 새로운 사회복지법은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들에게도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 것이다. 본 논문은 영주권자 노인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지만, 주거형태를 비롯한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해 보면 영주권자, 귀화 시민권자, 그리고 미국태생 노인들은 다른 성격의 집단들임을 보여주고 있다. 종래의 소수민족 노인들에 관한 연구들이 이민자 노인들을 영주권자와 귀화 시민권자의 구분없이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하고 분석해 왔던 것을 볼 때,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시민권의 유무가 주거형태에 끼치는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생애말기 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특성과 영향요인 (Long-Term Care Utilization among End-of-Life Older Adults in Korea: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Factors)

  • 윤난희;김홍수;권순만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5-314
    • /
    • 2016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nd factors associated with long-term care (LTC) utilization under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among end-of-life older adults in Korea. Methods: Using a 5% sample of older people aged 65 or older and their health and LTC insurance data, two-part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We compared LTC uses and their determinants during the last year of life among decedents in the year 2010 with those of survivors. We also compared the medical uses of the same sample with their LTC uses. Results: The end-of-life elderly were more likely to use LTC, and their expenditure on LTC was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Whether or not older people used LTC during their last year of lif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sex, health insurance, household income, and living alone; however, LTC costs of the decedents were only affected by functional status, which may have been due to the reimbursement scheme of the current LTCI, which is mainly based on functional dependency level. For the survivors, having chronic diseas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LTC use, which was not the case for the decedents. End-of-life elderly with relatively low social economic status were more likely to use the LTC other than medical services, while the health conditions affected their medical uses most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provide key information for predicting demand related to the increasing LTC needs of Korean older people at the end of life.

한방병원에 입원한 노인암 환자의 치료 특성 분석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s among Geriatric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in a Traditional Korean Medical Hospital)

  • 오혜경;이지영;류한성;윤성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412-419
    • /
    • 2016
  • Objective: Because the number of geriatric cancer patients is on the rise but information on treatments for this population is limite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reatment decisions among elderly cancer patients.Method: Data on elderly cancer patients (≥65 years of age) who were admitted to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March 2014 to February 2016 were collected.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verall survival rates of the chemotherapy group and the non-chemotherapy group.Results: Nineteen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Nine people received chemotherapy, and ten people did not receive chemotherapy due to concerns about quality of life. Ag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score, an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all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median survival tim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Compared with chemotherapy alon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mbined with chemotherapy prolonged median survival times.Conclusion: Old age and low ECOG performance status and ADL scores appear to b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decision to undergo chemotherap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at these factors influence decisions about cancer treatment methods among geriatric cancer patients.

가족계획과 보건사업의 통합시도 및 평가결과 (Review of Family Planning / Health Integration Efforts and Evaluation Results in Korea)

  • Bang, Sook
    • 한국인구학
    • /
    • 제10권2호
    • /
    • pp.58-81
    • /
    • 198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주거형태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 미국 센서스 데이터인 Public Use Microdata(Samples PUMS)의 8% sub-sample을 이용하였다. 주거형태에 영향을 주는 주요변인들로 동화과정(이민 온 연령과 영어구사능력), 경제적 요인 (지난 일년간의 개인수입과 보조적 보장소득 수혜여부), 건강상태(외출활동과 일상생활 활동능력), 그리고 민족 지역공동체 등이 포함되었으며, 나이, 성별, 교육, 결혼상태 등의 변인들을 함께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화과정과 경제적 여유는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의 단독주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건강과 한국 지역공동체는 주거형태에 통계적으로 일관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동화과정의 측정변수로서 이민연령의 효과는 배우자 유무에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한국 노인들의 단독거주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어구사 능력의 경우, 무배우자 노인들 중 영어구사능력이 높을수록 가족과 함께 살고 있었고, 유배우자 노인들에게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가족과 떨어져 사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무배우자 노인들의 경우, 이민연령의 효과 역시 순수한 의미의 동화과정이라기보다는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수혜하기 위한 자격조건과 한인지역 네트워트 파악을 위한 적응기간이라는 설명이 더 설득력이 있다. 배우자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보조적 보장소득의 혜택을 받고 있는 한국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두 세배 이상 단독주거를 하고 있었다. 일단 보조적 보장소득을 수혜하고 있는 노인들에게는 메디케이드, 푸드스탬프, 정부지원 월세보조금, 공공요금 할인 등 다양한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므로 대부분의 보조적 보장소득 수혜 노인들은 단순히 금전적인 수입의 측면뿐 아니라 그 외의 사회보장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보조적 보장소득의 수혜는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독립적인 삶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영주권자들에게는 전면 금지하는 새로운 사회복지법은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들에게도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 것이다. 본 논문은 영주권자 노인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지만, 주거형태를 비롯한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해 보면 영주권자, 귀화 시민권자, 그리고 미국태생 노인들은 다른 성격의 집단들임을 보여주고 있다. 종래의 소수민족 노인들에 관한 연구들이 이민자 노인들을 영주권자와 귀화 시민권자의 구분없이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하고 분석해 왔던 것을 볼 때,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시민권의 유무가 주거형태에 끼치는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