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penoids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6초

Pytochemical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from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 Choi, Sang-Zin;Choi, Sang-Un;Lee, Kang-R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164-168
    • /
    • 2004
  • The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he MeOH extract of the aerial parts of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M_{IQ}$ . (Compositae) led to the isolation of six terpenoids and four phenolic compounds, trans-phytol (1), ent-germacra-4(15),5,10(14 )-trien-1$\alpha$-ol (2), $\beta$-amyrin acetate (3), ent-germacra-4(15),5,10(14)-trien-1$\beta$-ol (4), $\beta$-dictyopterol (5), oleanolic acid (6), kaempferol (7), kaempferol-3-O-rutinoside (8), methyl 3,5-di-O-caffeoyl quinate (9), and 3,5-di-O-caffeoyl quinic acid (10). Their structures were establish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Compounds 4, 5, and 10 showed moderate cytotoxicity against five cultured human tumor cell lines in vitro with its E $D_{50}$ values ranging from 1.52∼18.57 $\mu\textrm{g}$/mL.L.

석죽과식물(石竹科植物)의 성분검색(成分檢索) (The Chemical Screening of Caryophyllaceae Plants)

  • 정동규;김태희;이영란
    • 생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3-88
    • /
    • 1978
  • From phytochemical screening of the seven species of Caryophyllaceae, that is, one species of Melandrium, and Dianthus and Pseudostellaria, two species of Stellaria and Cerastium the following compounds were identified. 1) aldehyde, sugars, other reducing compounds and glycosides from the above mentioned seven species of Caryophyllaceae were identifi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method and comparison of Rf values with the standard substances. 2) Saponins, steroids and terpenoids showed positive reaction with the Froth testing in all of seven plants. Five species of plant showed positive reaction with Liebermann-Buchard test. 3) Flavonoid and polypheno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the spots in TLC-test and chlorogenic acid showed the same Rf values with the standard substances. 4) The spots of alkaloid were shown at Rf=0.68 (Stellaria aquatica) and at Rf=0.71 (Pseudostellaria palibiniana) and at Rf=0.70, and 0.44 (Dianthus sinensis).

  • PDF

Endophytic Fungi Inhabiting Medicinal Plants and Their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 Lee, Changyeol;Shim, Sang He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10-27
    • /
    • 2020
  • Endophytes are defined as microorganisms that spend part of lifetime interior of plant tissues without causing negative effects. They have been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 biofuel production, bioremediation, medication, etc. In particular, endophytes have been emerged as a good source for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A large number of secondary metabolites are currently being reported. In this report, we focus on the secondary metabolites that were originated from endophytic fungi inhabiting medicinal plants. They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groups such as nitrogenous compounds, steroids, sulfide-containing metabolites, terpenoids, polyketides, and miscellaneous for discussion of chemical structures and biological activities.

Likens-Nickerson 장치로 추출한 솔가지의 휘발성 성분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extracted from Twigs of Pinus densiflora with Likens-Nickerson Apparatus)

  • 이양봉;이미정;양지영;권혜순;윤정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68-573
    • /
    • 1998
  • Volatile compounds in Pinus densiflora were extracted with Likens-Nickerson apparatus for three hours, and were separated and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GC) and mass selective detector(MSD). Twenty six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Pinus densiflora, identified by GC-MSD and twelve compounds were confirmed by matching retention times of the pure comounds. The main valatile compounds were terpenoids such as limonene(36.2%), $\beta$-pinene(16.9%), $\beta$-myrcene(12.6%) and $\alpha$-pinene(10.9%), and the total amount of these main compounds was 367.9$\mu\textrm{g}$ per 1g of pine twigs.

  • PDF

The Inhibition of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by Terpenoids from Youngia koidzumiana

  • Dat Nguyen Tien;Cai Xing Fu;Rho Mun-Chual;Lee Hyun Sun;Bae KiHwan;Kim Young 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64-168
    • /
    • 2005
  • The EtOAc extract of Youngia koidzumian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DGAT) from rat liver microsomes.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led to the isolation of nine compounds, the structures of which were established using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data. Of the isolated compounds, oleanolic acid (2), methyl ursolate (7) and corosolic aicd (8) inhibited DGAT, with $IC_{50}$ values of 31.7, 26.4, and $44.3{\mu}M$, respectively. However, sesquit-erpenoids showed only weak inhibitory effects toward DGAT.

Cytotoxic Terpenoids from the Sponge Sarcotragus Species

  • Liu, Yong-Hong;Hong, Jong-Ki;Lee, Chong-O;Im, Kwang-Sik;Kim, Nam-Deuk;Park, Jae-Sue;Jung, Jee-Hyu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01.2-102
    • /
    • 2002
  • PDF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Carpesium macrocephalum $F_R$. et $S_{AV}$.

  • Kim, Mi-Ran;Lee, Seung-Kyu;Kim, Chang-Soo;Kim, Kyung-Soon;Moon , Dong-Cheu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10호
    • /
    • pp.1029-1033
    • /
    • 2004
  •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the whole plants of Carpesium macrocephalum $F_R$. et $S_{AV}$., five sesquiterpene lactones (1: carabron, 2: tomentosin, 3: ivalin, 4: 4H-tomentosin, 5: carabrol) and three terpenoids (6: loliolide, 7: vomifoliol, 8: citrusin C) were isolated. The structures and stereochemistry of compounds 1-8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chemical analysis as well as 1D- and 2D-NMR spectroscopy. Among them, compounds 2, 4, and 6-8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Carpesium species.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와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rpenoids-Rich Plant Extracts on Ruminal-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 황희순;하동욱;이수경;이일동;이신자;이성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29-646
    • /
    • 2013
  • 본 연구는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티머시(timothy)와 농후사료를 6:4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추출물은 박하(Mint), 소나무(Pine), 삼나무(Japan cedar), 초피나무(Sichuan pepper), 편백(Hinoki cypress) 그리고 해송(Japanese black pine)을 사용하였으며,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g 티머시와 식물 추출물(기질의 5%)이 담긴 50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15ml를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circ}C$, 150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 결과 pH 값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전 배양시간에 걸쳐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건물 소화율은 배양 3시간대는 Mint 처리구만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나, 이후 24시간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총 가스발생량은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배양 12시간대까지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메탄 발생량의 경우 24시간대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미생물 성장량은 첨가구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나타냈으나 24시간대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성장량이 감소하였다. 암모니아 측정량은 배양 12시간부터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72시간대는 감소하였다.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도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한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 6종 모두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Mint 및 Pine 추출물은 총 VFA,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반추위 발효성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 발생을 저감하는 식물 추출물로는 Mint 및 Pine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식물유래 2차 대사물질의 병충해 및 잡초 방제효과 (Pathogen, Insect and Weed Control Effects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Plants)

  • 김종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1-15
    • /
    • 2005
  • 농작물이 병해충 및 잡초 등에 의하여 피해를 받게 되면 농업생산성은 상당히 저하된다. 따라서 농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합성농약을 과용해 왔고, 이로 인하여 토양의 질과 농업환경이 파괴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서 지속적인 농업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오늘날의 농업은 농업환경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해야하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한편, 식물은 일반적으로 생존하기 위하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며 다양한 종류의 2차대사물질을 생산하고 방출한다. 병원균이 침입했을 때 식물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인 phytoalexin으로는 화본과 식물의 경우 flavonoid계와 diterpenoid계의 물질을 생성하고, 쌍자엽 식물은 감염된 병원균의 종류에 상관없이 Leguminosae과는 flavonoids계, Cruciferae과는 indole 유도체, Solanaceae과는 sesquiterpenoid계, Umbelliferae과는 coumarin계 물질들을 생성하여 병원균에 저항성을 가진다. 곤충의 생리작용을 저해하거나 섭생을 싫어하게 하는 기능의 물질로는 terpene계의 pyrethrin, azadirachtin, limonin, cedrelanoid, toosendanin, fraxinellone/dictamnine 등이 있으며, alkaloid계로서는 terpenoid와 alkaloid가 결합된 sesquiterpene pyridine 및 norditerpenoids alkaloids와 azepine계, amide계, loline계, stemofoline계, pyrrolizidine계 alkaloids 등이 있다. 식물은 또한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른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물질을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terpene계의 essential oil 및 sesquiterpene lactone과 이외에 benzoxazinoids, glucosinolate, quassinoid, cyanogenic glycoside, saponin, sorgolennone, juglone 등 다수의 2차 대사물질들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의 2차 대사물질을 병해충 및 잡초 방제에 직, 간접으로 이용하는 것은 친환경농업의 한 가지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천연물질들은 자연계에서 쉽게 분해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식물을 통하여 생산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성과 효율성이 뛰어난 2차 대사물질을 찾아내는 연구와 아울러 방제기능이 있는 물질의 생합성경로를 구명하고 대사공학적으로 이용하므로 병해충에 저항성이 있고 잡초 방제효과를 갖는 형질전환 식물을 육성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신기능성 물질 탐색을 위한 침엽수잎의 특수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I) - 펙틴, 탄닌, 테르페노이드의 분석 - (Studies on the Analysis of Special Components of Major Pine Needles for Searching of the New Functional Substances (I) - Analysis of Pectin, Tannin and Terpenoids -)

  • 황병호;이현종;강하영;유순희;조재현;조국란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34-142
    • /
    • 1997
  • 주요 소나무류잎의 특수성분을 분석하여 시판되고 있는 솔잎 가공식품의 기초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임산화학 분야의 학문적 기초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펙틴은 잣나무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탄닌은 잣나무가 높게 분석되었고, 소나무와 해송은 유사하였다. 테르페노이드 성분중 ${\alpha}$-pinene은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beta}$-pinene은 리기다와 해송에서 높게 분석되었으며, 희귀성분으로는 잣나무에서 sabinene과 citronellol, 리기다에서는 ${\alpha}$-pinene oxide 등이 분석되었다. 특히 소나무잎에 다량 존재하는 성분은 ${\alpha}$-pinene, ${\beta}$-caryophyllene, ${\beta}$-phellandrene, ${\Delta}^3$-carene, phytol 등 이었다. 향기성분의 주체인 ${\alpha}$-pinene, limonene, bornylacetate들이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보다 많이 분석된 것으로 보아 삼림욕의 신선하고 상쾌한 내음의 주체성분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