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is-specific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1초

프로폴리스가 X-선에 노출된 마우스 정소에 미치는 방사선 방어 효과 (Radioprotective Effects of Propolis on the Mouse Testis Exposed to X-ray.)

  • 지태정;김종식;정형진;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64-670
    • /
    • 2007
  • 프로폴리스는 꿀벌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물질로서, 항미생물, 항산화, 항암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프로폴리스에 의한 방사선 방어효과에 대한 특성은 잘 연구되지 않았다. 마우스 정소조직을 대상으로 프로폴리스에 의한 방사선 방어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프로폴리스를 섭식시키거나 복강 투여한 후 각각 방사선을 조사한 후, 마우스의 정소조직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세포의 변형이 프로폴리스에 의해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사선 회복 효과의 분자기전을 이해하고자 DNA microarray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만 조사한 마우스에 비해 방사선과 프로폴리스를 동시에 처리한 마우스의 정소에서 2배 이상 증가되는 유전자 65개를 선별하였고, 반대로 2배 이상 감소되는 유전자 진4개를 선별하였다. 이중에서 각각의 유전자군에서 2개의 유전자를 선별하여 RT-PCR을 수행하여 마이크로어레이 결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마우스 모델에서 프로폴리스에 의한 방사선 방어효과의 분자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HYSIOLOGY OF MENSTRUATION

  • Jones, Georgeanna Seegar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권1호
    • /
    • pp.1-17
    • /
    • 1975
  • In summary, progesterone is probably the only naturallly occurring progestational agent of any significance. Small amounts may be synthesized by the cells of the follicle in the provulatory swelling phase; however, the major production is by the corpus luteum cells of the ovary during the luteal phase of the cycle. It is constantly produced in small amounts by the adrenal gland and by the testis in the male. In the adrenal and the testis, it probably serves as the precursor for corticoids and androgens. It is transported in the blood by a specific binding protein and metabolized and conjugated in the liver into sodium pregnanediol glucuronide which also circulates in the blood. Approximately 20% is excreted in the urine as sodium pregnanediol glucronide; pregnanolone represents a minor metabolic product. The pregnanediol which is excreted in the bile is enzymically hydrolyzed by the gut so that the pregnanediol recovered in the feces is in the free form.

  • PDF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Bovine DNA Methyltransferase I

  • Chang, Yoo-Min;Yang, Byoung-Chul;Hwang, Seong-Soo;Yoon, Jong-Taek;Min, Kwan-Sik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3권2호
    • /
    • pp.93-98
    • /
    • 2009
  • In this study, bovine Dnmt1 cDNA was sequenced and detected Dnmt1 mRNA level in bovine tissues by northern blot, methylation pattern of genome by southern blot, specific localization of Dnmt1 in mouse and bovine preimplantation embryos by immunocytostaining and Dnmt1 protein level in ovary and testis by western blot. Bovine Dnmt1 cDNA sequence showed more homology with that of human than mouse and rat. The RNA level of Dnmt1 was 10 times higher expression in placenta than other tissues. This indicates that placenta was hypermethylated compared to others organs. The genomic DNA could not be cut by a specific restriction enzyme (HpaII) in placenta, lung and liver of bovine. It suggests that Dnmt1 in some somatic cells was already methylated. Dnmt1, which has the antibody epitope 1316~1616, was distributed in nucleus and cytoplasm including the stage of pronuclear stage and maturation of oocyte and gradually weaken to blastocyst stage compare to negative. In addition, Dnmt1 was strongly expressed in tetraploid embryo and cloned 8-cell than IVF 8-cell. An aberrant pattern of DNA methylation in cloned embryo may be abnormal development of fetus, embryonic lethality and placenta dysfunction. The somatic specific band (190kDa) was appeared in ovary and testis, but oocyte specific band (175kDa) was no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plex links between the methyltransferases an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genes in the cloned bovine tissues.

흰쥐의 시상하부외 지역에서의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GHRH) 유전자발현;뇌하수체내 국부인자로서 Lactotroph분화에 관여할 가능성에 대하여 (Extrahypothalamic Expression of Rat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GHRH);a possible intrapituitary factor for lactotroph differentiation?)

  • 이성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3호
    • /
    • pp.269-275
    • /
    • 1996
  • Biosynthesis and secretion of anterior pituitary hormones are under the control of specific hypothalamic stimulatory and inhibitory factors. Among them,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GHRH) is the major stimulator of pituitary somatotrophs activating GH gene expression and secretion. Human GHRH is a polypeptide of 44 amino acids initially isolated from pancreatic tumors, and the gene for the hypothalamic form of GHRH is organized into 5 exons spanning over 10 kilobases (kb) on genomic DNA and encodes a messenger RNA of 700-750 nucleotides. Several neuropeptides classically associated with the hypothalamus have been found in the extrahypothalamic regions, suggesting the existence of novel sources, targets and functions. GHRH-like immunoreactivity has been found in several peripheral sites, including placenta, testis, and ovary, indicating that GHRH may also have regulatory roles in peripheral reproductive organs. Furthermore, higher molecular weight forms of the GHRH transcripts were identified from these organs (1.75 kb in testis; 1.75 and >3 kb in ovary). These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GHRH gene suggest the existence of unique regulatory mechanism of GHRH expression and function in these organs. In fact, placenta-specific and testis-specific promoters for GHRH transcripts which are located in about 10 kb upstream region of hypothalamic promoter were reported. The use of unique promoters in extrahypothalamic sites could be refered in a different control of GHRH gene and different functions of the translated products in these tissues. Somatotrophs and lactotrophs have been thought to be derived from a common bipotential progenitor, the somatolactotrophs, which give origins to either phenotypes. Although the precis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lactotroph differentiation in the anterior pituitary gland has not been yet clalified, there are several candidators for the generation of lactotrophs. In human, the presence of GHRH peptides with different size from authentic hypothalamic form in the normal anterior pituitary and several types of adenoma were demonstrated. Recently our group found the existence of immunoreactive GHRH and its transcript from the normal rat anterior pituitary (gonadotroph> somatotroph> lactotroph), and the GHRH treatment evoked the increased proliferation rate of anterior pituitary cells in vitro. The transgenic mouse models clearly shown that GHRH or NGF overexpression by anterior pituitary cells induced development of pituitary hyperplasia and adenomas particularly GH-oma and prolactinoma. Taken together, we hypothesize that the pituitary GHRH could serve not only as a modulator of hormone secretion but as a paracrine or autocrine regulator of anterior pituitary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terestingly enough, the expression of Pit-1 homeobox gene (the POU class transcription factor) was confined to somatotrophs, lactotrophs and somatolactotrophs in which GHRH receptors are expressed commonly. Concerning the mechanism of somatolactotroph and lactotroph differentiation in the anterior pituitary, we have focused following two possibilities; (1) changes in the relative levels or interactions of both hypothalamic and intrapituitary factors such as dopamine, VIP, somatostatin, NGF and GHRH; (2) alterations of GHRH-GHRH receptor signaling and Pit-1 activity may be the cause of lactotroph differentiation or pituitary hyperplasia and adenoma formation. Extensive further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solve these complicated questions.

  • PDF

생쥐 정소에서 비스페놀 에이 (Bisphenol A)가 Leydig Cell의 유전자 발현과 세포자멸사에 주는 영향 (Effects of Bisphenol A on Gene Expression and Apoptosis of Leydig Cells in the Mouse Testis)

  • 어진원;임현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3호
    • /
    • pp.181-191
    • /
    • 2008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agonist로 작용할 수 있는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bisphenol A (BPA)가 정소 내 세포들의 유전자 발현 및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연구방법: 그룹 I의 7주령 수컷 생쥐들에는 sesame oil에 녹인 BPA를 1 mg/kg, 10 mg/kg, 100 mg/kg를 1회 복강주사하여 급성 영향을 조사하였고, 그룹 II의 생쥐들에는 BPA 10 ${\mu}g/kg$, 1 mg/kg, 100 mg/kg를 하루에 1회씩 14일간 피하주사하여 장기적 효과를 보았다. 생쥐의 정소를 채취하여 정소의 다양한 표지유전자들의 발현을 RT-PCR로 조사하였고, 조직학적 관찰, 형광면역염색법과 TUNEL 염색을 수행하였다. 결 과: RT-PCR 결과, 정소의 표지유전자 중 특이적으로 Leydig cell의 표지유전자인 LHR가 고농도의 BPA 처리군에서 감소되어 있었다. 정원세포 표지유전자인 ERM은 장기간 BPA를 주사 받은 생쥐들의 정소에서 감소되었다. 1회의 BPA를 주사 받은 그룹에서는 조직학적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세포자멸사의 표지인 Bax가 Leydig cell이 존재하는 정소의 interstitial area에서 BPA에 의해 증가된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TUNEL 염색이 positive하게 나타난 부분과 일치하였다. 결 론: 본 연구는 BPA가 정소에서 주로 Leydig cell에 영향을 주며 이는 Leydig cell이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에스트로겐 합성효소를 발현하는 내분비 세포라는 사실에 부합되는 것으로, 차후 그 분자적 기작을 밝히는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성적 성숙에 따른 생쥐 부정소의 강소형성과 부정소액내 단백질의 전기영동 양상 (Lumination of Epididymis and Electrophoretic Pattern of Proteins in Epididymal Fluid during Sexual Maruradon in Mouse)

  • 김문규;윤현수;최규완;윤용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4-274
    • /
    • 1989
  • 본 실험은 생쥐에서 부정소액내의 단백질 성분과 조성에 미치는 정소액과 정자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적 성숙시기에 따라 정소와 부정소의 조직분화 양상을 관찰하였으며, 강소분화 특징에 따라 체취한 부정소액은 전기영동법으로 단백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정소와 부정소는 생후 10일군에서 미분화 상태였고, 20일군에서 세정관의 강소는 형성되지 않았으나 부정소는 두부에서 미부에까지 강소가 형성되었으며, 35일군에서는 정소내 세정관의 강소가 형성되었고 정세포는 정자로 분화되었고, 부정소의 상피세포는 principal cell과 clear cell로 분화되었으나 부정소로 유입된 정자는 없었다. 80일군에서는 정소와 부정소가 완전히 본화되었고 부정소로 유입된 많은정자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부정소액의 전기영동상에는 혈청내의 성분과 다른 단백질이 모두 28종이 나타났는데, 그 중 12종은 부정소액에만 존재하는 부정소 특이단백질이었고, 16종은 정소액에도 공통으로 존재하는 단백질이었다. 또한 이 단백질들은 성숙시기에 따라 종류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성체에서 나타난 3종의 단백질은 부정소의 부위에 따라 양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부정소액내 단백질의 성분과 조성은 정자를 포함한 정소액의 유입과 부정소 상피세포의 분비 및 흡수의 조절작용에 의하여 변화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부정소액내의 TEP와 ESP는 부정소 정자의 성숙에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니돼지 정소에서 20α-HSD의 발현 및 특성화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20α-Hydroxysteroid Dehydrogenase in Immature Pig Testis)

  • 김정수;성훈기;밤바략차 뭉흐자야;심보웅;허창기;강명화;민관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39-745
    • /
    • 2017
  • 모든 포유동물에 있어서 임신유지와 준비를 위해서는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은 필수적이다. $20{\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20{\alpha}$-HSD)는 프로게스테론을 생물학적으로 불활성인 $20{\alpha}$-hydroxyprogesterone ($20{\alpha}$-OHP)로 대사시키는 중요한 효소이며, 임신말기와 분만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디카이네틱스 미니돼지의 정소에서 $20{\alpha}$-HSD의 발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미니돼지 정소는 출생후 6, 9, 12, 18 및 21일에 채취하였다. RT-PCR에 의한 mRNA 분석결과 분만 후 6일의 정소에서도 검출되었으며, 21일의 정소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하는 것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분만 후의 태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웨스턴블릇에 의한 단백질 분석결과는 미니돼지 정소에서 특이적으로 37-kDa의 밴드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분만 후 6일의 정소에서는 단백질이 검출되지 않았다.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에 의하면 정소에서 $20{\alpha}$-HSD는 Sertoli 세포와 Leydig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분만 후 돼지 정소에서 $20{\alpha}$-HSD 단백질의 발현에 대한 연구로서는 처음으로 밝혔으며, 향후 돼지 정소에서의 $20{\alpha}$-HSD의 기능적인 역할에 대한 연구가 더욱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AZL binds to the transcripts of several Tssk genes in germ cells

  • Zeng, Mei;Deng, Wenqian;Wang, Xinying;Qiu, Weimin;Liu, Yanyan;Sun, Huaqin;Tao, Dachang;Zhang, Sizhong;Ma, Yongxin
    • BMB Reports
    • /
    • 제41권4호
    • /
    • pp.300-304
    • /
    • 2008
  • The Dazl gene encodes a germ-cell-specific RNA-binding protein which is essential for spermatogenesi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is protein (DAZL) binds to RNA in the cytoplasm of germ cells and controls spermatogenesis. Using the specific nucleic acids associated with proteins (SNAAP) technique, we identified 17 target mRNAs bound by mDAZL. Among these transcripts, we focused on TSSK2, which encodes a testis-specific serine/threonine kinase. To date, five TSSK family members have been cloned, and all are exclusively expressed in the testis. We demonstrated that in addition to the TSSK1 3'UTR, the 3'UTRs of TSSKs 2 and 4 were bound by human and mouse DAZL, and that human DAZL (hDAZL) bound to the 3'UTR of human TSSK5 (hTSSK5).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azl gene may play different roles in human and mouse spermatogenesis by regulating different members of the downstream gene family.

Organ-Specific Expression Profile of Jpk: Seeking for a Possible Diagnostic Marker for the Diabetes Mellitus

  • Lee Eun Young;Park Hyoung Woo;Kim Myoung H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85-389
    • /
    • 2004
  • A novel gene Jpk, originally isolated as a trans-acting factor associating with the position-specific regulatory element of murine Hox gene has been reported to be expressed differentially in the liver of diabetic animals. Therefore, in an attempt to develop a possible diagnostic marker and/or new therapeutic agent for the Diabetes Mellitus, we analysed the expression pattern of Jpk among organs of normal and diabetic Sprague-Dawley (SD) rats. Total RNAs were isolated from each organs (brain, lung, heart, liver, spleen, kidney, muscle, blood, and testis) of diabetic and normal rats in both normal feeding and after fasting condition. And then RT (reverse transcription) PCR has been performed using Jpk­specific primers. The Jpk gene turned out to be expressed in all organs tested, with some different expression profiles among normal and diabetes, though. Upon fasting, Jpk expressions were reduced in all organs tested except kidney, muscle and brain of normal rat. Whereas in diabetes, Jpk expressions were increased in all organs except heart, muscle and testis when fasted. Compared to the normal rat, the Jpk expression level in blood was remarkably upregulated (about 15-30times) in diabetic rat whether in normal feeding or fasting conditon, suggesting that the Jpk could be a candidate gene for the possible blood diagnostic marker for the Diabetes Mellitus.

  • PDF

흰쥐 자궁에서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와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s of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and Its Receptor Gene in the Rat Uterus)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21-2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흰쥐 자궁에서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ACAP)과 그 수용체 유전자들이 발현되는가와 각각 어떠한 유형의 transcript들이 발현되는가를 조사하였고, 이를 위해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을 시행하였다. 시상하부와 정소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함이 알려진 PACAP common exon 부위에 해당되는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시행한 결과 자궁을 포함한 모든 조직에서 에상대로 297 bp의 band가 확인되었다. 흰쥐 자궁에서 발현되는 PACAP mRNA에 정소 특이적인 exon 1이 포함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정소 특이적인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시행한 결과, 정소에서만 예상대로 586 bp의 band가 검출되었고 자궁을 포함한 다른 조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흰쥐의 PACAP 수용체 PCR에서는 자궁에서 923 bp와 839 bp크기의 ban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알려진 PACAP type I수용체의 splicing variant 들 가운데 hip-hop (923bp)과 hip- 또는 nop-type (839bp)의 예상 크기와 일치하였다. 인위적으로 성적인 성숙을 유도한 PMSG 주사모델하에서 자궁내 PACAP transcript 수준은 주사 24 시간 후 실험군에서 증가하여 생식주기상 proestus 시기에 해당되는 주사 48 시간까지 증가하였다가 72 시간후에는 control 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는데, 이는 자궁의 PACAP 유전자발현이 생리적으로 조절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흰쥐의 자궁에서 PACAP과 그 수용체 isoform들의 유전자가 발현됨을 최초로 보고한 것으로 자궁 자체에서 발현되는 PACAP이 autocrine 또는 paracrine하게 자궁의 생리 및 기능 조절을 담당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