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검색결과 752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식물분류학회 50년사: 인력양성과 연구활동 (The 50-year history o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nd research activity)

  • 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3-369
    • /
    • 2018
  • 한국식물분류학회가 1968년 12월 13일에 설립된 이래, 전문인력 양성과 학회지 논문에 나타난 연구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사 방법은 한국식물분류학회 홈페이지와 식물분류학회지에 나타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전문인력 분석은 각 대학에서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지난 50년 동안 식물분류학의 전문인력은 총 680명이 양성되었으며, 그 중 석사학위 소지자는 30개 대학에서 약 537명(남성 274명, 여성 263명) 이고, 박사학위 소지자는 26개 대학에서 143명(남성 97명, 여성 46명)이 양성되었으며, 그 수는 특히 1998년 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연구분야의 변화를 10년 단위로 보면, 분류군 실험논문은 1988-1997년에 72%로 가장 많았으나, 최근 10년에는 51%로 감소하였다 반면, 미기록종 논문이 28%로 높아졌다. 학회지에 게재된 전체 연구논문들 중 분류군을 검토한 논문이 629편이며, 그 중 49%를 차지하는 논문의 대상 분류군들은 국화과, 미나리아재비과, 사초과, 백합과, 장미과, 콩과, 미나리과, 꿀풀과, 난과, 물푸레나무과, 대극과, 마디풀과, 수선화과로 나타났다. 10년 단위로 연구방법의 변화를 볼 때 형태논문은 6%에서 51%로 증가되었고, 화분논문은 20%에서 최근에 2%로 낮아졌다. 염색체 연구는 약 3-4%, 성분연구는 약 2%로 낮고, DNA연구의 비율도 3-16%로 낮았다. 10년 단위별 전체 논문 수중 영문논문의 비율은 최근에 43% 정도로 향상되었는데, 이는 주로 미기록 분류군들의 논문이 증가한 데 기인한다.

The first record of Agrimonia gorovoii Rumjantsev in Korea (Rosaceae)

  • Chung, Kyong-Sook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2-136
    • /
    • 2017
  • The distribution of Agrimonia gorovoii Rumjantsev in Korea is verified in this study. The species, described as from Primorsky Krai in Russia, was found in Chungcheongnam-do, Gangwon-do, Gyeonggi-do, and Jeollabuk-do provinces and in Incheon, South Korea.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ten stamens, deeply serrated leaflet margins, and long horizontal pilose stems. A Korean name, Gorovoi-jip-sin-na-mul, for the species is newly given, and a taxonomic description of the species and key to four Korea native Agrimonia taxa are presented.

Lecanorchis japonica var. insularis (Orchidaceae: Vanilloideae), a new variety from Jejudo Island, Korea

  • SEO, Seon-Won;CHUNG, Mi-Sook;CHUNG, Young-Soon;LIM, Chae Eun;OH, Sang-H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13-418
    • /
    • 2020
  • A new variety, Lecanorchis japonica var. insularis (Orchidaceae: Vanilloideae), a mycoheterotrophic orchid from Jejudo Island, Korea,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It usually grows with L. japonica var. japonica, L. japonica var. hokurikuensis and L. kiusiana in evergreen forests. The newly described variety is distinguished from L. japonica vars. japonica, hokurikuensis, and kiiensis by having fully opened, larger flowers and an obtuse labellum apex.

Léveillé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의 연속 논문에 기재한 한국산 신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II. 신종으로 발표된 분류군 중 분류학적 이명으로 간주되고 있는 분류군 (Taxonomic reexamination of new species described by Léveillé in the serial papers of Decades plantarum novarum. II. New species currently treated as taxonomic synonyms of other species)

  • 신현철;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3-169
    • /
    • 2009
  • 프랑스 식물분류학자 $L{\acute{e}}veill{\acute{e}}$, A. A. H.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이라는 연속 논문에서 Faurie와 Taquet 신부 등이 국내에서 채집한 표본들을 근거로 발표한 다수의 신분류군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이들 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견해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중 다른 분류군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분류군은 146개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Ajuga devestita 등 79개 분류군에 대해서는 일치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으나, Bidens robertianifolia 67개 분류군은 학자들마다 상충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고, Aconitum coreanum 등 8개 분류군은 후일동음명 등과 같은 이유로 비합법명이었다. 한편, Rhododendron hallaisanense 등 5개 분류군은 학자에 따라 독립된 분류군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국가표준식물목록 전산화 연구 (Database Model for Korea Plant Name Index)

  • 이유미;김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09-321
    • /
    • 2007
  •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분류학회가 공동으로 국내 최초로 전산화된 식물목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로 재배종을 포함한 약 7,000 분류군을 대상으로 항상 최신의 자료를 갱신할 수 있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온라인상에 구현하였다. 국가표준식물목록은 37명의 국내 전문분류학자가 참여한 우리나라 식물목록과 관련된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이다. 본 연구는 국가표준식물목록 생성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수립하였다. 개발된 광릉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식물목록과 관련된 문헌과 다양한 분류학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이 모델은 다양한 분류학적 수준의 학명과 잡종명, 재배명, 이명, 기본명, 국명 및 명명법과 관련된 기타 자료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표준식물목록 데이터베이스는 앞으로 개발될 생물정보시스템들의 개발에 있어 식물의 학명과 관련된 정확하고 일관성이 있는 표준 데이터베이스 기반을 제공하게 되었다.

A new record of Scutellaria (Lamiaceae) in Korean flora: S. guilielmii A. Gray

  • KIM, Jung-Hyun;YANG, Young-Tae;LIM, Chae Eun;KIM, Jin-Seok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3-108
    • /
    • 2021
  • A new distribution of Scutellaria guilielmii A. Gray is discovered in Korea. This species was collected from seashores on Pyoseon-ri, Pyoseon-myeon, Seogwipo-si, Jeju-do. S. guilielmii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Korean taxa of the genus by having broadly winged nutlets (fruits). Here, we provide a precise description, illustrations, key to the related taxa, and photographs of its habitat. The new Korean name is given as 'Nal-gae-gol-mu-kkot', considering the broadly winged nutlets (fruits). In addition, new habitats are likely to be discovered through plant biodiversity surveys of the southwestern coastal islands.

A newly recorded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Prunus speciosa (Koidz.) Nakai (Rosaceae, Prunoideae)

  • Kim, Chan-Soo;Moon, Myung-Ok;Kim, Soo-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3-258
    • /
    • 2011
  • Prunus speciosa (Koidz.) Nakai belonging to Prunoideae of Rosaceae, a species previously unrecorded in Korean flora, is described. Prunus speciosa (Koidz.) Nakai is similar to Prunus sargentii Rehder and Prunus jamasakura Siebold ex Koidz., but different because it has toothed lobes of calyx tubes with the apex of leaf serrations aristate. This species is naturalized widely in the eastern parts of Jeju Island but is endemic to Japan.

A new record of Tordylium maximum (Apiaceae) from Korea

  • KIM, Kyeonghee;EOM, Eui-ho;SHIM, Sang Deog;NAM, Myoung Ja;KIM, Bong Seok;KIM, Jung-Hy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1-76
    • /
    • 2022
  • Tordylium maximum L. (Apiaceae), native to south, south-central Europe and southwest Asia and a rare alien plant in northern Europe, was newly found in Jeollabuk-do in Korea. Tordylium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genera by having radiating petals, filiform bracts, linear bractlets, stalked mericarps with minutely vesicular dorsal face or strigose hairs, and an annual habit. Tordylium maximum is different from other species of the genus by its mericarps with smooth margins and 10-16 rays not contracted in fruit. T. maximum grows on dry and sunny grasslands. Here, we report the first occurrence of the genus Tordylium represented by T. maximum in Korea and provide a precise description, illustration, photographs of the species, and a taxonomic key to allied taxa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