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ense of Community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22초

마을형 단독주택지의 물리적 특성과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단독주택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Small Urban Village Consist of Detached Houses)

  • 박선경;김묘정;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53-16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small urban village consist of the detached houses. Three detached houses with the different urban structur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re selected, we surve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1) A loop street pattern is more desirable for a community than a grid pattern, (2) The wall of the residential boundary makes residents get the sense of territory and community, and it facilitates no wall or tree fence of the each detached house. (3) The community spaces have an effect up on the sense of community. (4) It is desirable that the residents participate in a management of the detached housing area.

아파트 커뮤니티에서의 거주자 감정지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Residents Emotion Index in Apartment Community)

  • 박지혜;조성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47-25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the emotion of residents as indexes in Korean housing environment for providing a fundamental guideline for precise dwelling social science and indicating the view for understanding of residents in korean housing culture in korea. So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residents emotion indexes in housing environment and community. For this study, survey and depth-interview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subjects were 514 housewives living in apartments.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mea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Pride of neighborhood, pride of apartment complex and sense of superiority were important factors for residental satisfaction. 2)Conspicuous image of neighbors and active contact with neighbors were import factors for their neighborship in the apartment complex. The results develop the housing environment evaluation indexes in community through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space emotion society.

  • PDF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개방 구조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식의 차이 (Difference in the Sense of Community in Open-Structure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 강연주;박종완;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32
    • /
    • 2009
  • 본 연구는 도시의 주택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점차 해체되고 있는 지역 공동체의식의 회복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따른 구조적 특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중앙광장이 단순히 공동주택 거주자들만을 위한 내적이고 자기 완결형의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지역 주민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지역 공동체의 거점으로 활성화된 열린 공간으로써 그 범위가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의한 구조적 특성은 주변 지역에 대한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심리적 개방성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이 갖는 심리적 접근성,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식에 각각 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이러한 개방성과 접근성으로 표현되는 심리적 거리는 지역 공동체의식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연구를 위해 우선 중앙광장이 단지 외부를 향해 열린 정도에 따라 이를 열린 구조와 닫힌 구조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동일 지역 안의 비슷한 조건을 가진 신림 푸르지오와 방학 대상타운 현대, 그리고 관악 푸르지오와 방학 삼성 래미안 1단지를 대상지로 선정, 각각 공동주택 거주자들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두 개 집단으로 분류한 후 총 여덟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지역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개방성, 심리적 접근성의 측정 등을 실시한 결과 위의 연구 가설들이 모두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열린 구조의 중앙광장에서 지역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개방성, 접근성 등이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개방성과 접근성이 높은 경우 지역 공동체의식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성과 지역 주민들의 심리적 개방성, 접근성, 지역 공동체의식이 상호 연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구체적인 대상지를 통해 분석,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두며, 향후 실천적인 중앙광장의 계획과 조성을 위한 하나의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nline Community Design: Review of Frameworks and Developing Online Community Construct

  • Oh Ki-Tae;Lee Kun-Pyo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131-14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nline community construct, which proposes an inclusive illustration of the structure of online communities, for online community designers. This study reviewed researches from psychology, sociology, management engineering, and practical repor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online communities. The proposed online community construct visualizes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online community. As the notion of community originates from geographical groups, and with the assumption that geographical community shares identical characteristics with online community, this study reviewed researches about geographical communities as a starting-point. Then the study went through three main perspectives (1) online community attributes, (2) sense of online community and (3) challenges of online community. Then this study proposed an online community construct that encompasses the reviewed frameworks. The online community can be seen as a congregation of members from two sources. One is from the 'Shared Goal' that meets the personal needs. Given the shared goal, members gather into the community without personal relationship and have more chances to feel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ir needs fulfillment or benefit. This befitting tendency leads to strengthening of membership. Public online forums fall under this classification. The other source is from the emotional connections that are already initiated by personal and casual contacts in the real world. The network of emotional connection can evolve into an online congregation of people under faint boundaries. Although there is no (or weak) shared goal, members are strongly bound to other members. Personal homepage or web log (blog) can be classified as an example of relationship-oriented community.

  • PDF

공동체 의식이 스폰서십태도에 미치는 효과와 공동체 일체감의 매개적 역할 (The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to Sponsorship Attidude And the Role of Community Identification)

  • 이준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2-285
    • /
    • 2007
  • 스폰서십의 효과를 결정짓는 여러 요인 중 기업이 스폰서하는 공동체(community)의 구성원들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의 태도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이론으로 동일시(identification) 혹은 일체감 이론을 생각할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어느 정도의 일체감을 느끼는가에 따라 공동체에 대한 행동과 공동체에 스폰서하는 기업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의식 개념을 적용하여 공동체 일체감의 주요 선행요인을 확인하고, 공동체 일체감과 기업의 스폰서십에 대한 반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공동체 의식이 공동체 일체감과 공동체에 대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동체 의식의 세부 요소별로 보면, 욕구의 충족, 소속감, 정서적 유대감은 공동체 일체감과 공동체 충성도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은 공동체 충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동체 일체감이 높을수록 공동체 충성도가 높아지며, 공동체 충성도가 높아지면 스폰서에 대한 태도가 개선되는 반응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일체감이 스폰서십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Identification to Sponsorship Response)

  • 이준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93-102
    • /
    • 2008
  • 스폰서십의 효과를 결정짓는 여러 요인 중 기업이 스폰서하는 공동체(community)의 구성원들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의 태도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이론으로 동일시(identification) 혹은 일체감 이론을 생각할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어느 정도의 일체감을 느끼는가에 따라 공동체에 대한 행동과 공동체에 스폰서하는 기업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의식 개념을 적용하여 공동체 일체감의 주요 선행요인을 확인하고, 공동체 일체감과 기업의 스폰서십에 대한 반응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와 공변량 구조분석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공동체 의식이 공동체 일체감과 공동체에 대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동체 의식의 세부 요소별로 보면, 욕구의 충족, 소속감, 정서적 유대감은 공동체 일체감과 공동체 충성도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은 공동체 충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동체 일체감이 높을수록 공동체 충성도가 높아지며, 공동체 충성도가 높아지면 스폰서에 대한 태도가 개선되는 반응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동주택단지에서의 주거공동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ty in Multi-Family Housing)

  • 조성희;강혜경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09-114
    • /
    • 2000
  •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in multi-family housing. It was reviewed the movement of residential community called as building neighborhood, the community movement in apartment etc. It was focused on the physical aspect for planning of common spac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ain subject in the movement of residential community was a common space which contributed to a attachment and a sense of settlement for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d on the necessity of planning centered on common space for the community in multi-family housing.

  • PDF

A Study of College Students Local Volunteering Activity Making Use of Software Creativity Donation

  • Lee, Kyung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81-188
    • /
    • 2022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창의 나눔 수업을 통한 나눔 활동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관련 활동이 지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남 소재 4년제 대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책임감, 공동체 의식 변화에 관한 사전・사후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를 사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웨어 창의 나눔 수업 사전과 비교해 사후에서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프트웨어 창의 나눔 수업 사전과 비교해 사후에서 책임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프트웨어 창의 나눔 수업 사전과 비교해 사후에서 공동체 의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창의 나눔 수업이 자아존중감, 책임감,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료를 기초로 재능 나눔에 지속적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기부와 관련 변인 연구 (A Study on the Donations and Related Variables of Adolescents)

  • 이창식;송국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725-734
    • /
    • 2013
  • 이 논문은 중고대학생 1,230명을 대상으로 기부실태와 기부유형별 기부경험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은 시간기부, 물질기부, 재능기부 순으로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기부 관련 변인들 즉 기부동기, 기부태도, 자아존중감, 공동체 의식 및 기부기관 신뢰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 물질기부 경험 유무의 예측변인은 성별, 연령, 기부 외적 동기, 기부태도, 공동체 의식 및 기부기관 신뢰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기부 경험 유무의 예측변인은 성별과 공동체 의식이었으며, 재능기부 경험 유무 예측변인은 연령, 기부 내적동기 및 공동체 의식으로 나타나 기부유형별 기부경험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기부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염려, 자아불일치 및 공동체 의식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Privacy Concerns, Self Discrepancy and Sense of Virtual Communities)

  • 곽수환;류성열;이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60-369
    • /
    • 2010
  •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아불일치 및 커뮤니티의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었다. 먼저,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가 자아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터넷 사용기간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보기로 하였다.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 요인은 정보에 대한 수집, 통제, 인식을 고려하였으며, 커뮤니티에 대한 공동체 의식 요인은 소속감과 몰입감을 고려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계층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 중 정보에 대한 수집, 통제, 인식의 요인 중 인식의 요인만이 자아불일치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때 인터넷 사용기간은 정보의 인식 및 통제가 자아불일치에 주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자아불일치가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과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불일치가 소속감에는 부(-)의 영향을 주지만, 몰입감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