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hange of traffic

검색결과 866건 처리시간 0.028초

도시고속도로 가변속도제어 운영방안과 효과분석 (A Study on Operation Technique and Effective Analysis of Expressway Variable Speed Limits Control)

  • 임관수;남두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14
    • /
    • 2011
  • 본선 교통류 제어 방안 중 가변속도제어 모형을 제시하고 서울 내부순환로를 중심으로 효과를 검증하였다. 차량 검지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보정 및 평활화 수행후 패턴분석을 통해 도시고속도로의 평일 상태를 4가지로 분류하고 중심 값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분석단위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변수로 전이교통량, 평균밀도, 평균속도를 설정하였으며 제시된 모형과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검증한 결과 안전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유입교통량에 따라 가변속도제어의 감속 정도와 유효 적용시간을 산출하였다.

고속도로 합류구간 첨단 차로변경 보조 시스템 개발 : 최적 차로변경 시작 지점 Positioning 알고리즘 (Advanced Lane Change Assist System for Automatic Vehicle Control in Merging Sections : An algorithm for Optimal Lane Change Start Point Positioning)

  • 김진수;정진한;유성현;박장현;장경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9-23
    • /
    • 2015
  • 차로변경은 운전자의 숙련된 주변인식 및 운전기술이 요구되어 심각한 교통사고를 야기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불가피한 차로변경이 대두되는 고속도로 합류구간에서 본선으로 합류하는 차량의 차로변경을 보조하는 차량 자동제어 시스템 (ALCAS; Advanced Lane Change Assist System)을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ALCAS 중 조향이 수행되기 이전에 최적 차로변경 시작지점(Optimal Lane Change Start Point; OLCSP)을 생성하고 그 지점까지 도달하는 종방향 제어 알고리즘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고속도로 합류구간의 차로변경 행태를 분석하였고, 실제 차량의 가속도 함수 형태를 통해 차로변경 특징모형(Lane Change Feature Model)을 설계하였다. 그 후 차로변경 수행 단계를 정립하였으며, 이 알고리즘 성능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주변차량 주행환경에 따른 시나리오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개발된 알고리즘의 효과를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VISSIM)을 통해 확인하였다. 개발한 알고리즘을 합류차량에 적용한 결과 안정류 상태에서 합류성능이 두드러지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차량 자동제어 시스템은 교통 자동차 분야 융합기술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운전자의 부하와 오류를 감소시켜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교통류의 안정성, 임계용량, 주행 효율성의 증대로 사회비용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중첩셀 구조에서 다양한 트래픽을 위한 가변적 채널할당기법 (Dynamic prioritized channel assignment for multiple traffic classes in a overlay-cell structure)

  • 백승학;류시훈;박중신;이준호;이재용;이상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1732-174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트래픽 양이 변화하는 중첩셀 구조에서 다양한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채널 할당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을 통해, 중첩셀 구조의 장점인 용량은 증가하면서 잦은 핸드오프를 방지할 수 있고, 고정채널할당기법이면서도 동적채널할당기법과 유사한 동작을 하여 각 트래픽의 서비스품질(GOS)허용치를 만족할 수 있다. 제안한 기법과 중첩셀 환경에서 각 트래픽에 일정 수의 보호채널을 가진 고정채널할당기법과 비교.분석한 결과, 제안한 방식의 우수함을 볼 수 있었다.

  • PDF

교통 예비점멸등 사용에 따른 운전자 행동반응 비교 (A Comparison Study of Driver's Responsive Action by Using the Traffic Light Change Anticipation)

  • 장명순;김영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7-73
    • /
    • 2003
  • 본 연구는 기존의 신호등의 시각적 인지도를 향상시켜 운전자의 인지실수를 예방하고 안전운전을 도모하기 위해 보조녹색신호가 추가된 신호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3색, 4색 신호등과 보조녹색신호를 추가로 제시한 3색, 4색 신호등을 자동차 모의실험장치를 통하여 비교한 결과 두 가지의 신호등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선된 신호등이 현장 적용시 운전자가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제동시점을 다소 앞당겨준다는 점에서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제 운전자의 반응을 비교함과 동시에 주관적인 행동반응을 조사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실제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교통사고로 인한 경추통 환자의 공포 회피반응과 경추통, 목 장애 지수 사이의 관련성 분석 (A Correlation Analysis of Neck Pain, Neck Disability Index and Fear-avoidance Beliefs in Patients with Neck Pain Caused by Traffic Accidents)

  • 이초인;김재수;이윤규;임성철;정태영;이봉효;이현종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109-118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fear-avoidance beliefs and neck pain/neck disability caused by traffic accidents. Methods : We surveyed 52 patients who were injured in traffic accidents. The patients completed baseline measures of pain, disability, fear-avoidance beliefs according to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neck disability index(NDI) and a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FABQ). At the end of medical treatment, VAS and NDI were reasses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BQ(including its subscales), change of VAS and NDI,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examine the accuracy of previously reported cut-off scores, we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low and high groups and analyzed the change of VAS and NDI. The relationship was measured by Mann-Whitney U-test and a student's T-test. Results : FABQ and its subscales(total, physical activity and work)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inal VAS and NDI. FABQ-T showed low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hange of NDI. Previously reported cut-off scores did not show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screening for fear-avoidance beliefs may be useful for identifying patients at risk of prolonged pain after traffic accidents.

강원도에서 적설에 의한 일반국도 교통 특성 분석 (Analysis of Traffic Characteristics of General National Roads by Snowfall in Gangwon-do)

  • 조은수;권태영;김현욱;김규랑;김승범
    • 대기
    • /
    • 제31권2호
    • /
    • pp.157-170
    • /
    • 2021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nowfall on the traffic of general roads in Gangwon-do, case analysis was performed in Gangneung, Pyeongchang, and Chuncheon using 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snowfall data and VDS (Vehicle Detector System) traffic data. First, we analyzed how much the traffic volume and speed decrease in snowfall cases on regional roads compared to non-snow ca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nthly reduction due to snowfall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quantitatively grasp the effect of snowfall on traffic volume and speed, and sensitivity tests for snowfall intensity and cumulative snowfall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snowfall caused decrease both in the traffic volume and speed from usual (non-snowfall) condition. However, the trend was different by region: The decrease rate in traffic volume was in the order of Gangneung (17~22%), Chuncheon (14~17%), and Pyeongchang (11~14%). The decrease rate in traffic speed was in the order of Chuncheon (9~10%), Gangneung (8~9%), Pyeongchang (5~6%).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monthly decrease rate analysis. In all regions, traffic volume and spee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owf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ater the amount of traffic entering the road, the greater the slope of the trend line indicating the change in snowfall due to the traffic volume. As a result of the sensitivity test for snowfall intensity and cumulative snowfall, the snowfall information at intervals of 6-hours was the most significant.

도시림의 여름 대기온도 저감효과 - 서울시를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Urban Forest on Summer Air Temperature in Seoul, Korea)

  • 조용현;신수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8-36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a new regression model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forest and air temperature in summer, 2001.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rmal infra-red radiations of the major land use categorie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categor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thermal infra-red radiation and NDVI) derived from Landsat-7 ETM+ image and air temperature at Automatic Weather Stations(AWSs). After estimating various regression models for summer air temperature, the final models were chosen. The final regression models consisted of two variables such as forest m and traffic facilities area. The regression models explained over 78% of the variability in air temperatures. The regression models with variables of forest area and traffic facilities area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the first variable was even more significant than the second one. However, the negative impact of the traffic facilities area was slightly greater than the positive impact of the forest area. Consequently, the effects of forest area and traffic facilities area were apparent to explain summer air temperature in Seoul. Therefore two policies have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s to mitigate the summer air temperature in Seoul: to expand and to conserve the urban forest; and to change the Oafnc facilities'characteristic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not merely in informing the public that urban forest mitigates summer air temperahne, but in urging the necessity of budgets for trees and managing urban forests. It is recommended that field swey of summer air temperature be Performed for the vadidation of the model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a new regression model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forest and air temperature in summer, 2001.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rmal infra-red radiations of the major land use categorie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categor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thermal infra-red radiation and NDVI) derived from Landsat-7 ETM+ image and air temperature at Automatic Weather Stations(AWSs). After estimating various regression models for summer air temperature, the final models were chosen. The final regression models consisted of two variables such as forest m and traffic facilities area. The regression models explained over 78% of the variability in air temperatures. The regression models with variables of forest area and traffic facilities area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the first variable was even more significant than the second one. However, the negative impact of the traffic facilities area was slightly greater than the positive impact of the forest area. Consequently, the effects of forest area and traffic facilities area were apparent to explain summer air temperature in Seoul. Therefore two policies have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s to mitigate the summer air temperature in Seoul: to expand and to conserve the urban forest; and to change the traffic facilities'characteristic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not merely in informing the public that urban forest mitigates summer air temperature, but in urging the necessity of budgets for trees and managing urban forests. It is recommended that field survey of summer air temperature be Performed for the vadidation of the models.

일반국도의 교통수요 예측 정확도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Traffic Demand Forecasting in National Highway)

  • 전우훈;임강원;조혜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61-7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국도에서 계획 시에 예측한 교통량과 실제 개통 이후의 교통량을 비교하여 수요예측의 정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계획된 총 10개 일반국도 구간을 선정하였다. 예측교통량과 실측교통량의 비교를 위해 계획 시의 보고서를 수집하였으며, 상시교통량 조사지점이 있는 구간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비교를 위한 지표는 오차율을 이용하였으며, 고속국도 등 네트워크 연계성이 있는 구간과 사회경제지표에 의한 구간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네트워크 연계성이 있는 구간은 고속국도의 개통에 의한 영향정도에 대한 정확성이 높을수록 오차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통시기에 따른 정확도는 개통 이후에 점차적으로 오차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간별 단위길이에 따른 정확도는 단위길이가 길수록 오차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통 후 3년 시점을 기준으로 오차율을 고속국도와 비교한 결과 일반국도가 다소 안정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개통연도에 따른 오차율의 변화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교통공학적 고려 요소를 이용한 광양항의 장래교통량 예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uture Traffic Volume Estimation for Kwangyang Port Using The Consideration Factors of Marine Traffic Engineering)

  • 박영수;김종수;박진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47-454
    • /
    • 2007
  • 항만개발의 적정성 및 해상교통 환경평가를 위하여 대상항만의 현재의 입출항 교통량을 이용하여 장래의 교통량을 추정하고 있다. 이는 장래 교통량의 추정을 기초로 하여 항로의 혼잡도, 항로 폭의 결정, 각종 운영규정을 설정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장래 해상교통량 추정방법은 프레터 법칙, 경향 추세식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는데 이전 연구의 대부분은 교통량 추정요소는 그 항만의 입출항 척수를 기초로 장래교통량을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 특성상 입출항 선박의 종류 및 크기가 상이하여 지금과 같이 입출항 척수라는 하나의 요소로 변화 추이를 이용한 장래 교통량 예측은 상당히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각 항만의 해상교통 구성 특성요소인 연안 외항선박 척수, 선박 크기별 입출항 척수, 각 선박 당 수송 물동량 등의 변화 추이를 이용하여 장래 교통량 추이를 조사하여 예측하고자 한다. 그리고 수학적으로 모델을 구하기 어려운 비선형 시스템이라 할지라도 입 출력 특성을 묘사할 수 있으며, 입력정보의 왜곡, 잡음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최근에 비선형 동특성 시스템의 동정(Identification)에 응용되고 있는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장래교통량을 예측한 결과와 상호 비교하고자 한다.

보행자 우선도로 개선 사업으로 인한 교통사고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raffic Accidents Around the Pedestrian Priority Zone)

  • 장재민;이영인;김숙희;최회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2-128
    • /
    • 2018
  • 국내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보행자 중심의 친환경 도시를 지향하고자 일부지역에 보행자 우선지역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대중교통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및 여유로운 보행공간의 확보 측면에서 시민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친환경 교통수단의 도입으로 온실가스의 감축효과에 기여했다. 그러나 보행자 우선지역은 보행환경 개선 측면에는 영향력이 높지만 주변 교통흐름에는 악영향을 주는 만큼 시행에 따른 교통 환경 변화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 행궁동 생태교통 지역을 중심으로 보행자 우선도로 시행에 따라 행사주변의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전사후 평가를 활용한 교통사고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행자 우선도로는 보행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운영되는 만큼 보행자 관련 사고는 줄었으나, 차량의 회전교통 제한에 따른 불법유턴 사고 및 속도 저하에 따른 신호위반 사고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에는 행사를 시행하기 전 운전자에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행사구역 인근에 본 연구 특성이 반영된 안전표지판 및 어플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사고에 유념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