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omandibular disorder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34초

하악관절 동통, 기능장애 및 이갈이의 치 - 정신과적 분석연구 (A Case Study on Temporomandibular Dysfuncton, Pain and Bruxism)

  • Chung-Shik L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5권1호
    • /
    • pp.69-78
    • /
    • 1991
  •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iew comprehensively the articles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patients and to analyze psychoanalytically the case with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and bruxism as a symptom of hysterical conversion disorder. As a result, the author found that , in the aspect of psychoanalysis, the temporomandibular problem and bruxism was a kind of symptom of emotional conflict being converted to the face.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referral process and the ability to work as a therapeutic team including dentist and psychiatrist can enhance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treatment for several types of patients.

  • PDF

악관절장애(顎關節障碍)의 개구장애(開口障碍)와 통증(痛症)에 대한 첩대요법(貼帶療法)의 효과(效果) (The Effects of Spiral Taping Treatment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 최보희;황재옥;서정철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9-73
    • /
    • 200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s of spiral taping treatment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Methods : 22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were treated with spiral taping, and no other treatments such as herbal medicine, acupuncture, herbal acupuncture, and chiropractic therapy were added. We evaluated the improvement by temporomandibular pain and mouth opening range. Results : 11 patients felt no pain or inconvenience of daily life and 4 patients showed improvement of pain or symptom after 1 month of spiral taping theraphy. 3 patients had normal opening size of mouth and convenience of daily life, and 2 patient showed improvement of opening size of mouth as 35mm-40mm after 1 month of spiral taping theraph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spiral taping treatment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Further study is needed for the confirmation of this effect of spiral taping treatment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상부경추 교정기법을 사용하여 치료한 턱관절 장애 치험 2례 (Two Clinical Case Studie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with Upper Cervical Manipulation)

  • 장동호;배우열;이인선;조성우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5-52
    • /
    • 2011
  • Objective : We had good effects on two patients who had problem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by using upper cervical manipulation combined with acupuncture therapy. Methods : Two temporomandibular disorder cases were managed by using upper cervical manipulation, combined with acupuncture therapy. We used Toggle-recoil technique for the purpose of upper cervical manipulation. Results :Even though symptoms of two patients were not same, each cases showed clinical changes by using upper cervical manipulation. Two cases had effects on decreasing pain of temporomandibular joint, and at the first case, the range of mo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was increased. Conclusion : We could treat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by using upper cervical manipulation combined with acupuncture therapy.

  • PDF

Nasopharyngeal Cancer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Neurologic Symptom: A Case Report

  • Hong, Jung-Hun;Kwon, Jeong-Seung;Ahn, Hyung-Joon;Kim, Seong-Taek;Choi, Jong-Ho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9권1호
    • /
    • pp.26-28
    • /
    • 2014
  • Nasopharyngeal cancer is malignant tumor of nasopharyngeal area that is characterized of lymphadenopathy, pain, otitis media, hearing loss and cranial nerve palsy and may present symptoms similar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 such as facial pain and trismus. In this case, the patient with symptoms similar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 after surgery for otitis media presented with facial paresthesia and masticatory muscle weakness. Examinaion of trigemimal nerve was shown sensory and motor abnormaility. The patient was referred to a neurologist. Nasopharyngeal cancer was suspected on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was confirmed by biopsy. If the patient presenting with paresthesia and muscle weakness the cranial nerve ex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regardless of typical temporomandibular disorder symptom. The neurologic symptom can be caused by neoplasm such as brain tumor and nasopharyngeal cancer. Nasopharyngeal cancer on rosenmuller fossa can develop otitis media. Therefore, the patient with otitis media history should be consulted to otorhinolaryngologist to examin the nasopharyngeal area.

측두하악관절 장애를 보인 두개저 골수염: 증례보고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from Skull Base Osteomyelitis: A Case Report)

  • 류병길;윤현중;이상화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84-487
    • /
    • 2012
  • Skull base osteomyelitis is a very rare disease that affects the bone marrow of the temporal bone, sphenoid bone, occipital bone. It occurs typically chronic ear canal infections by malignant otitis externa, but some of atypical osteomyelitis have been reported. It most commonly presents old diabetic patients, and have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rate if diagnosis and treatment are delayed. However with respect to pain or dysfunction, it appeared similar to the initial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So frequently, definitive diagnosis is tend to delayed. We have clinical experience that a patient who presented with symptom similar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differential diagnosised by skull base osteomyelitis. We will report this case with literature review.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턱관절 장애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tress,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 정수진;김현경;김세연;김수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04-213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트레스와 턱관절 장애를 조사하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자료조사는 2021년 6월 3부터 2021년 7월 8일까지 대전 일부지역의 대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턱관절 장애는 모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모든 스트레스 하위요인 및 턱관절 장애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는 턱관절 장애와 대인 스트레스 및 가치관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턱관절 장애를 예방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체계적인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오심 구토를 동반한 틱 장애 환자에 대해 턱관절균형요법을 병행한 한방 치험례 (A Case Study of the Tic Disorder Patient with Nausea and Vomiting Treat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Therapy)

  • 김태경;이은주;신창민;박현섭;지규용;김철홍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3권sup호
    • /
    • pp.21-26
    • /
    • 2023
  • 본 증례에서는 틱 장애 증상과 오심 구토를 동반한 환자에게 턱관절균형요법을 병행한 한방 치료를 적용하여 증상의 호전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턱관절균형요법을 적용하여 중추신경계와 자율신경계를 안정화시켜 틱장애 증상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척추 정렬을 바로잡음으로써 소화기계와 관련된 흉추의 안정화를 통하여 관련된 증상의 호전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악관절장애 환자 치험 2례 (Two Case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 김찬중;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9-105
    • /
    • 2004
  •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is quite common dental problem. Research has shown that 5 to 15$\%$ of the population have a TMJ disorder requiring some type of treatment. TMJ disorder's symptoms are pains in the jaw and muscles of your face, limitation of opening or closing jaw and noises in jaw joint such as clicking or popping sounds. Two patients with TMJ symptoms visited our clinic. They complained pain, limitation of jaw opening and clicking sound. We treated them by stimulating trigger points on the TMJ muscle with acupuncture and had a good effects. The symptoms is reduced or disappeared.

  • PDF

고등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 of Oral habits and Stres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in High school students)

  • 이가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93-200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울산지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33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턱관절 장애지수는 구강 악습관 지수, 학교생활 스트레스 지수, 가정생활 스트레스 지수, 대인관계 스트레스 지수, 자아 영역 스트레스 지수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구강 악습관 및 각종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계선택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 악습관 지수가 턱관절 장애지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아 영역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학생일수록 턱관절 장애지수가 높았으며 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즉, 구강 악습관이 지속되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학생일수록 성인이 되었을 때 턱관절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는 Y(턱관절 장애지수)=2.563+.550X1(구강악습관지수)+.134X2(자아영역 스트레스지수) 의 회귀식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성인으로 이어지는 턱관절 장애의 잠재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구강 악습관을 개선하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증상과 심리특성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ymptom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 using Symptom Check List-90-Revision(SCL-90-R))

  • 이태용;김정숙;이혜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71-379
    • /
    • 2015
  • 본 연구는 SCL-90-R을 이용해 측두하악장애 증상과 심리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대전과 강원지역의 20-31세 대학생 294명(남자 140명, 여자 54명)을 대상으로 2014년 03월 0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하악 사용과 관련된 구강 내 악습관 중 이갈이와 편측 저작이 측두하악 장애증상의 심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p<0.01)를 보였으며, 간이 정신진단검사(SCL-90-R) 결과 공포불안(PHOB)를 제외한 항목에서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심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연구대상자들의 심리특성이 측두하악장애 증상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개인적 특성변수를 통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심리특성 요인중 신체화(SPM) 척도만이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심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