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Dirac delta distribu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ON THE PARAMETIC INTEREST OF THE BLACK-SCHOLES EQUATION

  • Kananthai, Amnuay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8권3_4호
    • /
    • pp.923-929
    • /
    • 2010
  • We have discovered some parametics $\lambda$ in the Black-Scholes equation which depend on the interest rate $\gamma$ and the Volatility $\sigma$ and later is named the parametic interest. On studying the parametic interest $\lambda$, we found that such $\lambda$ gives the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existence of solutions of the Black-Scholes equation which is either weak or strong solutions.

Two-Dimensional Probability Functions of Morphological Dilation and Erosion of a Memoryless Source

  • Sangsin Na;Park, Tae-Young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51-155
    • /
    • 1996
  • This paper derives the two-dimensional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density functions of morphological dilation and erosion of a one-dimensional memoryless source and reports numerical results for a uniform source, thus providing methodology for joint distributions for other morphological operations. The joint density functions expressed in closed forms contain the Dirac delta functions due to the joint discontinuity within the dilation and erosion. They also exhibit symmetry between these two morphological density functions of dilated and/or eroded sources, in the computation of other higher moments thereof, and in multidimensional quantization.

  • PDF

충격성 잡음하에서 오차 분포에 기반한 알고리듬의 성능향상 (Performance Enhancement of Algorithms based on Error Distributions under Impulsive Noise)

  • 김남용;이규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9-56
    • /
    • 2018
  • 오차 신호에 대해 가우시안 커널이 가지는 과도신호 차단효과를 기반으로 설계된 오차분포와 델타함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ED)가 충격성 잡음하에서 효과적인 성능준거로 사용되어왔다. ED의 최소화 과정에서 필요한 기울기는 두 가지 성분, 즉, 오차 쌍의 커널함수에 대한 성분$A_k$와 오차 샘플 자체의 커널함수에 대한 성분 $B_k$를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성분 $A_k$가 오차 샘플들을 서로 결집시키는 역할과 관련되어 있으며, 성분 $B_k$는 오차샘플들의 결집위치가 영(0)이 되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고 분석되었다. 이 분석에 기반하여, 이 논문에서는 오차 샘플간 간격을 좁히는 역할을 강화하고자 $A_k$를 커널 통과된 오차쌍의 전력으로 정규화하고, 오차 샘플들을 0점에 당기는 역할을 강화하고자 $B_k$를 커널 통과된 오차샘플 자체의 전력으로 정규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충격성 잡음과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 환경하에서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여, 정상상태의 MSE 가지는 흔들림 정도와 최소 MSE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식이 가지는 효용성과 두 성분의 역할이 분석과 일치함이 규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