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 earth

검색결과 15,293건 처리시간 0.041초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Abduction as an Inquiry Method in Earth Science)

  • 오필석;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10-623
    • /
    • 2005
  • 본 연구는 과학적 탐구 방법의 하나로서 귀추법을 토대로 한 지구과학 탐구 활동을 고안하고 수행하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이론 연구이다. 관련 분야의 문헌들을 탐색하여 지구과학의 본성을 지구과학 탐구의 목적과 탐구 대상의 특징이라는 측면에서 살펴 보고, 귀추법의 형식과 의미, 규칙 추리와 가설제안 과정에서 사용되는 사고 전략들, 귀추법에 바탕을 둔 수업 모형을 차례로 고찰하였다. 귀추법은 어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한 사실이나 원리, 법칙 등과 같은 규칙을 추리해 내고 그 속에 함의된 설명적 진술이나 설명적 가설을 제안하는 과정으로서 지구 환경의 형성 원인과 과정을 연구하는 지구과학 탐구에 잘 부합하는 탐구 방법임을 논하였다. 귀추법은 또한, 확정적, 선택적, 평가적, 창조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규칙 추리와 가설 제안 과정에는 자료에 대한 재구성, 발견 법적 일반화, 유추, 개념적 결합, 사전 평가에 의한 제거, 존재에 관한 전략 등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귀추법을 토대로 한 교수-학습 모형으로서 귀추적 탐구 모형은 지구과학 교육 현장에 적용 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에 따라 귀추적 방법을 모델로 한 지구과학 수업과 이와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절리가 형성된 암반지층에서 발생된 토압의 크기 및 분포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Pressure Magnitude and Distribution in Jointed Rockmass)

  • 손무락;윤철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6C호
    • /
    • pp.203-212
    • /
    • 2011
  • 본 논문은 암반지층에 설치되는 굴착벽체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설계 및 시공을 위해 절리가 형성된 암반지층에서 발생하는 토압의 크기 및 분포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먼저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암반지층의 다양한 절리특성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개별요소법(DEM)에 근거한 불연속체 수치해석적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매개변수로는 암반종류 및 절리상태(절리면의 전단강도 및 절리경사각)가 고려되었으며, 지반과 굴착벽체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면서 각 요소의 영향이 고려된 토압크기 및 분포특성이 파악되었다. 뿐만 아니라, 암반지층에서 발생된 토압과 토사지반에서의 경험토압인 Peck토압과의 상호 비교가 이루어졌다. 비교결과 절리가 형성된 암반지층에서 발생된 토압의 크기 및 분포는 암반의 종류 및 절리상태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토사지반에 있어서 Peck의 경험토압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조사된 결과는 향후 절리가 형성된 암반지층에서의 굴착벽체 설계를 위한 토압산정에 필요한 정보 및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내부마찰각과 토압 산정방법에 따른 철도교대의 안정성 비교 연구 (Stability of Railway Bridge Abutment with Earth Pressure and Internal Friction Angle of Backfill)

  • 최찬용;김현기;양상범;김병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765-7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철도 교대를 위한 표준단면을 선정하고, 선정된 단면에 대하여 토압산정방법과 내부마찰각에 따른 직배면과 가상배면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토압과 개량시행쐐기법의 토압을 이용하여 내부마찰각에 따른 교대의 외적 안정성, 부재력 및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가상배면에서의 주동토압은 직배면에서의 주동토압보다 크며, 내부마찰각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토압(Rankine, Coulomb, 시행쐐기법) 및 개량토압(개량시행쐐기법) 모두 내부마찰각이 증가함에 따라 부재력은 크게 감소하였고, 경제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행이동하는 강성옹벽에 작용하는 비선형 주동토압 : II. 적용성 (Nonlinearly Distributed Active Earth Pressure on a Translating Rigid Retaining Wall : II. Application)

  • 백규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91-199
    • /
    • 2003
  • 강성 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은 뒷채움재에서 발생하는 아칭효과로 인하여 삼각형이 아닌 비선형의 분포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뒷채움재에서 발생하는 아칭효과를 고려함으로써 평행이동하는 강성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의 비선형 분포를 산정할 수 있는 새로운 토압산정식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phi$\delta$, 그리고 옹벽의 높이가 새로운 제안식에서 계산되는 토압의 크기와 분포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변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토압산정식에 대한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새로운 제안식에서 얻어진 결과들이 기존의 시험결과 및 기존 제안식들의 결과들과 비교되었다. 예측치와 측정치의 비교를 통해서 새로운 토압산정식은 평행이동하는 강성 벽체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의 크기와 분포형태에 대하여 만족스런 결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토압산정식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정 주동토압계수와 주동토압의 작용점 높이에 대한 간편한 설계도표가 제시되었다.

HYPERSPECTRAL IMAGERY AND SPECTROSCOPY FOR MAPPING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ALONG STREAMLINES

  • Choe, Eun-Young;Kim, Kyoung-Woong;Meer, Freek Van Der;Ruitenbeek, Frank Van;Werff, Harald Van Der;Smeth, Boudewijn D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397-400
    • /
    • 2007
  • For mapping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he mining area, field spectroscopy and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were used in this study. Although heavy metals are spectrally featureless from the visible to the short wave infrared range, possible variations in spectral signal due to heavy metals bound onto minerals can be explained with the metal binding reaction onto the mineral surface. Variations in the spectral absorption shapes of lattice OH and oxygen on the mineral surface due to the combination of heavy metals were surveyed over the range from 420 to 2400 nm. Spectral parameters such as peak ratio and peak area were derived and statistically linked to metal concentration levels in the streambed samples collected from the dry stream channels. The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spectral parameters and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were yielded as well. Based on the observation at a ground lev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tral signal and metal concentration levels, the spectral parameters were classified in a hyperspectral image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classified pixels were compared with the product of analysis at the ground level.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ground dataset and image dataset was statistically validated. These techniques are expected to support assessment of dispers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decision on optimal sampling point.

  • PDF

지구과학 창의성 검사지 개발 (A Development of the Test of Creativity Level for Earth Science Field)

  • 정효원;김희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2-79
    • /
    • 2009
  • In the present study I developed the test for earth scientific creativity level and verified means to measure scientific creativity. I developed 22 test items and after being examined by science education specialist, 11 items were finally established, and these were applied to 104 middle students. Each answer paper was graded according to the standard answer that I developed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o verify the validity of measuring means I figured out content validity. The content validity about test items and adequacy of evaluation goal was examined by 1 science education specialist and 3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6 education graduate students. As a result of validity verification, the content validity was 82.7% and it showed that the test of earth scientific creativity was valid for evaluation goal and sub-factors of creativity. Second, to verify reliability of measuring means, I analyze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est sheet of earth scientific creativity after finding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s $\alpha$. Cronbach's $\alpha$, the interna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0.848.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is test sheet of earth scientific creativity is reliable to measure the creativi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creativ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creativity, the origina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This shows that in the procedure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studying science, originality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 PDF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n Exemplary Science Teacher's Earth Systems Education Experiences

  • Lee, Hyon-Y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00-520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case study were (1) to explore one experienced teacher's views on Earth Systems Education and (2) to describe and docu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Systems Education (ESE) curriculum provided by an exemplary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Dr. J. All the essential pieces of evidence were collected from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the experienced teacher and his eighth grade students, informal conversations, document analysis, and field notes. The $NUD^*IST$ for MS Windows was used for an initial data reduction process and to narrow down the focus of an analysis. All transcriptions and written documents were reviewed carefully and repeatedly to find rich evidence through inductive and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ESE provided a conceptual focus and theme for organizing his school curriculum. The curriculum offer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arn relevant local topics and to connect the classroom learning to the real world. The curriculum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students' value and appreciation of Earth systems and concern for the local environment. His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very compatible with recommendations from a constructivist theory. His major teaching methodology and strategies were hands-on learning, authentic activities-based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e.g., mini-projects), and science field trips. With respect to his views about benefits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ESE, the most important benefit was that the curriculum provided authentic-based, hands-on activities and made connections between students and everyday life experiences. In addition, he believed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teach using ESE. However, the lack of time devoted to field trips and a lack of suitable resource materials were obstacle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지식수준과 공간지각 능력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level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52-26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the correlation of level of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3, for 15 weeks, the classes were conducted for 3 hours per week and we find out knowledge Understanding degree and select terms offered by 5th grade science courses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Earth and Moon', 'change of seasons' section and measured space perception ability degre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a questionnaire.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understanding level of knowledge in the field of astronom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wed a low level of knowledge understanding as it goes the upper grades about upper concept in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Earth and Moon', 'change of seasons' section' of astronomy area of elementary science 'Earth and space sector'.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to acquire knowledge of astronomy area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dividually in 'finding solid body' of sub-element of space perception ability. This shows that 'finding solid body' factor is associated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Third, in the section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for elementary education, 'Reflection' and 'Finding solid body' which are low-level components of space perception ability were verified that have a corelationship with general grades in the astronomy conception test.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용어 분석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Vocabularies Used in the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 최행임;이효녕;조현준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3-371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10학년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 용어들을 SWA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그 중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용어들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먼저 11종의 10학년 과학교과서에서 지구과학 용어들을 추출한 다음, 표준국어대사전을 기반으로 한 SWA 프로그램으로 과학 전문어와 비과학 전문어로 분류를 하였다. 분류된 과학전문어와 비과학 전문어에 대해 560명의 10학년 학생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어휘의 수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등급 외의 과학 전문어 빈도가 모든 교과서에서 다른 등급에 비해 가장 높았다. 또한 학생들에게 설문한 결과, 어렵다고 하는 용어들의 대부분이 등급 외에 속해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학생들의 인지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어려운 용어는 과학적 의미의 변화가 없는 범위 내에서 쉬운 용어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프리스트레스트 띠장을 적용한 흙막이 시스템의 모형 시험 (A Model Test of Earth Retention System with Prestressed Wale)

  • 박종식;김성규;주용선;장호준;김낙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7호
    • /
    • pp.27-36
    • /
    • 2007
  • 프리스트레스트 띠장을 적용한 흙막이 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거동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모형 시험이 수행되었다. 본 흙막이 시스템의 모형 시험을 위해 현장 규모의 프리스트레스트 띠장을 적용한 흙막이 시스템에 대한 차원 해석이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는 새로운 흙막이 시스템에 대한 차원 해석의 절차 및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차원 해석 결과로부터 모형 규모의 프리스트레스트 띠장을 적용한 흙막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모형 시험 중 새로운 흙막이 시스템 부재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여 흙막이 벽체 배면의 토압 거동, 프리스트레스트 띠장의 변형 거동, 띠장 시스템 부재의 힘 거동과 버팀보의 힘 거동을 파악하였다. 모형 시험 결과는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시스템 부재의 설계 결과와 비교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