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leistocene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3초

플라이스토신 층서 연구 (A Research on Pleistocene Stratigraphy)

  • 이동영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7-88
    • /
    • 1998
  • 한반도의 제4기 지층을 암층서 및 단구층서를 기준으로 전기, 증기 및 후기 플라이 스토신 지층(Ear-ly Middle late Pleistocene Deposits)으로구분할 수 있다. 제 3기와 제4기 의 경계는 고지자기층서 해석에 의하여 한반도에서는 Gauss와 Matuyama chron 경계인 약 2.6Ma를 기준으로 설정할수 있다. 전기 플라이스토신 지층(Early Pleistocene Deposits)은 지형고도상 조구조 운동이 배제된 지역에서는 80m 이하에서의 계곡 사이에서 나타난다. 증 기 플라이스토신 지층(Middle Pleistocene Deposits)은 약0.8Ma부터 약 125ka까지이다. 중기 플라이스토신은 제4기 초깁터 발달하기 시작하였던 주요 계곡들이 현재와 비슷한 형태로 넓 고 깊어지기 시작했던 시기이다. 하천과 해안에는 일련의 단구지형을 잘발달시키지 시작했 고 단구이 형성은 현재보다 해수면이 더 높았던 마지막간빙기까지 계속되었다. 후기 플라이 스토신 지층(late Pleistocene Deposits)은 약 125Ka부터 10Ka까지이며 마지막 간빙기(Last Inter-glacial)와 마지막빙하기(Last Glacial)가 포함된다, 마지막간빙기 동안에는 제 2 하안 및 제 2 해안단구역층이 잘 발달하여 있다 마지막 빙하기 동안에는 해수면의 하강이 극심했 으며 특히 산사면에서 지형경사면을 따라 하부이동된 사면붕적층이 한반도의 전역에 널리 발달했던 시기였다.

Pleistocene 해저지반의 3차원 장기거동 해석을 위해 개발한 수치해석 기법의 입증 (Demonstration of Developed Numerical Procedure to Describe 3-dimensional Long-term Behavior of the Pleistocene Marine Foundations)

  • 윤성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7호
    • /
    • pp.5-14
    • /
    • 2020
  • 간사이 공항은 1994년 9월에 개항하였다. 제 1기섬 완공 후 26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장기침하가 진행되고 있다. 이 침하는 Pleistocene층에서 발생하고 있다. 계속적으로 변하는 수평방향으로의 지층두께 및 세립분의 함유량이 달라 Pleistocene 모래층의 투수성을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인접한 제 2기섬의 건설에 따른 지반의 상호거동을 예측에 대한 어려움도 존재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접한 두 매립 섬의 건설에 따른 교차하는 Pleistocene 지반의 상호거동을 포함한 장기변형을 평가하기 위해 탄점소성을 고려한 2차원 유한요소해석이 수행되었다. 일반적으로 2차원해석은 한 개의 단면이 전체 단면을 대표할 수 있을 때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간사이공항은 매립에 의한 인공섬으로서 2차원 해석으로는 섬의 코너(corner) 부분의 응력 변형문제에 적용할 수 없으며, 물리탐사를 통한 실제 하부지반의 구조도 불균질하며 그 두께 또한 일정하지 않아 2차원해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즉, 3차원 해석이 강력히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본 저자는 탄점소성 해석이 가능한 기존의 2차원 프로그램을 3차원으로 확장하였으며, 1차원 압밀해석해을 통해서 개발한 3차원 프로그램의 검증(verification)을 완료하였다. 본 논문은 검증을 마친, 개발한 3차원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2차원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존의 연구와 동일한 해석조건으로 해석을 수행하여, 해석결과를 2차원 결과와 실제 계측값과 비교함으로서 개발한 3차원 수치해석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입증(demonstration)하였다.

Characteristic Nature of the Unconformity between Holocene and Late Pleistocene in the Tidal Deposits along the Western Coast of Korea

  • Park, Yong-Ahn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14
    • /
    • 2003
  • It is generally well known that Quaternary is characteristic geologically in terms of glacial and interglacial repeats and their associated unconformity form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first finding of the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t meaningful unconformity between Holocene and late Pleistocene, which implies submergence and emergence of the tidal sedimentary basin along the western coastal zone of Korea during interglacial stage(IOS-5e) and glacial time(IOS-2). The stratigraphy of intertidal deposits in the Haenam Bay, western coast of Korea shows two depositional sequence units (Unit I of Holocene and Unit II of late Pleistocene) bounded by an erosional surface of disconformity. The disconformity is related to the latest Pleistocene sea-level lowstands (probably during the LGM). The Unit II is interpreted as intertidal deposit showing tidal sedimentary structures and crab burrow ichnology and has two part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showing different lithology and character. The upper part of Unit II shows characteristic subaerial exposure features (emergence) and its related lithology. Such subaerially exposed upper part (more or less 4m to 5m in thickness) is characterized by yellow-brownish sediment color, cryoturbat-ed structure, crab burrow ichnofacies and high value of shear strength. Geochemical and clay mineral analyses of the upper part sediments also indicate subaerial exposure and weathering. In particular, very high value of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upper part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lower part is interpreted as pedogenetic weathering during the subaerial exposure period.

  • PDF

Trace Fossils from the Late Pleistocene Marginal Marine Deposits of Jeju Island, Korea: Implications for the Psilonichnus and Skolithos Ichnofacies

  • Kim, Jeong Yul;Kang, Ji Hy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45
    • /
    • 2018
  • Moderately diverse, but very abundant trace fossils are found from the Late Pleistocene deposits of Jeju Island, Korea. Vertical I-, Y- and U-shaped domichnia of annelids or decapods are, over 2500, extremely abundant, 3D network domichnia of callianassids are, over 200, very abundant, and small sinuous trails of nematode repichnia are, over 50, abundant in number. Horizontal trails attributable to polychaete or worm-like animals are, less than 50, common, but horizontal spreiten burrows, fish traces and crab trackways are, less than 10, rare in occurrence. Of these trace fossils, Taenidium barretti, Undichna britannica and Undichna unisulca represent the first record from the Pleistocene in Asia. Psilonichnus upsilon is the second record in Asia. Crab trackways probably produced by underwater punting gait of sideway walking crabs may represent the first record in the world. In addition, diverse and very abundant footprints of more than 500 hominids, more than 200 birds and more than 1000 mammal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se invertebrate trace fossils. Trace fossil assemblage integrated with sedimentary facies is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in the marginal marine foreshore to backshore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Psilonichnus and Skolithos ichnofacies.

남서태평양 리코후 드리프트 퇴적층의 쇄설성 실트입자 크기의 수직적 변화를 이용한 플라이스토세 후기 심해서안경계해류의 세기 변화 (Late Pleistocene Variation in Intensity of Deep Western Boundary Current from Vertical Change in Size of Terrigenous Silt in the Rekohu Sediment Drift, SW Pacific)

  • 김부근;이영주;박유현;박장준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451-457
    • /
    • 2006
  • Hole 1124 of ODP Leg 181 was located in the Rekohu sediment drift off eastern New Zealand in the southwest Pacific Ocean. Mean gain sizes of sortable silt were measured in two drilled cores (1124A and l124B). Chronostratigraphy of core 1124 was correlated with the well-dated nearby core S931, resulting that the age of core 1124 covers the late Pleistocene spanning about MIS (Marine Isotope Stage) 5. Mean grain size of sortable silt seemed to be relatively large during the glacial period, whereas that of the interglacial period was smaller, although several tephra layers contain some coarse-grained pyroclatic particles. The variation in mean grain size of sortable silt in Rekohu sediment drift during the late Pleistocene indicates that the intensity of Deep Western Boundary Current (DWBC) might have been enhanced during the glacial period as a result of increased production of Antarctic Bottom Water (AABW).

동아시아의 제4기 자연환경의 변화와 젖먹이근동물의 제4기적 진화 (The Palaeoenvironmental Changes and Macromammal Evolution during the Pleistocene in East Asia)

  • Sun Joo, Park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1-85
    • /
    • 1988
  • 중국과 한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에 제3기말기 이후 제4기홍적세 시기에 살았던 동물상의 연구와 자연환경의 연구는 주로 중국에서 이루어졌다. 최근 중국에서 이루어진 이 지역에 관한 지질학, 지형학과 기후의 변화 및 loess의 발달등에 관한 연구들은 초기 홍적세 시기에 진행되었던 히말라야와 청해/신장 고원의 빠른 용기 작용이 동아시아에서 진행되어온 자연환경의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홍적세의 상한 또한 2백만년을 넘을 수 없음을 밝혀주고 있다. 전기 홍적세 이후로 중국에서의 동물군은 크게 북중국, 남중국 그러고 중간지역 등의 3개의 동물군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젖먹이근동물의 발달과정을 통해서 홍적세시기의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다. 한국선사시대 환경과 동물상은 같은 시기에 속하는 북중국의 자연환경 및 동물상과 비슷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HIGH-RESOLUTION SEQUENCE STRATIGRAPHY: LATEST PLEISTOCENE-HOLOCENE EXAMPLE FROM THE KOREA STRAIT SHELF

  • Yoo Dong Geun;Park Soo Chul
    • 한국석유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석유지질학회 1997년도 제4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5-35
    • /
    • 1997
  • The latest Pleistocene-Holocene deposits on the Korea Strait shelf form a high-frequency sequence which consists of three systems tracts: the lowstand, transgressive and highstand systems tract. The lowstand systems tract is distributed on the shelf margin and trough region, whereas the highstand systems tract is confined only to the inner shelf. Although the transgressive systems tract between the lowstand systems tract and the highstand systems tract was identified over a wide area of the shelf, it is either very thin (a few meters thick) or absent.

  • PDF

Late Pleistocene Lowstand Wedges o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Korea Strait)

  • Yoo D. G.;Park S. C.;Park K. S.;Sunwoo D.;Han H. S.
    • 한국석유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석유지질학회 1998년도 제5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5-21
    • /
    • 1998
  • Sparker profiles and sediment cores collected from the Korea Strait show a distinct pattern of stacked prograding wedges consisting of three distinct units. These wedges are interpreted as the lowstand deposits formed during glacioeustatic sea-level lowstands. Repeated sea-level falls during late Pleistocene with high sediment discharge from the paleo-Nakdong River system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thick lowstand wedges.

  • PDF

Characteristics and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Sediments on a Macrotidal Mudflat Deposit of Namyang Bay, Western Coast of Korea

  • Lim, D. I.;Choi, J. Y.;Jung, H. S.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6-60
    • /
    • 2003
  • In Namyang Bay of western Korea, macrotidal-flat deposits are divisible into three late Quaternary units: Unit M1 of upper marine mud, Unit T1 of middle siderite-bearing terrestrial clay, and Unit M2 of lower marine mud. Unit M1 represents typical Holocene intertidal mudflat deposits, showing a coarsening-upward textural trend. It probably resulted from the continual retrogradation of tidal flat during the mid-to-late Holocene sea-level rise. Reddish brown-color Unit T1 consists of homogeneous clay with abundant freshwater siderite grains and plant remains. Unit T1 is clearly separated from the overlying Unit M1 by a sharp lithologic boundary. Radiocarbon age, siderite grains and lithologic features indicate that Unit T1 is originated from freshwater bog or swamp deposition infilling the localized topographic lows during the early Holocene age. Overlain unconformably by early Holocene swamp clay, Unit M2 is orange to yellow in color and mottled, suggesting significant degree of weathering during the sea-level lowstand. Such subaerial oxidation is confirmed in the vertical profiles of geotechnical properties, clay mineral assemblages and magnetic susceptibility. Unit M2 appears to be correla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ate Pleistocene tidal deposits developed along the western Korean coast. The sedimentary succession of the Namyang-Bay tidal-flat deposit provides stratigraphic information for the Holocene-late Pleistocene unconformity and also permits an assessment of the preservation potential of the late Pleistocene marginal marine deposit along the western coast of Korea.

제주도 청수공 시추코아에서 산출된 플라이스토세 포자·화분화석의 화분층서 및 고기후적 의미 (Palynostratigraphic and paleoclimatic implications of the Pleistocene Cheongsu Core sediments, Jeju Island, Korea)

  • 문병찬;정철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6-282
    • /
    • 2005
  • 제주도 청수공에서 산출된 포자$\cdot$화분화석군은 낙엽활엽수와 초본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풍부하게 산출되는 종류로는 소나무과, 오리나무속, 밤나무속/구실잣밤나무속, 느릅나무속/느티나무속, 명아주과 및 국화과 등이다. 전체적인 식생 조성에 근거하여 2개의 화분 분대를 설정하였다. 하부의 Zone I에서는 오리나무속, 명아주과 등이 우세하며 전반적으로 초본류가 풍부하게 나타난다. 상부의 Zone II에서는 전나무속, 낙우송과-측백과-주목과, 느릅나무속/느티나무속, 벼과 등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낙엽활엽수가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산출된다. 청수공의 포자$\cdot$화분화석군은 그 조성에 있어 중국의 동지나해 대륙붕에서 설정된 Alnipollenites(Alnus)-Chenopodipollis(Chenopodiaceae)-Compositae 군집대와 잘 대비되며 그 지질시대는 Pleistocene으로 해석된다. 오늘날 식생분포와의 비교 및 우세종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청수공 코아는 한랭한 온대 기후 하에서 형성되었으며 당시의 제주도에는 오늘날의 한라산과 같은 지형적 기복은 아직 발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