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al analysis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9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코로나 이전과 이후 메타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 Perception of Metaverse Before and After COVID-19 through Big Data Analysis)

  • 박성우;박준호;류기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287-29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발병 이후 비대면 사회가 지속됨에 따라 새롭게 각광받는 기술인 "메타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메타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어 정제를 통하여 상위 30개의 키워드를 추출, 이를 토대로 각 키워드간의 연결망 분석, Concor분석을 통하여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분석을 진행한 결과 비대면 사회가 지속되며 메타버스가 트렌드로 급 부상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전의 메타버스는 라이프 로깅의 한부분으로써 SNS 같은 텍스트 데이터에 치중되어 있었지만 이후, 가상현실 공간에 주목하기 시작하여 많은 플랫폼을 발생시키고 산업도 확대 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포털사이트의 검색빈도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익명성이 보장되어있어 데이터 수집 시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Health and Safety at Work: Analysis from the Brazilian Documentary Film Flesh and Bone

  • Mendes, Luciano;dos Santos, Heliani Berlato;Ichikawa, Elisa Yoshi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4호
    • /
    • pp.347-355
    • /
    • 2017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make some analysis on the process of work and accidents occurring in slaughterhouses, evidenced in the Brazilian documentary film called Flesh and Bone. As such, it was necessary to discuss an alternative theoretical concept in relation to theories about health and safety at work. This alternative discussion focuses on the concepts of biopower and biopolitics. Methods: The use of audiovisual elements in research is not new, and there is already a branch of studies with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variations. The Brazilian documentary Flesh and Bone was the basis for the research. The analysis of this documentary will be carried out from two complementary perspectives: "textual analysis" and "discourse analysis." Results: Flesh and Bone presents problems related to health and safety at work in slaughterhouses because of the constant exposure of workers to knives, saws, and other sharp instruments in the workplace. The results show that in favor of higher production levels, increased overseas market sales, and stricter quality controls, some manufacturers resort to various practices that often result in serious injuries, disposal, and health damages to workers. Conclusion: Flesh and Bone, by itself, makes this explicit in the form of denunciation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se workers. What it does not make clear is that, in the context of biopolitics, the actions aimed at solving these problems or even reducing the negative impacts for this group of workers, are not efficient enough to change such practices.

GTS-VL: 스마트 IoT에서 안전 요구사항 분석과 검증을 위한 시각화 논리 언어 및 도구 (GTS-Visual Logic: Visual Logic and Tool for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Secure Requirements in Smart IoT Systems)

  • 이성현;이문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9호
    • /
    • pp.289-304
    • /
    • 2022
  • 스마트 IoT의 특징인 분산성 및 이동성에 기반한 안전 요구사항을 분석 및 검증하기 위한 프로세스 대수 및 논리가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의 프로세스 대수 및 논리는 분산성 및 이동성에 대한 표현이 제한적이므로 스마트 IoT의 요구사항 분석 및 검증이 비직관적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GTS-VL(Geo-Temporal Space-Visual Logic)을 제시한다. GTS-VL은 GTS에서 표현된 블록 간의 관계를 다루는 1차술어논리이며, GTS는 프로세스 대수인 dTP-Calculus를 사용하여 명세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2차원 시공간에서 표현한 그래프이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SAVE 도구는 ADOxx Meta-modeling Platform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SAVE를 사용하여 PBC(Producer-Buffer-Consumer) 예제의 안전 요구사항을 분석 및 검증하고 문자 및 시각화 기반 검증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장점 및 실용성을 보인다.

7학년 교과서의 확산현상 기술에 대한 분석과 과학교사들의 확산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 (Analysis of Description of Diffusion Phenomena in the 7th Grade Textbook and Diagnosis of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Diffusion Concepts)

  • 구선아;채희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83-3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확산 현상에 대한 7학년 과학교과서의 기술을 분석하고,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확산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데이터는 교과서 분석, 46명의 교사에 대한 설문 조사,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해 얻어졌다. 확산의 정의, 예시 및 모형에 대한 교과서 분석에 의하면 대부분의 표현들이 물속에서 잉크의 움직임을 관찰하기나 공기 중에서 향수냄새 맡기와 같이 거시적으로 설명되어 있었다. 또한 확산의 정의나 설명이 너무 축약적이어서 교사들이 물질과 매질의 충돌과 같은 미시적인 개념에 대한 추가 정보 없이는 개념을 이해하여 가르치기가 어려웠고, 확산 현상의 정의에서 농도차를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 설문조사와 면담 분석 결과 예시나 모형은 과학교사들로 하여금 용해, 분출 그리고 증발과 같은 개념과 혼동하도록 유도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교사들의 확산개념에 대한 이해도는 교과서에 매우 의존적이고 개념의 이해 수준 또한 교과서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과학수업담화의 새로운 독법: 교수학적 담화분석 (A New Way of Reading the Science Classroom Discourse: Pedagogical Discourse Analysis)

  • 이정아;맹승호;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32-847
    • /
    • 2008
  • 이 연구는 언어학적 이론을 과학교육 실제에 접목시켜 '교수학적 담화분석'의 초석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수학적 담화분석이란 언어학적 담화분석을 통해서, 수업언어에 대한 기술을 넘어, 교육적 함의를 이끌어 내는데 초점적인 관심을 둔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과학수업 담화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담화의 구성적 측면을 중심으로 교수학적 담화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기능언어학의 '주제 구조'와 '정보 구조'를 두 축으로 하는 '교수학적 담화분석틀'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것의 가능성과 유용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실제 과학수업의 담화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언어학 이론에 경도되었던 종전의 과학수업 담화분석 연구에서 진일보하여, 교육의 맥락을 보다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논의를 위한 새로운 지평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비건 음식과 비건 패션에서 나타난 비건포비아 현상에 대한 탐구 (Exploring the phenomenon of veganphobia in vegan food and vegan fashion)

  • 최영현;이상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3호
    • /
    • pp.381-397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gative perceptions (veganphobia) held by consumers toward vegan diets and fashion and aims to foster a genuine acceptance of ethical veganism in consumption. The textual data web-crawled Korean online posts, including news articles, blogs, forums, and tweets, containing keywords such as "contradiction," "dilemma," "conflict," "issues," "vegan food" and "vegan fashion" from 2013 to 2021.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and clustering analysis using Python and NodeXL programs. The analysis revealed distinct negative perceptions regarding vegan food. Key issues included the perception of hypocrisy among vegetarians, associations with specific political leanings, conflicts between environmental and animal rights, and contradictions between views on companion animals and livestock. Regarding the vegan fashion industry, the eco-friendliness of material selection and design processes were seen as the pivotal factors shaping negative attitudes.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d a shared negative perception regarding vegan food and vegan fashion. This negativity was characterized by confusion and conflicts between animal and environmental rights, biased perceptions linked to specific political affiliations, perceived self-righteousness among vegetarians, and general discomfort toward them. These factors collectively contributed to a broader negative perception of vegan consump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the complex perceptions and attitudes that con- sumers hold toward vegan food and fashion.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research can aid in the design of more effective campaign strategies aimed at promoting vegan consumerism, ultimately contributing to a more widespread acceptance of ethical veganism in society.

경재(褧齋) 오치익(吳致翼)의 경학관(經學觀) (Gyeongjae O Chiik's Views on Classical Studies)

  • 金暎鎬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145-166
    • /
    • 2009
  • 본 논문은 조선 순조 대 산림(山林)인 노주 오희상의 차자(次子)인 경재(褧齋) 오치익(吳致翼)의 경학관(經學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경재 경학관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재는 부친 노주와는 달리 성리설 보다는 고증학(考證學)에 관심을 두었다. 이에 경재는 『만록(漫錄)』과 『문집』에서 『시경』 『서경』 『주역』 『주례』 『예기』 『춘추』 등 제 경서의 성립 및 의문점에 대한 상세하고 해박한 고증학적 견해를 서술하고 있다. 둘째, 개방성을 들 수 있다. 경재는 『주역』을 신성시하지 않았다. 또한 당시까지만 해도 절대적인 권위로 군림하고 있던 정자(程子)의 『역전(易傳)』과 주자(朱子)의 『본의(本義)』만이 유일무이(唯一無二)의 해석이 아니라 보는 이의 각도에 따라서 얼마든지 다른 견해가 가능하며 또 그런 태도가 바람직한 태도임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서 경재의 주자학적(朱子學的) 세계관(世界觀)을 초탈한 일면을 볼 수 있다. 셋째, 한 대(漢代) 학설에 비중을 두었다. 이에 『논어』의 인명에 대한 견해에서도 경재는 당시까지 권위의 상징이던 주자설 보다도 오히려 유흠설(劉歆說)에 더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感知)할 수 있다. 넷째, 당시 조선시대 유학자들과 다르게 『공양전』과 『곡량전』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공양전』과 『곡량전』에서 문장이 아름다운 것을 선택하여 『공곡문선(公穀文選)』을 편찬하였다. 다섯째, 상수역학(象數易學)에 관심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경재는 역(易)은 의리가 주가 아니라 상수와 점(占)임을 명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이에 『상점유회(象占類會)』를 편찬하였다. 이밖에 『주례』에 관심을 두기도 했다.

특허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술 모니터링 (Monitor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Using Topic Modeling of Patents)

  • 오승현;최하영;윤장혁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3-228
    • /
    • 2017
  • Augmented reality (AR), which is a live direct or indirect view of a real-world environment combined with virtual objects, has grown rapidly owing to its wide application potential. Despite the growth of AR technology and its increased attraction,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identifying sub-technologies of this technology and their evolving trends based on the data encompassing industrial competition. I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we collect AR-related patents granted until 2015 and then identify technology topics constituting AR technology by applying topic modeling to the patents' textual data. Subsequently, this study determines dynamic evolving trends with respect to those identified technology topics using indicators and maps based on the technology topics' patents and citations.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wofold; it provides an overall understanding of AR technology's evolving trends based on text mining of AR patents and will assist technology experts in academia and industry in determining further R&D in the near future.

The Marketing Model Applying the Concepts of Educational Psychology in the Private Educational Service Sector

  • KIM, Seong-Gon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11호
    • /
    • pp.15-22
    • /
    • 2020
  • Purpose: A marketing strategy for private institutions requires marketers to leverage consumer behaviors and educational psychologies when advertising and promoting product portfolios. Indeed, understanding consumers can make marketers more effective, a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ackle private institutions' education marketing by combining marketing theories and learning theor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content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ill be suitable because there exists numerous prior studies regarding marketing strategy and educational theories. Therefore, the current author could obtain and collect adequate textual facts from much of the literature review. Results: Marketing strategies that are mixed with educational theories increase consumer enrolment due to perceived usefulness, and this implies that an adequate marketing model could help improve sustainability and income as a result of enrollment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esearch also identified that marketing is connected to psychology and that marketers can exploi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heories to increase successful enrolment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Conclusions: Most importantly, the target market for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is diverse, and institutions can use direct marketing to appeal to specific audiences. Also, the research implies that diversification strategies can increase enrolment if marketers exploit behavioral learning theories in the marketing process.

영화에서의 공간에 관한 연구 - 히치콕의 영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of Film - Focused on Hitchcock's Film -)

  • 장수;최원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376-382
    • /
    • 2020
  • In the 1970s and 1980s, space installations in films became a new approach to film research. Many film directors and theoretical scholars believe that the space setting in films, other than textual stories, is an important core of film narrative research. Early film scholars have proposed that the film space with sensory narrative mode as the core motive force can promote people'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film content.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pace in films through Hitchcock's films, but have not analyzed the elements and techniques of film space performance in detail. Reviewing the Hitchcock's classic crime film, through the space set in the traditional film, we can discover the movie techniques and concepts related to space. Therefore, this study takes Hitchcock's classic crime film as an example, and through analysis of film space expression techniques, attempts to propose factors for film space creation and bring new spatial perception effects to the aud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