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전략은 사회 환경 변화에 대한 조망을 포함해서 실질적인 서비스 수요자인 이용자에 기반하여 수립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현재 제공되는 도서관 기능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조사·분석하였다. 데이터는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고, 응답자는 부산지역의 공공도서관 이용자 733명이다. 주요한 결과는 첫째, 부산지역 이용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은 여전히 자료수집제공에 있었다. 둘째, 정보서비스 영역에서는 문화/평생학습 프로그램 서비스, 서비스 유형에서는 새로운 IT기술 체험·교육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보서비스 영역에 대한 ISA 분석결과에서는 자료수집제공 서비스와 정보활용교육 서비스는 계속 유지 관리해야 하고 독서 관련 서비스는 집중관리하여 확대할 필요가 있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령별 서비스 수요 분석에서는 41세 이상~50세 이하가 정보활용교육 서비스 영역을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수요가 가장 높은 세대로 나타났고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수요는 61세 이상의 고령층 세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산의 서부권 이용자 집단이 거의 모든 서비스 영역의 수요에서 다른 지역의 이용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최적화하기 위한 전략 수립시 기본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화도 지역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인간관계 크기를 설명해주는 사회연결망 연결정도가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노년기의 사회적 관계가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강화도 A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노인 643명으로, 2011년에서 2012년까지 실시된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KSHAP;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1년차 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통제변인으로 사용한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서 성별, 소득, 연령은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소득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신체적 건강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서 학력, 소득, 연령은 정신적 건강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정신적 건강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향이 포함된 사회연결망에서 외향연결정도와 내향연결정도 모두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 개인의 대인관계가 노인의 건강을 예측하는 데 있어 내가 교류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수(외향연결정도) 뿐만 아니라 나와 교류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수(내향연결정도)도 같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방향에 따른 연결정도의 두 지표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고립된 개인들을 찾아내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노인에 대한 건강 증진 및 복지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find health promotion and care need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of Korea. As the rural elderly are limited in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resources and could not immediately solve their health care needs when they need. health promotion and care services are expected to bring better and more practical solutions of their health care needs. Thus, the type of health care services to be developed in Korea rural area is discussed to have emphasis on health care service component in addition to health promoting components. Methods of this study was based on survey data analysis : total 322 persons aged older than 55 living at one 'Kun' in Korea administrative unit were interviewed by health workers working at the region and also get trained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The data collection interview was continued from February till May in 1996.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modified with adjustment to Korea situation. with basis of the WHO's health promotion program compon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program for frequency, correlation, regression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74.8\%$ of the surveyed were sick at the survey time point. and $95.9\%$ known the diagnosis name of the disease. The most frequently complained diseases were Muscular-Skeletal diseases $(43.7\%)$. $34\%$ of those sick had never treated or discontinued therapeutic procedures. so that shown the necessity of systematic and usual health care services with health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for the elderly. (2) The percent of those who make social participation was $95.3\%$. and the activities were visiting neighbors $(70.4\%)$ and lack of qualified social activity programs. (3) $78.1\%$ of the surveyed had health counseling and education from professional health workers. Those ceased smoking and drinking were $59.6\%,\; 60.3\%$. respectively. Those had no application of therapeutic drugs or nutrion supplements was $40.7\%\;and\;94.1\%$ had regular meals. Those practiced exercises was low remarking $17.7\%$. (4) Positive health behaviors were better carried out by sick groups than by the healthier. except smoking. regular meals. and exercise. $17.5\%$ of sick group smoke more than one case of cigarettes. in contrast to $9.5\%$ of the healthier. (5) Mental health status was heathier among positive health behavior earners. Health counseling and education shown better score of mental health than those never counseled. (6) Positive health behavior practice frequenc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rossed by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status. (7) Health behaviors of the rural elderly people were carried out better when they had positive 'continuency in therapeutic procedure' 'health status'.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Status' of the rural olderly were explained by 'exercise'. 'drinking'. 'familial relationship'.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us, health behaviors practice mutually interact with health status. In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on and care program component are recommended to include ation on the necessity of positive health promotion active social acitivities. pleasant life style, adaption into changes on the elderly, safety in residential area. community acitivity and resource utilization. etc .. in addition to the elderly's disability and sickness caring services.
본 연구는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을 구분하여 평균 음주량 및 폭음 빈도와 치주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자에서는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은 J자 형태의 관련성을 보였으며, 특히 경도 음주군을 기준으로 중등도 음주군(1.25배)과 고도 음주군(1.39배)에서 치주염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여자에서는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폭음 빈도와 치주염과의 관련성 연구 결과, 남자에서는 폭음 빈도가 증가할수록 치주염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여자에서는 폭음 빈도와 치주염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남자에서 과도한 음주량 및 폭음을 하는 경우 치주염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지역사회에서 치주염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음주습관 형성을 위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다양한 홍보교육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최저주거기준은 자본주의 산업화 과정과 급격한 도농인구이동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노동자계급의 주거환경 악화와 공중보건위생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거복지 정책의 주요 쟁점으로 발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선진국을 대상으로 최저주거기준이 제도화되는 역사를 살펴보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2011년에 개정된 새로운 최저주거기준을 적용하여 1995년 이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계열적 변화패턴과 지역별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2010년 서울시의 미달가구는 50.1만 가구(136.8만 명, 14.4%)로 전국 평균인 11.8%에 비해 처음으로 높아졌으며, 2005년의 50.9만 가구에 비해 거의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서울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감소추세의 정체는 다른 시 도, 다른 시기에는 한 번도 관찰된 바 없는 현상으로서 개별 가구의 독자적인 능력만으로는 주거환경을 개선 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 가구 층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서울시의 기타 거처(1.3%) 및 지하 옥상 거주 비율(9.6%)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서울시의 주거환경이 질적인 측면에서 가장 열악한 지역으로 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달가구의 공간적 분포는 동북권과 서남권 방면으로 양분되어 있고, 여성가구주, 중장년층, 이혼가구, 저학력 및 대학 대학원 재학생, 비아파트 거주가구, 15~20년 경과주택 등에서 높은 미달비율을 보이고 있다.
Background: We sought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pain and participating in routine health screening in a low socioeconomic-status (SES) rental-flat community in Singapore. In Singapore, ${\geq}85%$ own homes; public rental flats are reserved for those with low-income. Methods: Chronic pain was defined as pain ${\geq}3$ months. From 2009-2014, residents aged 40-60 years in five public rental-flat enclaves were surveyed for chronic pain; participation in health screening was also measured. We compared them to residents staying in adjacent owner-occupied public housing. We also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pain and health screening participation amongst residents in these low-SES enclaves. Results: In the rental-flat population, chronic pain was associated with higher participation in screening for diabetes (aOR = 2.11, CI = 1.36-3.27, P < 0.001), dyslipidemia (aOR = 2.06, CI = 1.25-3.39, P = 0.005), colorectal cancer (aOR = 2.28, CI = 1.18-4.40, P = 0.014), cervical cancer (aOR = 2.65, CI = 1.34-5.23, P = 0.005) and breast cancer (aOR = 3.52, CI = 1.94-6.41, P < 0.001); this association was not present in the owner-occupied population. Three main themes emerged from our qualitative analysis of the link between chronic pain and screening participation: pain as an association of "major illness"; screening as a search for answers to pain; and labelling pain as an end in itself. Conclusions: Chronic pain was associated with higher cardiovascular and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in the low-SES population. In low-SES populations with limited access to pain management services, chronic pain issues may surface during routine health screening.
본 연구에서는 김치와 묵은지의 미생물 군집 구조와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김치와 묵은지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묵은지 시료들의 pH가 김치보다 더 낮았으며, 산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와 묵은지 간의 염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치에서 당도가 묵은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α-diversity 분석 결과 김치와 묵은지 사이에 종 추정치와 종 풍부도 지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통발생학적 차이를 반영한 phylogenetic diversity 지수는 묵은지에서 김치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와 묵은지의 미생물 군집을 생물학적 분류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공통적으로 과(family) 수준에서 Lactobacillaceae가 가장 우점하였으나, 높은 내산성을 갖거나 김치 내에서 높은 성장 경쟁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Pediococcus 속과 Lactobacillus 속 유산균의 상대적인 분포가 묵은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와 묵은지의 전체 미생물 군집 구조에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beta set-significance 분석을 수행한 결과 김치와 묵은지 두 그룹의 전체 미생물 군집구조가 통계학적으로 신뢰수준에서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Weissella kandleri의 분포와 묵은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Pediococcus inopinatus의 높은 분포가 김치와 묵은지의 전체 미생물 군집 구조 차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Increased pricing of cigarettes might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approaches for reducing the prevalence of smok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reasing cigarette prices through taxation by a tobacco intervention policy on the changes in smoking prevalence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3,047 healthy university students aged 18-29 years from a health examination in 2011-2015. We investigated the adjusted prevalence of daily and occasional smoking before and after increasing cigarette prices through taxat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occasional smok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2015 from 2014 in both male (from 10.7% in 2014 to 5.4%) and female (from 3.6% to 1.1%) students, but the prevalence of daily smoking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The frequency of individuals who had attempted smoking cessation during the past year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occasional smokers in male students (90.2%) compared with daily smokers (64.9%). For female studen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xperience of smoking cessation, willingness for smoking cessation, or E-cigarette experience between daily and occasional smokers. Conclusions: We found that a policy of increasing cigarette prices through taxation is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the prevalence of occasional smokers, who have relatively lower nicotine dependence compared with individuals who smoke daily.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social support and direct intervention for smoking cessation at the community level are needed for university students alongside the pricing policy.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obtain necessary source data for development of oral health improvement and promo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by investigating the actual situations of oral health education related experience and needs that senior citizens had in Korea. Methods : In this study, convenience sampling was conducted in 430 senior citizens aged 65 years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Korea, for about six months from December 2011 to May 2012. For data collecti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Community-based senior citizens' welfare facilities and centres, as well as nearby churches were visited to inform them of the information on this study. Then, the senior citizen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given the questionnaire sheets. Excluding 33 copies of inadequately completed questionnaire sheets, 397 copies (92.3% of the ent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 1. In terms of the experience with oral health education, the number of elderly respondents who have not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was 202 (50.9%), whereas the number of those who have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was 195 (49.1%), which indicates that the latter shows a slightly higher proportion. 2. Examining the necessity for oral health education, the overall mean was 3.67 points based on 5 points as full marks, which suggests that senior citizens have hi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oral health education. 3. Regard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oral health education, the number of those who answered that if any opportunity to receive oral health education is given, they would be willing to receive such the education was 211 (53.1%). Conclusions : Based up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we conclude that it is required to develop more systematic and sustained, life-long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t the levels of senior citizen's welfare facilities and centres, in order to guide senior citizens to desirable oral health care practice.
Objectives: Asthma is a chronic disease, and the demand for herbal medicines in this field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new findings highlight the role of the gut-lung axis in the pathophysiology of asthma. Hence, this study will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Glasthma syrup, an herbal formula based on Persian medicine, in improving asthma and regulating intestinal permeability. The formula consists of five herbal ingredients that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on the respiratory tract, also known as gut tonics. Methods: The study will be conducted as a placebo-controlled, triple-blind, randomized trial. It will consist of a 4-week intervention followed by a 4-week follow-up period. The target sample size is 20 patients with moderate asthma aged 18 to 60 years. Eligible participants will b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or the control group in equal numbers.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take Glasthma syrup (7.5 mL, twice a day), while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will take a matching placebo. Both groups will receive a 4-week combination of a long-acting beta2 agonist and a leukotriene modulator as standard of care. Inhaled corticosteroids can be used as rescue medication as needed. Results: The primary outcomes are asthma symptom scale, lung function, and intestinal permeability. Secondary outcomes include quality of life, symptom recurrence rates, and blood tests. A safety assessment will also be conducted during the trial. Conclusion: In this trial, the effects of Glasthma syrup in patients with moderate asthma will be examined. The study will also assess the effects of the formulation on the gut-lung axis by simultaneously monitoring the gut permeability index, asthma symptoms, and lung function.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