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 Influencing Factors

검색결과 8,907건 처리시간 0.045초

국내 암환자의 항암제 사용 및 본인부담비용에 대한 실태조사 (Anticancer Drug Use and Out-Of-Pocket Money Burden in Korean Cancer Patients: A questionnaire Study)

  • 김해숙;장진경;손현순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9-250
    • /
    • 2012
  • In recent years, national health insurance(NHI) coverage had been expanded gradually for cancer as a severe disease requiring high level of medical expenditure, to reduce patient's financial burden. But, subjective burdens level for out-of-pocket(OOP) money expense are still considerable owing to high medical cost and decent numbers of services not covered by benefit pla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OOP medical expenditure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financial burden in cancer patients. A 28-items questionnaire for self-reporting by responders was designed to satisfy study goal and finalized following by one pilot study and experts' verification process. Subjects were enrolled during July to October 2010 through regular meetings organized by five patient or patient-advocacy groups had acknowledged the study purpose. Subjects who aged 20 or more, have histories of cancer diagnosis and anticancer drug use,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recruited. Total 107 subjects included in the analysis have cancer lesions in breast, colon, kidney, liver or stomach at the stages from I to IV. Approximately 73% of them has passed less than 5 years since cancer diagnosis. For the OOP medical expenditure regarding cancer, less 6 million won was in 31%, 6-15 million won in 35% and more than 15 million won in 28% of responders, and more than half responders(58%) felt financial burden subjectively. 63% of responders had subscribed commercial insurances, resulting in money receipts of more than 10 million won since cancer diagnoses in 76% of responders.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OOP financial burden level depending on gender, household income level, benefit type, commercial insurance money receipt degree, year cancer diagnosed, cancer lesion, therapy type, duration of anticancer drug use, drug listing in national formulary, total OOP medical expenditure and total OOP anticancer drug expense. They had mixed feelings both wishes to expand NHI coverage to reduce financial burden(70%) and no willingness to increase premium(59%). This result suggested that NHI might direct future strategies to reduce absolute total OOP medical cost and expand benefit plan coverage in higher burden groups in particular.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의 흡연 실태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Smoking condition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and relations with self-esteem in a local district)

  • 이성림;고은경;최정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3-133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smoking condi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knowledge regarding smoking and oral hygiene,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self-esteem, to provide fundamental basis, developing programs for 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Methods : From September 7, 2010 to September 16, 2010, questio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66 female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dental hygienics at a local district in Jeollanam-do.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hi-square tes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multiple range test, Perason's correlation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 Results : 1. Smoking condition of study subjects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17.1%, where 14.0% of previous smoking history, and 68.9% of currently nonsmoker. 2. Analysis on the knowledge related to smoking and oral hygiene,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self esteem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have shown bett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in non-alcoholic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knowledge about smoking and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ccording to current resident status, but no difference found in self-esteem. Higher academic grade was related to high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better ics. aalcell. Better health, but no diffeoral hygiene were related to bett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be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vorable interpersonal self-estehip was related to bett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3. Analysis on knowledge regarding smoking related health and oral hygiene,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self-esteem showed higher level of anti-smoking knowledge in non-smoking group(60.44) compared to currently smoking group or group with previous history of smoking, and bett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in non-smoking group(53.54) than other group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Correlation analysis among smoking related knowledge,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self-esteem has found rel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smoking related knowledge and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0.481, p<0.001). 5. Among factors influencing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higher level of smoking related knowledge and satisfaction to specialty was related to high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which was lower in current smoker than past smoker, and higher academic grade was related to high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Conclusions : Following results emphasize the need to establish a novel curriculum by which effective programs for smoking prevention and education of anti-smoking specialist could be provided as well as promoting coaching anti-smoking activity.

중년기 장기요양 환자의 영양 상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Middle-Aged Long-Term Care Patients)

  • 오청욱;박윤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63-37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장기요양 환자의 영양 상태와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40-65세의 병원입원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2015년 2월 1일부터 2015년 3월 31일까지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영양 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는 각각 평균 $15.85{\pm}3.85$, $24.70{\pm}15.85$, $3.54{\pm}1.22$점이었다. 영양 상태와 삶의 만족도(r=.281, p<.005)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인 반면, 영양 상태(r=-.439, p<.001), 삶의 만족도(r=-.574, p<.001)와 우울은 모두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beta}=.387$, p=.000)과 우울(${\beta}=.251$, p=.010)이며, 36.0%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므로, 중년기 장기 요양 환자들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성인 동맥관 개존증 수술 후 좌심실 기능 저하의 위험 인자 분석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Dynsfunction in Adult PDA)

  • 윤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0호
    • /
    • pp.785-791
    • /
    • 2000
  • Left ventricular dysfuction is common in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s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heart diseases with chronic left ventricular volume overload. We speculated postoperative changes of left ventricular volume and unction in patients with patent ductus osus(PDA) who had underwent surgical repair at ages older than 16 years. Factors influencing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volume and function were also analyzed. Material and Method: From August 1989 to August 1999 thirty-siz adult patients with PDA 28 females and 8 mal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ir age ranged from 16 years to 57 years(mean :32 years). Types of surgical repair were division with primary closure in 22, division with patch closure in 6, internal obliteration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in 4 and ligation in 4. Aortic clamping was combined during surgical repair in 22(61%) and cardiopulmonary bypass was used in 8(22%)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studies were performed in 34(94%) preoperatively and in 25(66%) immediate postoperatively to assess postoperative changes of left ventricular internal dimensions. left ventricular volume and ejection fraction. Duration of postoperative follow-up ranged from 1 month to 99 months (mean:22 months) and 10 patients underwent 16 echocardiographic evaluation during this period Result :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systolic dimensions(LVIDs) were 42$\pm$8.0mm and 42$\pm$8.3mm left ventricular diastolic dimensions(LVIDd) were 64$\pm$10.0mm and 56$\pm$7.4mm left ventricular end systolic volumes(LVESV) were 62$\pm$19cc (z=1.87$\pm$0.06) and 59$\pm$24cc(z=1.78$\pm$0.08) left ventricular end diastolic volumes(LVEDL) were 169$\pm$40cc(z-1.17$\pm$0.1) and 112$\pm$29cc(z=0.85$\pm$0.1) and ejection fractions(EF) were 66$\pm$6.7% and 48$\pm$12.6%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lues in LVDIDd(p=0.001) LVEDV(p=0.001) and EF(p=0.0001)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LVIDs and LVESV. Postoperative depression of ejcection frac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z-score of preoperative LVESV and LVEDV by univariateanalysis while LVEDV only was significant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LV dysfunction by multiple regressioin analysis ($\Delta$LVEF=-13.3-4.62$\times$LVEDV(z), p=0.001) During the follow-up periods ejection fractions become normalized in all except one patients. Conclusion ; Left ventricular function is usually deteriorated after the surgical correction of PDA in adult age and preoperative LVEDV is a major determinant of postoperative LV function.

  • PDF

여자 대학생의 신체활동 정도와 관련요인 (Assessing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Level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김광숙;이정열;김인숙;이태화;조은희;이현경;이경은;김신혜;권석현;문선혜;임사라;김수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66-47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influencing fact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 Cross-sectional survey data including physical activity, exercise self-efficacy, social influences on physical activ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collected from 213 subjects. Data from 204 subjects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level of physical activity was 2,750.97 MET-min/week. Physical activity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exercise self-efficacy as well as social influences, an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ag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showed that physical activity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was predicted by type of leisure activity, relative health status, social influences, and ag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a program for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should include interesting and dynamic leisure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erforming together with friends should be developed.

가정교육과 학생들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i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66
    • /
    • 2013
  • 가정교육과 학생들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을 살펴봄으로써 가정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2011년 10월에서 11월까지 서울소재 2개 대학과 지방소재 2개 대학 가정교육과 학생들과 서울소재 A대학의 국어와 수학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정교육과 학생들의 일반적 관심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보통이상이나 사회적 인식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국어나 수학교육과와 비교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학교에 따라서도 학과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학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고려하는 직업으로 타과교사와 전공 비관련 직업을 들었고 가정교사는 가장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 관련 직업을 고려하는 학생들이 전공 비관련 직업을 고려하는 학생들보다 학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학과, 학교, 학년, 성별, 고려직업 모두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결정수준은 학과만족도 중 일반적 관심 만족에만 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가정교과가 사회에서 꼭 필요하고 타 교과와 차별화되는 교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가정교과의 패러다임을 확립하고 이에 따른 교과과정으로 개편하여 가정교과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교과내용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교수방법을 개발 사용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학생들의 가정교육에 대한 신념과 열의를 높여 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학생들의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진로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진로상담 등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두릅(Aralia elata)의 체세포배 유도, 발아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omatic Embryo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Aralia elata Seem.)

  • 문흥규;오경은;손성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5-280
    • /
    • 1999
  • 두릅나무 (Aralia elata Seem.) 2년 생 11개체의 동아를 1.0 mg/L 2,4-D, 3% sucrose, 0.3% gelrite를 포함한 MS 고체 배지에서 체세포배 형성, 발아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개체목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는 개체목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발아 및 식물체 재분화는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배발생 캘러스는 대체로 노란색을 띠었고, 조성은 비배발생 캘러스보다 부드럽고 생장은 다소 느렸다. 체세포배의 발아 및 식물체 재분화는 MS배지의 염류 농도가 크게 영향하였고, 기본배지보다는 염류 농도를 반감시킨 1/2 MS배지에서 BA및 ABA의 처리에 관계없이 양호한 배발아 및 식물체 재분화를 나타냈다. BA처리는 0.1mg/L 농도에서 배축과 자엽 발달에 다소 촉진효과를 나타냈으나 발아와 재분화율은 기본배지보다 우수하지 못했다. 발아되는 배는 자엽수 및 형태에 있어 다양한 변이를 나타냈다. ABA처리는 두릅 체세포배의 발아 및 재분화에 비효과적이었다. 재분화된 식물체는 인공배양토에서 95%이상 환경순화되어 포지에 이식 후 형태적 변이 없이 정상생장이 가능하였다.

  • PDF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자살성 남녀 비교 : 서대문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of Adolescent Suicidality: Focused on the General Strain Theory)

  • 남석인;최권호;민지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467-491
    • /
    • 2011
  • 본 연구는 청소년 자살성(suicidality)의 성별차이를 일반긴장이론(general strain theory)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 서대문구 3개 중학교 학생 8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t-test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관계적 긴장에 해당하는 아버지의 학대 피해와 학교폭력 피해는 남자 중학생의 경험이 유의미하게 더 많았다. 둘째, 자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남자 중학생은 지위적 긴장에 해당하는 경제적 상황이, 여자 중학생은 관계적 긴장 요인에 해당하는 아버지의 비신체적 학대 피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신체적 학교폭력 피해는 남녀 모두의 자살성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주요 생활환경인 가정과 학교에서의 사회복지적 접근을 통해 남자 중학생의 지위적 특성과 여자 중학생의 관계적 특성에 주목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교사회복지사 및 관련기관의 네트워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반월상연골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inside to out 봉합술의 결과 (Results of Arthroscopic inside to Out Repair of Meniscus Tear)

  • 김보현;황인성;윤태봉;변재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4
  • 목적: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inside to out봉합술후 임상적 치유와 환자의 만족도를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따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8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Inside to out 봉합술을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시행 후 12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95명 1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임상적 치유와 주관적 만족도로 평가 하였으며 이들 결과에 대한 나이,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 파열의 부위, 파열 길이, 파열의 종류, 관절 연골의 손상 정도, 동반된 전방 십자인대 수술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치유는 84례(76%)이었으며,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98례(89%)이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동반한 경우에, 파열 길이가 2cm이하인 경우가 2cm이상인 경우보다. 관절 연골의 퇴행성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가 심한 경우보다 임상적 치유율과 환자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의 경우에, 수상후 수술까지의 기간이 짧을수록, 파열의 종류가 종 파열인 경우 임상적 치유율이 높았다. 복잡 또는 퇴행성 파열의 경우 낮은 임상적 치유율에 비해 환자의 만족도는 높았다. 결론: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Inside to out 봉합술은 다양한 봉합이 가능하고 사용이 쉬운 술식이다. 반월상 연골의 봉합 여부 결정에 있어 환자의 연령은 절대적인 고려 대상이 아니며, 퇴행성 또는 복잡파열, 관절연골의 손상이 동반된 파열의 경우 환자선택과 수술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증을 줄일수 있으며, PASTA 병변을 포함해서 후상방 파열과 동반되지 않은 견갑하건의 부분 파열은 매우 적합한 관절경하복원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CART 분석을 이용한 지하철 마모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upon the Metro Wear Using the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 정민철;이원우;김정훈;공정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38-38
    • /
    • 2011
  • 일반적으로 레일마모는 열차의 주행안전 및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소음 진동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레일마모가 발생할 경우 궤도구조의 파괴를 촉진시킴으로써 차량 및 궤도유지보수비를 크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구간 특성 및 환경 영향 인자 등 현장에서 발생하는 마모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마모를 저감할 수 있도록 차량운행 조건과 선로선형 및 궤도구조를 설계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분류와 회귀나무) 분석은 패키지화된 좋은 분류 및 예측도구 기법으로 나무의 상위 분리수준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입력변수들을 사용하는 등의 입력변수를 선정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변수 구간특성 및 환경인자를 고려한 검측 자료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회귀 나무기반 모델(TBM: Tree Based Model) 분석 수행을 위해 지하철 2호선 마모 데이터와 마모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다변수 구간특성 및 환경인자를 사용하였다. 2호선 지하철의 구간특성 인자 및 환경인자는 레일의 종류, 레일의 위치, 도상, 곡률반경, 캔트 슬랙 및 운행 일수 등으로 구분하였다. 레일의 종류는 ks-50kg과 ks-60kg 두 종류의 레일이 있으며, 레일의 위치는 지상과 지하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도상은 콘크리트 도상, 자갈 도상과 일부 구간의 방진상 콘크리트 도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곡률반경은 직선구간과 완화곡선 구간 및 최소 250m부터 627m까지 분포된 원 곡선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캔트 간격은 최소 96cm 부터 120cm 간격으로 구분하며, 슬랙은 5~9cm에 분포하고, 운행 기간은 해당 기간 동안 유지보수 이력이 없는 구간을 선정하여 2005년부터 2006년까지 4번에 걸쳐 검측된 지하철 2호선 내선 마모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총 X1부터 X7까지 총 7개의 구간특성 또는 환경특성을 영향인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인자에 의해 결정되는 종속 인자로 Y1인 직마모와 Y2인 측마모를 선정하여 이 중 실질적으로 지하철 궤도의 성능 평가에 주요 판단인자로 사용되는 측마모와 구간특성 및 환경영향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해당 마모 데이터가 검측되는 기간 동안 유지보수 이력이 없는 12272 point의 데이터를 검출하였고 CAR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CART 프로그램의 해석을 위해 종속변수인 직마모량은 각 검측 지점의 마모량에 해당하는 등급으로 변환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레일의 마모에 영향을 미치는 구간특성 및 환경인자와 종속 변수로 사용된 레일의 마모량 사이의 CART를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은 실제 구조물에서 영향인자간의 상관 관계와 유사하며,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정량화된 검측 데이터를 종속변수로 하여 구간특성 또는 환경인자 등 외부 영향인자를 고려한 궤도 검측데이터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