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ndency of times & journal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전통 직물 연구의 경향 분석 (The Tendency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Studies)

  • 최승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3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ndency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studies to review the studies critically and to suggest the new directions. To do this, this study included 164 article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studies published in five Korean major journals from the first issue to the 2009. The identified 164 articl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five areas : study subject, study content, study method, the tendency through times and journals publishing Korea traditional textile artic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tudy subject, the ratio of traditional motifs study was the highest in any other study subject and an actual textile pattern study and society culture historic study were also favored. And, the ratio of foreign textile study was the lowest in any other study subject. Second, in the fiber type of study content, the ratio of silk fiber was the highest in any other fiber type. Hemp, ramie and cotton fiber were followed by silk fiber. Also, the ratio of wool fiber was lowest in any other fiber type. In the weaving type, ratio of plain weave was the highest in any other weaving type. In the times of study, the ratio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the highest in any other times of study. Third, in the study method, the ratio of an actual proof study method was higher than that of literature study method. In the tendency of times, there were society culture historic studies from the time publishing the first edition in each journal, the ratio of an actual textile pattern study, traditional motif study and preservation science study has increased since the 2000. Fourth, in the characteristics of journ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has published the most articles in any other journal publishing Korea traditional textile study.

한의학계에서 델파이 방법을 사용한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The Review on the Studies Using Delphi Method in the Journals of Korean Medicine from 2006 to 2015)

  • 박창현;임형호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9-64
    • /
    • 2015
  • Objective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analyse the study tendency in papers related with delphi method which are published in Korea from 2006 to 2015. Methods We searched the electronic database (NDSL, RIS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OASIS) and checked relevant Korean journals from 2006 to 2015. 23 research papers were found and th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shment, the titles of journals which have the papers, the time of repeated survey and purpose of technique application. Results 1. As we analyzed by years, 2.3 papers were published per year on average. 2. As we analyzed by jounals in which papers were published, 39% of total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 30% were in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taking up 69% of total papers. 3. As we analyzed by the number of survey taken in each research, 11 papers surveyed 2 times, 7 papers surveyed 3 times, 1 paper suerveyed one time. 4. As we analyzed by the purpose of technique application, 91% of papers were aimed at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9% of papers were aimed at policy recommend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many researches were trying to quantify the symptom of patient, to demonstrate on exact data and to accomplish the scientification of diagnosis, the number of paper is insufficient. Therefore, it seems that more researches must be taken afterward.

한복 패턴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Hanbok Pattern Research Trend Analysis - Focused on Korean Journals and Theses -)

  • 하지현;김희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Hanbok pattern research published in journals and theses. We collected 70 articles related to the Hanbok pattern. The articles were divided into 7 chronicles based on publishing year, and analyzed by journal, publishing year, research theme, wearing subject and research pattern. Researches can be categorized into journals, university research paper, and master's theses. After 1981, studies on the pattern of Hanbok have been continuing. Most researches were focused on traditional Hanbok, especially about Jeogori. Research on modernized Hanbok started from Vchronicle(2001~2005), but it has not progressed anymore.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wearing subject, the number of research for female Hanbok was almost three times that of the male. Most researches were performed on adult Hanbok, and subjects were expanded to children, adolescents and middle-aged. The body shape of the wearer did not mentioned on many articles. Pattern researches started from excavated costume, but most researches were about commercial patterns. These researches on the pattern on Hanbok have shown an increasing tendency as the years passed, but researches on modernized Hanbok, including Hanbok pattern development for modern life style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In an aging society, as the number of middle-aged consumers increases, pattern research on middle-aged or older people and their various body shapes should be necessary.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Science Teaching through Coteaching)

  • 양찬호;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73-389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수업 반성의 특징을 조사했다. 중등 과학영재교육 경력이 5년 미만인 초임 교사 2인을 선정하여 총 3회에 걸친 9차시의 과학영재수업을 공동으로 계획, 진행, 평가하도록 했다. 두 교사의 모든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을 참관했고, 반성대화 전사본과 반성일지를 Davis(2006)가 제안한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료의 종류 및 수업 차수에 관계없이 두 교사의 수업 반성 과정에서 모두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와 '과학영재학생' 측면이 비교적 많았다. 두 측면보다 적긴 했지만 '과학영재 교육과정' 측면에 대한 반성의 빈도도 낮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내용지식'과 '과학영재교육 평가' 측면에 대한 반성은 매우 적었다. 통합 수준에 대한 결과에서는 두 교사의 반성 과정에서 과학영재수업의 5가지 측면 중 2~4가지 측면이 다양한 형태로 통합되어 있었다. 특히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나 '과학영재학생'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가 많았다. 이런 경향은 과학영재교육 경험이 더 많은 교사에게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 교사의 경우에는 '과학내용지식'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기술경영의 최근 연구동향 (A Study on Recent Research Trend in Management of Technology Using Keywords Network Analysis)

  • 고재창;조근태;조윤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1-123
    • /
    • 2013
  • 최근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기업이 글로벌 경쟁우위 및 미래 성장동력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경영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학제적 지식을 바탕으로 기술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융합기술 및 유망기술 예측하여 지속적 혁신, 핵심역량 강화, 핵심기술 보유, 기술 융합 등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경영관련 연구의 거시적인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동시단어 분석기반의 계량서지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즉, 최근 10년 동안 기술경영분야의 주요 해외 저널에 게재된 논문의 키워드를 수집한 다음, 빈도 분석, 초기 키워드 네트워크의 구조 분석, 시간이 지남에 따른 새로 생성된 키워드의 선호적 연결 및 성장 분석,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컴포넌트 분석 및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경영분야의 논문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주제를 파악할 수 있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학제적 연구와 통섭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주제들의 조합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 별 키워드는 1개~23개의 분포를 지니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논문 당 4.574개의 키워드가 있다. 또한 키워드 중 90%가 10년 동안 3번 이하로 사용되었다. 특히 1번만 사용된 키워드는 약 7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는 좁은 세상 네트워크 및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특징을 따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술경영관련 논문에 사용된 키워드 중 소수의 키워드의 독점화 경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선호적 연결 및 성장 분석을 통해 기술경영분야의 키워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호적 연결을 통한 생존과 소멸 과정에 의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고착되고 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규 키워드의 선호적 연결 정도 분석을 통해 신규 연구분야 또는 새로운 연구영역을 창출할 가능성이 있는 키워드 관련 연구 주제에 대한 관심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다가 일정 시점이 지나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컴포넌트 분석 및 중심성 분석을 통해 기술경영관련 연구 동향을 확인하였다. 특히 중심성 분석을 통해 Innovation(혁신), R&D(연구개발), Patent(특허), Forecast(예측), Technology transfer(기술이전), Technology(기술), SME(중소기업) 등의 키워드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술경영의 연구 동향, 타 학문과의 통섭 및 신규 연구주제 선정 시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