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aged living alone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4초

농촌지역 독거노인에게 적용한 한방 자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Oriental Self-help Group Program for the Living Alone-Aged Inhabiting Rural Region)

  • 왕명자;박신애;명태옥;차남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42-251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n Oriental self-help group program on living-alone elders in rural areas. Method: A one-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oriental self-help program, health education, feet bathing in hot water, cupping therapy, and foot-reflexology.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PSS. Results: 1) The level of blood triglyceride, SGOT and glucos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The scores of depression and stres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The score of Yangsaeng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 Depression was higher when the score of stress was high, and the score of depression and stress were lower when the score of Yangsaeng was high.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physiological indexespartially,emotionalindexesand Yangsaeng.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implemented as a community-based self-help group program for living-alone elders in rural areas.

  • PDF

The association of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with chronic conditions in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 EunJung Lee;Ji-Myung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316-329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quality based on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and the prevalence of chronic conditions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40-60 yrs of age) living alone. MATERIALS/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1,517 men and 2,596 women)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2018 and classified into single-person households (SPH) and multi-person households (MPH). Nutrient intake, KHEI, and the prevalence of chronic conditions were compared according to household size. The odds ratios (ORs) of chronic condi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ertile levels of KHEI by gender within each household size category. RESULTS: Men in SPH had a significantly lower total KHEI score (P < 0.0001) and a lower prevalence of obesity (OR, 0.576) than those in MPH. For men, the adjusted ORs for obesity, hypertension, and hypertriglyceridemia in the first tertile (T1) of KHEI scores within SPH compared with the third tertile (T3) were 4.625, 3.790, and 4.333, respectively. Moreover, the adjusted OR for hypertriglyceridemia in the T1 group compared to the T3 group within the MPH was 1.556. For women, the adjusted ORs for obesity and hypertriglyceridemia in T1 compared to T3 within the SPH were 3.223 and 7.134, respectively, and 1.573 and 1.373 for obesity and hypertension, respectively, within MPH. CONCLUSIONS: A healthy eating index was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chronic conditions in middle-aged adults. Greater adherence to a healthy eating index could lower the risk of chronic conditions in middle-aged adults living alone.

주거환경개선지구 다가구주택 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임차인 요구 조사연구 (A Proposal to improve environment for multi-family housing residence in amelioration area)

  • 황선혜;김다해;안창헌;이연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0-143
    • /
    • 2008
  • As the number of family living alone is expected to soar due to a change in socio-demographics like divorce, more middle-aged women returning to work, homes become smaller and so on. In addition to in 2020 these people will be increase so that 85 percent of the Koreans compose elderly living alone who is over 65.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sharing-typed elderly people-centered rental model which is accessible in the community integration dimension as an alternative and finding out theirconscious, their need about residence. and we need to check about their major requirements on improvement step by step. so that we suggest the desirable way on the existing multi house. The model provides benefits in the social, economical and pragmatic dimensions as the families living alone get together and living with others, Particularly, as a residence model which reduces a psychological loneliness and at the same time enables the elderly to continue to live a life in the community while they live together with other people, this model could be a strategy which supports the "Aging in Place." This study is in progress via small group workshop which debate gradually about special subject with similar group member. So we can find the residence's preference on living environment in various condition and the member can imagine freely on their future living arrangement by giving the various informations which can be proceed in future. The workshop proceed three times. at the first workshop, we're check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level. and second time we give the knowledge about shared-type rental house then discuss about the model. and last time we're listen to the residence's opinion.

  • PDF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가구형태가 혈압, 체질량지수, 간이영양평가점수 및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usehold Type on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Mini Nutritional Assessment Score, and Biochemical Indicators in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and with Families)

  • 남은정;이종은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0-218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individuals according to their household types an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their nutritional status. Methods: This study, which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involved physical measurements, surveys, and biochemical tests in 87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the community. Using SPSS/Win 24.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BMI),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score, and biochemical indicators in elderly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household type. Results: Elderly individuals living with family members had higher MNA scores than those of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while showing lower levels of systolic blood pressure and fasting blood sugar.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actors were MNA scores (odds ratio (OR)=1.81, 95% confidence interval (CI)=1.36-2.42), systolic blood pressure (OR=0.96, 95% CI=0.92-1.00), and fasting blood glucose (OR=0.94, 95% CI=0.90-0.99).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need differentiated nutrition intervention, si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had lower nutritional levels and improper nutritional management than that in elderly individuals living with family members.

지역사회 거주 중고령자의 미충족 돌봄요구와 관련요인 (Unmet Care Needs Among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People in Korea)

  • 김수정;박연환;김홍수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195-209
    • /
    • 2011
  •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미충족 돌봄요구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밝히고자 수행한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전국의 45세 이상 일반가구 거주자를 대표하는 표본(n=10,254)을 표집하여 조사한 2006년 제 1차 고령화연구패널을 이용하였다. 미충족 돌봄요구는 기본적 일상생활수행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에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상태임에도 돌봐줄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모든 분석은 대상 인구집단을 대표하는 추정 통계치를 구하고자 가중치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장년의 7.3%, 젊은 노인의 14.5%, 그리고 고령 노인의 41.8%가 돌봄을 필요로 하는 상태였으나, 이 중 각각 34%, 33%, 24%가 돌봄요구를 충족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족 돌봄요구 관련요인은 연령 그룹에 따라 달랐는데, 중장년에서는 교육과 소득수준이 미충족 돌봄요구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던 반면, 젊은 노인과 고령 노인층에서는 독거만이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지역사회 거주 중고령자 중 상당수가 미충족 돌봄요구가 있으며, 그 관련요인은 생애주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는 지역 사회 거주 중고령자의 미충족 돌봄요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기반 재가서비스의 확충이 시급하며, 특히 교육수준이 낮은 중장년과 독거노인 대상의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거주형태에 따른 한국 노인의 삶의 만족도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ccording to Living Arrangements)

  • 이시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59-668
    • /
    • 2016
  • Purpose: This study utilized secondary data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by living arrangements among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in Korea. Methods: A total of 2,134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2014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Univariable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living with others were education level (odds ratio [OR] 1.73,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2.11), place of residence in medium-size city (OR 1.57, 95% CI 1.25~1.97), place of residence in rural town(OR 1.52, 95% CI 1.19~1.95), depression (OR 2.99, 95% CI 2.43~3.68), frequency of contact with neighbors (OR 1.39, 95% CI 1.10~1.76), and social participation (OR 1.48, 95% CI 1.14~1.93). In contrast,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were education level (OR 1.93, 95% CI 1.15~3.24) and depression (OR 2.49, 95% CI 1.48~4.19).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nursing intervention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ir specific living arrangements.

독거노인을 위한 베하스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 리더 경험에 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Research leader using the BeHaS Program for Elderly Living Alone)

  • 김종임;김선애;김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93-303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를 활용한 베하스 프로그램에 연구참여자로 참여했던 독거노인들의 경험의 본질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 참여자는 대사증후군을 가진 독거노인 총 6명으로, 12주간 심혈관 건강을 위한 베하스 프로그램을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로 진행할 때 리더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가 되는 부담감', '새로운 프로그램을 알게됨', '베하스 프로그램에 젖어듬', '새로운 리더십을 가지게 됨', '대사증후군 건강관리에 대해 알게됨', '달라진 자신을 통해 보람을 느낌' 등 6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참여기반 연구를 통하여 대사증후군 베하스 프로그램 참여경험의 본질을 파악하였으며, 추후 베하스 프로그램 운영 및 지역사회 정착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독거노인의 비애수준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Grief level and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이진향;최연순;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1호
    • /
    • pp.31-40
    • /
    • 2018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비애수준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및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독거노인의 비애수준과 자살생각 간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 중 상호의 존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켜 실제 자살로 이어지는 행위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적 지지 특히, 상호의존적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차상위 계층 우울 독거노인 삶의 경험: 현상학적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Life in Near Poor Elderly Living Alone in Depression: Phenomenological Study)

  • 김재은;이미형;이채원;이상은;박시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59-771
    • /
    • 2020
  • 연구의 목적은 차상위 계층 우울 독거노인 삶의 경험을 통하여 삶의 의미를 파악하고 어떠한 삶을 살아가는지 본질적 구조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A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65세 이상 노인으로, 한국형 노인우울척도(KGDS) 9점 이상, 현재 독거생활 1년 이상 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없는 차상위 계층 8명이다. 연구방법은 개인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2018년 5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Colaizzi 분석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48개의 주제와 19개의 주제모음,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이 차상위 계층 우울 독거노인으로 살아가는 경험은 '도움 없이 살수 없는 초라한 삶', '몸과 마음이 병든 삶', '자립하고 싶은 삶', '감사하는 삶', '내면의 평화가 있는 삶',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삶'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차상위 계층 우울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의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국가적인 차원의 다양한 복지 정책을 위한 근거 자료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남녀 독거노인의 행복감 예측요인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predictive factors on happiness among male and female aged living alone)

  • 황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92-40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남자 독거노인과 여자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사회 물리적 환경 만족도, 사회적 연결망, 사회활동의 정기적 참여, 주관적 건강수준, 우울감을 중심으로 행복의 예측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2017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로부터 총 2,768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분석은 Chi-square test, Mann-Whitney test,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는 605명(21.86%), 여자는 2,163명(78.14%)이었다. 이 연구결과, 남자 독거노인의 유의한 행복 예측요인은 월평균 수입(OR=2.363, 95% CI=1.473-3.791), 기초생활수급권자 여부(OR=1.903, 95% CI=1.144-3.167), 이웃과의 신뢰(OR=2.018, 95% CI=1.263-3.225), 종교활동 참여(OR=2.098, 95% CI=1.314-3.349), 주관적 건강수준(OR=2.753, 95% CI=1.217-6.228), 우울감(OR=0.852, 95% CI=0.803-0.905)이었다. 여자 독거노인의 유의한 행복 예측요인은 월평균수입(OR=2.407 95% CI=1.362-4.253), 기초생활수급권자 여부(OR=1.350, 95% CI=1.019-1.788), 친구와의 접촉빈도(OR=1.879, 95% CI=1.323-2.669), 종교활동 참여(OR=1.372, 95% CI=1.124-1.676), 여가/레저 활동 참여(OR=1.608, 95% CI=1.161-2.228), 주관적 건강수준(OR=5.327, 95% CI=1.347-21.070), 우울감(OR=0.864, 95% CI=0.840-0.890)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자 독거노인과 여자 독거노인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고려하여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