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bone mineral density

검색결과 918건 처리시간 0.33초

오금희 도인 운동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 체계적 문헌 고찰 (Wuqinxi Daoin exercise for osteoporosis: A Systematic Review)

  • 박인화;김병준;임경태;신병철;황만석;황의형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1-42
    • /
    • 2017
  • Objectives : This review aims to assess the effect of Wuqinxi exercise for osteoporosis. Methods : We searched 9 electronic databases(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AJ, Oasis, KISS, NDSL, KMBASE, KISTI) and related 2 journals until November 2017. W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of testing Wuqinxi exercise for osteoporosi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RCTs related assessed by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Results : 12 RCTs were eligible in our inclusion criteria.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Wuqinxi versus no intervention, Wuqinxi plus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versus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on lumbar spine, femora bone mineral density (BMD). However, Wuqinxi significantly improved lumbar spine BMD compared with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P < 0.00001). Additionally, the results showed a remarkable effect in improving pain score(VAS) when Wuqinxi or Wuqinxi plus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P < 0.0005) was used. Conclusions : There is evidence of Wuqinxi exercise for osteoporosis with meta-analysis. However, our systematic review has limited evidence to support Wuqinxi exercise for osteoporosis. because of low quality of original articles and further well-designed RCTs should be encouraged.

  • PDF

One-year experience of oral substrate reduction therapy in three patients with Gaucher disease type I

  • Sohn, Young Bae;Kim, Yewon;Moon, Ji Eu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62-67
    • /
    • 2020
  • Purpose: Eliglustat is an oral substrate reduction therapy (SRT) approved for adults with Gaucher disease type I (GD1) who are extensive, intermediate, or poor CYP2D6 metabolizers. Here we report one-year experience of eliglustat switch therapy from long-term 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in three adult patients with GD1. Materials and Methods: Medical history, clinical (hemoglobin concentration, platelet count, and bone mineral density) and biochemical parameter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total acid phosphatase, and lyso-gb1) of the patient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by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at every 3, 6, or 12 month after switch to SRT. Results: Patient 1 was a 43-year old female diagnosed GD1 and her clin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stabilized for more than 20 years by ERT. Due to the burden of regular hospital visit, she switched to SRT. During one-year of SRT, clinical parameters and biomarkers were maintained stable. However, after suffering acute febrile illness during SRT, she decided to re-switch to ERT due to concerns about drug interaction. Patient 2 was 41-year old male, younger brother of patient 1 and Patient 3 was 31-year old male. They switched to SRT in clinically stable condition with long-term ERT. The one-year SRT was tolerable without specific safety issue and the clinical parameters were maintained stable. Conclusion: One-year eliglustat therapy in three adult patients with GDI was generally tolerable and effective for maintaining the clinical parameters and biomarkers. However, the drug compliance, concurrent drug interactions, and long-term safety of eliglustat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alysis of screw in-type lateral anchor pull-out in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repair in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 Lee, Sang-Yoon;Noh, Young-M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1호
    • /
    • pp.15-21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cidence of screw in-type lateral anchor pull-out in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who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for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 (RCT). Methods: We reviewed 25 patients over 60 who were diagnosed with large to massive RCT and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in our hospital from March 2017 to February 2021. Preoperative tear size (anterior to posterior, medial to lateral) was measured via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ll 25 patients underwent MRI scanning on postoperative day 1 and at 3 months after surgery. The change of anchor position was measured in axial views on MRI images postoperative day 1 and 3 months after surgery. And it was statistically compared according to bone mineral density (BMD), sex, and number of lateral anchors. Results: Two MRIs (postoperative day 1 and 3 months) in 25 patients were compared. Anchor pull-out occurred in six patients during 3 months (6.7%), and the mean pull-out length difference was 1.56 mm (range, 0.16-2.58 m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ull-out anchors, degree of pull-out difference by comparing BMD (A, BMD≤-2.5; B, BMD>-2.5), sex, or number of anchors used in each surgery (C, two anchors; D, three anchors) (p>0.05). Conclusions: Pull-out of screw in-type anchors was rarely observed and the mean pull-out length difference was negligibly small in our study. The screw in-type lateral anchor seems to be a decent option without concern of anchor pull-out even in elderly patients.

스타틴이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 혹은 골절위험에 미치는 효과 -보고된 임상연구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Efficacy of Statins on BMB or Fractur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 방준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6-91
    • /
    • 2006
  • 스타틴이 골형성을 자극하며 골밀도를 개선한다는 다수의 동물실험과 임상보고에 의해, 스타틴을 폐경기 이후 노령의 여성 고지혈증 환자에게 골다공증의 예방 혹은 치료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왔다. 하지만, 보고된 문헌들이 예방 혹은 치료효과를 제시하거나 해석됨에는 아직도 실험결과가 상이하거나 의견이 상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경기 이후의 고지혈증을 지닌 골다공증 환자에게 처방된 스타틴이 실질적으로 골다공증 혹은 골절위험을 경감시키는 예방적 또는 치료적 효과를 지니는지 규명하고자, 1990년부터 2005년 사이에 MEDLINE에 등재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6개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인체대상 연구보고서를 cross-sectional study, prospective cohort study 및 case-control study의 연구유형별로 수집, 분류하여 각각의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각 연구결과들은 골다공증 평가에 이용하는 다수의 측정지표들에 대하여 공히 인정될 만한 수준의 유의성 여부를 제공하기에는 곤란했는데, 이는 연구디자인이 부적절했거나 실험대상 환자들이 보유한 각종 질병요소들과 치료상황이 복잡한 상호관계를 지녔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규모의 잘 계획된 이중맹검형 다국가 임상시험을 통해서 임상적 효과 유무가 입증되기 전에는 스타틴을 고지혈증을 보유한 폐경기 이후 노령 여성의 골다공증의 예방 혹은 치료적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로 사료된다.

  • PDF

폐경 후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여성의 denosumab 약물 사용 평가 (Medication Use Evaluation of Denosumab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or Osteopenia)

  • 임선혜;정우진;채정우;강찬;윤휘열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6-205
    • /
    • 2020
  • Background: The indication of denosumab for osteoporosis was expanded from second-line to first-line therapy in 2019.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enosumab as both first- and second-line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and osteopenia with risk factors by using the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FRAX). Methods: We conducted a medication use evaluation of denosumab in 98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three or more times for osteoporosis or osteopenia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st, 2017 to January 31st, 2020.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using quantitative N-gram analyses of FRAX estimations. Patient information, including menopause status and results of bone mineral density tests (T-score), was obtain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sults: Age, body mass index (BMI), prior medication use, and T-score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and were included as variables in the evaluation of denosumab use. Si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groups, denosumab is likely effective regardless of age or BMI. In ad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scores following denosumab treatment, between groups who took bisphosphonates and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SERMs) with denosumab as first-line therapy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Denosumab may, therefore, be effective as second-line therapy. Conclusion: Efficacy of denosumab was evaluated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Denosumab may be used as first- and second-line therapy regardless of age, BMI, and prior use of bisphosphonates and SERMs.

장기간 운동 참여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렙틴, 총 콜레스테롤 및 골밀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Composition, Leptin, Total Cholesterol and Bone Mineral Density on a Long-Term Exercise Paticipation in Middle-aged Women)

  • 신기옥;최승욱;김용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154-1158
    • /
    • 2008
  • 본 연구의 피험자는 운동력이 1년 이상인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오전 9시부터 12시 사이에 규칙적으로 헬스센터에서 운동 중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0명의 중년 여성을 체지방률이 30% 이상인 비만군, $25{\sim}29.9%$인 과지방군, 24.9% 이하인 정상군으로 분류하여 신체조성, 렙틴, 총 콜레스테롤 및 골밀도를 집단별 비교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지방량은 비만군이 과지방군과 정상군 보다 높게 나타났고(p<0.001), BMI는 비만군이 과지방군과 정상군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요골의 골밀도는 비만군이 정상군 보다 낮았다(p<0.01). 체지방량과 BMI (Rsq=0.8411), 체지방량과 요골(Rsq= 0.6736), BMI과 경골(Rsq=0.6714)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지만, 더 많은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골다공증이 있는 상완골 골두의 파일럿 홀 (Pilot Hole)과 흡수성 나사못의 크기에 따른 토크 (Torque)와 뽑힘 강도 (Pullout Strength)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sertion Torque, and Pullout Strength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ilot Hole and Biodegradable Suture Anchor in Osteoporotic Humeral Head)

  • 천용민;이영한;김성환;박유정;김성재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1호
    • /
    • pp.8-15
    • /
    • 2012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다공증이 있는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상완골 골두에 표준 크기 (5.0 mm) 보다 작은 송곳 (awl) (3.7 mm 나사못용)을 사용해서 5.0 mm 나사못을 삽입하는 것이 표준 크기의 송곳과 6.5 mm 나사못을 삽입하는 것에 비해 토크 (torque)나 뽑힘 강도(pullout strength)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방부 처리된 12명, 24개의 짝지은 사체 견관절을 A군와 B군, 두 군으로 나누어 관심 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한 후에 A군에서는 5.0 mm 나사못 삽입을 위해 3.7 mm 송곳 (awl)을 이용하는 경우를 A1군, 5.0 mm 나사못 삽입을 위해 5.0 mm 송곳을 이용하는 경우를 A2군으로 하였다. B군에서는 5.0 mm 송곳을 이용하여 5.0 mm 나사못을 삽입하는 경우를 B1군, 6.5 mm 나사못을 삽입하는 경우를 B2군으로 하여 나사못 삽입 시의 토크와 뽑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골밀도는 A군과 B군 간이나 군내에 차이가 없었다. 토크는 A1군이 A2군보다 각각 20.6 $cN{\cdot}m$와 13.2 $cN{\cdot}m$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01), B1군과 B2군에서도 각각 12.1 $cN{\cdot}m$와 20.8 $cN{\cdot}m$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그러나 증가된 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A1군과 A2군의 뽑힘 강도는 각각 204.2 N과 152.9 N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01), B1군과 B2군에서도 149.5 N과 210.9 N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그러나 증가된 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송곳 크기보다 큰 치수의 나사못을 사용하면, 같은 크기의 송곳과 나사못을 사용하는 경우 토크나 뽑힘 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가된 정도는 큰 송곳과 작은 송곳 간에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대결절의 footprint 내에 나사못과 나사못 사이의 거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5.0 mm 송곳을 이용하여 6.5 mm 나사못을 삽입하는 대신 3.7 mm 송곳을 이용하여 5.0 mm 나사못을 삽입해도 증가되는 뽑힘 강도는 차이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골밀도에 따른 전방 내고정 장치 시술 후 경추부의 생체역학적 거동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Biomechanical Responses for the Anterior Cervical Plate Fixation in relation to Bone Mineral Density)

  • 신태진;이성재;신정욱;장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9-8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내고정 장치 시술 직후 및 융합 후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하중 모드에서 C5-C6 운동분절의 생체역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먼저, C5-C6 경추부의 유한요소 모델을 구현하여 검증하였다. 모델의 결과는 기존 실험치와 유사하여 신뢰성이 부여되었다. 검증된 모델은 Smith-Robinson 방식으로 골이식물을 삽입한 후 전방 내고정 장치를 적용한 시술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수정되었다. 수정된 모델은 두 종류로 구현되었다. (1) 첫 번째 모델에서는, 시술 직후의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골이식물과 종판의 경계면에 접촉요소를 사용하였다. (2)두 번째 모델에서는 완전히 융합된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골이식물을 종판에 고정하였다. 골다공증의 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두 모델의 해면골에 대한 탄성계수를 변화시켰다(정상: 100MPa, 골다공증: 40MPa). 각 모델의 C5 주체의 상위면에 73.6N의 압축 하중을 가한 후에 108Nm의 굴곡/신전, 굽힘, 비틀림 하중을 가하였으며, C6 추체의 하단면은 모든 방향에 대하여 구속하였다. 전체적인 결과에 있어서 상대적 회전운동, 미끄럼운동, 골이식물 내에서의 von Mises 응력의 경우 정상 모델에 비해 골다공증 모델에서 증가함을 보였으며, 특히 시술 직후의 모델에서 비틀림 하중이 가해진 경우, 상대적 회전운동 및 미끄럼 운동이 가장 높게 예측되었다. 이는 골다공증환자에게 전방 내고정 장치를 시술한 경우 골이식물의 파단 및 유합의 실패가 비틀림 하중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해면골의 von Mises 응력은 시술 직후에 골다공증 모델의 모든 하중 모드에서, 유합 후에는 굽힘 하중 외의 모든 하중에서 ultimate strength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골다공증 환자에게 screw의 해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골다공증 환자에게 과도한 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시술 후 세심한 주의와 halo 같은 견고한 정형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se of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Children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Large Single Centre Study

  • Jois, Asha;Perera, Sajini;Simm, Peter;Alex, George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6호
    • /
    • pp.473-480
    • /
    • 2022
  • Purpose: Low bone mineral density (BMD) is a complication in children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There are limited data evaluat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as a screening tool for low BMD in children with IBD. We performed a single site retrospective analysis of DXA use. Methods: Children aged 5-18 years with IBD diagnosed between 2013 to 2017 at the Royal Children's Hospital, Australia, were included. Patient demographics, measures of disease activity, DXA scores, and factors related to BMD were collected. Results: Over a median follow up of 5.1 (4-6.4) years, 72/239 (30.1%) children underwent DXA, and 28/239 (11.7%) children had a second DXA. Our DXA practice differed to consensus guidelines regarding initial screening based on height and/or body mass index (BMI) z-score (8/17 [47.1%]), and repeat surveillance (13/42 [31.0%]). Children had a median lumbar spine (LS) z-score -0.80 (-1.65-0.075). Children with LS z-score≤-2.0 (n=14) had lower weight (6.57 [1.78-23.7] vs. 51.1 [26.5-68.7], p=0.0002) and height centiles (3.62 [1.17-17.1] vs. 42 [16.9-67.1], p=0.0001), and higher faecal calprotectin (FCP) (3041 [1182-4192] vs. 585 [139-2419], p=0.009) compared to children with LS z-score>-2.0. No fractures were reported. Of 28 children who underwent a second DXA 1.6 (1.1-2.2) years following initial DXA, no significant change in z-scores occurred. Conclusion: Children with IBD had low BMD. In addition to height centile and weight centile, FCP was associated with lower BMD, and should be considered in DXA screening guidelines. Greater clinician awareness of DXA consensus guidelines is required. Future prospective studies are required.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 환자에서 다열근과 척추기립근의 지방 침투율과 골다공증 관련 인자의 상관 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and the Fat Infiltration Rate of the Multifidus and Erector Spinae Muscles i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Patients)

  • 전득수;백종민;최지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18-323
    • /
    • 2020
  • 목적: 근감소증에 중요한 요소인 척추 주변 근육 감소를 수치화한 총 지방 침윤율(total fat infiltration rate, TFI rate)과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및 관련 수치와의 상관 관계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요추의 압박 골절 진료를 본 환자들 중 1)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 T score -2.5 g/cm2 미만으로 골다공증을 진단받고, 2) 요추 골절로 경피적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 또는 경피적 풍선척추성형술(kyphoplasty)을 받았으며, 3) 요추의 한 분절만 골절된 4) 1년 이상 추시한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TFI는 Image J 프로그램으로 자기공명영상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열근(multifidus) 및 척추기립근(erector spinae)의 TFI와 골다공증 요소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다열근및 척추기립근의 평균 TFI는 14.66±10.16이었다. 척추 BMD는 고관절 BMD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TFI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고관절 BMD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한 비타민 D 수치는 척추 BMD와 고관절 BMD에서 모두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TFI와는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근육량은 근감소증 환자뿐만 아니라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도 도움이 되므로 주의깊게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비타민 D를 증가시키는 것은 근육 위축의 진행을 늦출 수 있으므로 이로써 골절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