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re evaluation

검색결과 1,885건 처리시간 0.027초

SPOT HRV 영상을 이용한 부산 지역 토지피복분류에 있어서의 질감의 기여에 관한 평가 (An Evaluation of the Use of the Texture in Land Cover Classification Accuracy from SPOT HRV Image of Pusan Metropolitan Area)

  • 정인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2-44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질감을 분광정보와 함께 사용했을 때의 분류정확도의 향상을 평가하는데 있다. 먼저 부산지역의 SPOT HRV 영상에 최대우도분류를 적용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3번 파장에서 다양한 질감을 추출한 다음, 이 질감을 신파장의 형태로 분광정보에 통합하여 분류하여 질감의 사용이 분류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질감별로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는 전체적인 정확도와 토지피복별 정확도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인 정확도 향상을 관측할 수 있었는데, 특히 엔트로피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그리고 창의 크기는 $5{\times}5$$7{\times}7$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질감에 따라서는 전체적인 정확도는 향상되지 않더라도 일부 토지피복의 정확도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피복별로는 저층건물지역, 아파트 단지. 고층건물지역, 공업지역 등 도시지역의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탈지 대두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ulgidduk Added with Defatted Soy Flour)

  • 지옥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42-350
    • /
    • 2010
  • 본 연구는 멥쌀가루에 고단백 저지방 식품인 탈지 대두 분말의 첨가량을 0%인 대조군과 2.5, 5, 7.5, 10% 첨가군으로 하여 설기떡을 제조한 후 수분 함량, 색도, 기계적인 texture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탈지 대두 분말 설기떡의 수분 함량은 탈지 대두 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색도는 탈지대두 분말의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여 탈지 대두 분말 설기떡의 명도가 높을수록 적색도와 황색도는 낮게 나타났다. Texture analyzer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조군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탈지 대두 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점착성은 증가하였으나 부착성과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은 감소하였고, 씹힘성은 탈지 대두 분말 1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견고성과 부착성을 제외한 측정 항목에서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5% 첨가할 때까지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며, 부드러운 정도와 씹힘성은 2.5% 첨가할 때까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탈지 대두 설기떡의 맛과 기능적 특성에 기대를 걸어보며, 앞으로 후속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PDF

동결김치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과 맛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alysis in the by Taste and Quality Freeze-Dried Kimchi Powder Adding of Noodles)

  • 조용범;강병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126
    • /
    • 2003
  • 김치국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동결김치분말을 만들어야 하는데, 김치시료는 김치를 담아 5$^{\circ}C$에 저장하며 이틀째 되는 날과 10일, 15일, 25일 김치를 꺼내 pH 4.0∼4.7, 산도 0.5∼0.8% 사이의 김치가 일반적인 적숙기로 판단되어 이 중 국수제품의 시료에 가장 적당한 14일 정도 경과한 김치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한 다음 국수제춤의 첨가량을 조절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동결김치분말 첨가는 4%가 최적점으로 나타났다. 김치 국수를 국수적인 관점과 김치의주 성분인 김치 맛의 측면과 향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항목을 선정하여 수행하여 고소한 맛, 부드러움, 점도 미치 오일향 등의 국수적인 질감 측면과 색도, 김치향, 매운맛을 항목으로 하였다. 전체 경향에서 control에서 보이는 높은 오일향이나 고소한 맛 등은 동결김치분말 첨가량에 따라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특이적으로 6% 첨가군에 있어서는 김치향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의 경향이 매우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다. 점도나 부드러움같은 질감(texture)의 관점에서는 6% 이상 첨가시 국수의 면발이 부서지듯 짧게 끊어지고 4% 이하 첨가시 기존의 국수와 차이가 없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묘사 분석까지의 관능검사 결과 4%가 관능적으로 최적점을 도출하였다.

  • PDF

유청분말 첨가가 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Whey Powder)

  • 이경혜;김경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73-1078
    • /
    • 2000
  • 치즈제조공정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유청을 분말화한 후 생면 제조용 원료 밀가루 중량에 대하여 2.5%(T-I), 5.0%(T-II), 7.5%(T-III), 10%(T-IV)를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제조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밀로그래프, 파리노그래프, 익스텐시그래프를 사용한 리올로지특성의 결과 유청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가 지연되었으며, 수분흡수율과 반죽형성기간은 감소하였고, 반죽의 안정도는 처리구 T-IV에서 가장 길게 나타났다. 또한 최대저항도는 유청분말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였고, 신장도는 감소함을 보였다. 조리면의 성질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게와 부피는 상대적으로 감소함을 보였고, 탁도는 증가하였으며, 조리면에 대한 TPA(texture profile analysis)결과 유청분말 처리구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와 씸힘성은 각각 감소함을 보였다. 평점법을 적용한 관능평가(p<0.05)의 결과 조직감에서는 대조구와 처리구 T-I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처리구 T-II, T-III, T-IV와 대조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처리구 T-II, T-III에서 상대적으로 평점이 높았으며,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표면색의 측정결과 L값과 a값은 감소하였고, b값은 증가하였다.

  • PDF

꽁치 너겟의 텍스처 특성 및 지방산패에 따른 품질특성 연구 (Study on the Textur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Antioxidants on Saury (Cololabis saira) Nuggets)

  • 김기륜;김현아;이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25-63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water content in high omega-3 fatty acid Saury nuggets for the desirable texture. The approach was made with adding water and onion at various levels (0~20%). The main ingredients of the nuggets included saury mince, mild pizza cheese, and hydrated textured soy protein concentrate. The formulated products were molded (dia. 4.5, thickness 1.5 cm, 20 g), lightly battered, and flash fried for 4 min. at $160^{\circ}C$, and then frozen until tested. The frozen nuggets were cooked at $165^{\circ}C$ and subjected to sensory evaluations, texture analysis, and water content analysis during warming (0~60 min), as well as assessments of acid, peroxide, and TBA values (during 10 days of storage at $24^{\circ}C$). In the sensory evaluation, preference for texture was highest in the nuggets made with a 15% onion level. The hardness of the nuggets increased with increasing onion level. Moisture content was highest in the nuggets made with a 20% water level. Changes in hardness during warming (0~60 min) of Saury nuggets containing various water and onion levels increased in nuggets made with the 20% water level. The acid, peroxide, and TBA values of the Saury nuggets made with herbs and oriental herbal extracts decreased up to 10 days of storage.

금감 가공식품(加工食品)의 제조(製造)와 품질특성(品質特性) (Manufacture of Processed Foods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from Kumquats, a Citrus Variety Produced in Cheju)

  • 고정삼;김찬식;고명수;양영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3-38
    • /
    • 1993
  • 제주산 금감을 소재로 원료특성, 냉동금감의 기호성, 금감잼 등의 가공식품의 제조와 특성 등을 검토하였다. 시설재배한 영파금감은 과실의 청경이 29.5 mm, 과중이 16.10g, 껍질의 두께가 4.63 mm, 단산비가 20으로서 생식용 및 가공용 금감으로서 우수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citric acid 58.27%, malic acid 32.49%, tartaric acid 9.14%, maleic acid 0.08%로서 malic acid 함량이 높아 온주밀감쥬스와는 매우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18^{\circ}C$에서 6개월간 저장한 냉동금감에 대한 기호성에서 외관, 맛, 물성 모두 보통 이상으로 평가되어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냉동금감의 비타민 C 함량은 74.94 mg/100g으로 법동기간 중에 초기에 감소하다가 후기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오렌지쥬스만으로 제조한 잼의 경도는 1,294 g-force이며, 금감쥬스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경도는 비례적으로 감소하였고 다른 texture parameter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금감쥬스를 $40{\sim}60%$, 함유한 금감잼은 오렌지쥬스 만으로 제조한 잼에 비하여 기호성이 우수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Impact of Iterative Reconstruction Algorithms on Computed Tomography Texture Features of the Liver Parenchyma Using the Filtration-Histogram Method

  • Pamela Sung;Jeong Min Lee;Ijin Joo;Sanghyup Lee;Tae-Hyung Kim;Balaji Ganesha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4호
    • /
    • pp.558-568
    • /
    • 2019
  •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computed tomography (CT) reconstruction algorithms affect the CT texture features of the liver parenchyma.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comprised 58 patients (normal liver, n = 34; chronic liver disease [CLD], n = 24) who underwent liver CT scans using a single CT scanner. All CT images were reconstructed using filtered back projection (FBP), hybrid iterative reconstruction (IR) (iDOSE4), and model-based IR (IMR). On arterial phase (AP) and portal venous phase (PVP) CT imaging, quantitative texture analysis of the liver parenchyma using a single-slice region of interest was performed at the level of the hepatic hilum using a filtration-histogram statistic-based method with different filter values. Texture feature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reconstruction methods and between normal livers and those from CLD patients. Additionally, we evaluated the int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y of the CT texture analysis by calculat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Results: IR techniques affect various CT texture features of the liver parenchyma. In particular, model-based IR frequent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FBP or hybrid IR on both AP and PVP CT imaging. Significant variation in entropy was observed between the three reconstruction algorithms on PVP imaging (p < 0.05). Comparison between normal livers and those from CLD patients revealed that AP images depend more strongly on the reconstruction method used than PVP images. For both int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y, ICCs were acceptable (> 0.75) for CT imaging without filtration. Conclusion: CT texture features of the liver parenchyma evaluated using the filtration-histogram method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T reconstruction algorithm used.

양고기를 인식하는 관능적 요인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sor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dentification and Preference of Lamb Meat)

  • 김기륜;이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36-544
    • /
    • 2005
  •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beef steak was preferred with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while lamb steak was less preferred than pork in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Sensory 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aste, aroma, or texture is the dominant contributor to people's ability to identify the animal species of meat. The meat samples used were beef, pork, and lamb. Panelists wearing eye masks ate cooked pieces, patties, and heated soups prepared from the meats of these 3 species with and without pinching their noses to regulate the aroma sensation. The results led us to the conclusion that aroma i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 to the identification of lamb meat, with texture being the 2nd most important contributor. The contribution of taste appeared much smaller than that of aroma and texture. A sensory evaluation of lamb steaks with added herbs or herbal vegetables showed that steak with ginger and rosemary was preferred as having the significantly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It was also more preferred au 3 kinds of steak with added garlic and mint, garlic and rosemary, and ginger and mint in appearance, taste and flavor,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ce test, odor was least noticeable in lamb steak when ginger and rosemary were added. Its taste gained the highest preference level,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 sensory evaluation that measured the effect of herbs and herbal vegetables on lamb steaks showed that steak with ginger and rosemary had the significantly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The second most preferred was beef steak, which had most significantly preferred in taste, and which ranked lower than lamb in flavor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difference test showed lamb steak with ginger and rosemary scored the least odor and the highest level of palatability.

구기자 침출액을 첨가한 녹두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mook Added with Gugija (Lycii fructus) Infusion)

  • 김애정;정진주;이명숙;주나미;정은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8권3호
    • /
    • pp.213-221
    • /
    • 2012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mook prepared with five different levels (0, 5, 10, 15, and 20%) of Gugija (Lycii fructus) infusion. We analyzed Hunter's color values, pH, texture characteristics, and perfomed sensory evaluation of mungbeanmook prepared with Gugija infusion. The pH levels of mungbeanmook ranged between 5.45 and 6.12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s Gugija infusion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lor lightness "L" value decreased, whereas redness color "a" value and yellowness color "b" values increased (P<0.05). With regard to mechanical texture properties of the mungbeanmook samples, as the Gugija infusion concentration increased, the scores of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all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ringiness or cohesiveness.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score of the LFLT10 sample (10% Gugija infu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s in terms of tast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quality (P<0.05). Taken together, the recommended optimum level of Gugija infusion in mungbeanmook is 10% for sensory evaluation. Gugija infusion can be a useful approach to improving quality of mungbeenmook as a functional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