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erehabilitatio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원격재활 운동프로그램이 무릎골관절염 환자의 근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Tele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Gait, Kne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김재윤;이동우;정모범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3-15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ideoconferencing-based tele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gait, kne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METHODS: Forty-eight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by the radiologic findings, history, and a physical examination, were assigned randomly to a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I, and Experiment group II.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exercise program and were educated in understanding and managing the disease of knee osteoarthritis for only one hour. Experimental groups I and II were provided with an exercise guidelines book for knee osteoarthritis, and the same exercise programs were conducted by face-to-face visits and non-face-to-face using telerehabilitation for eight weeks, respectivel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ach exercise program, the gait speed, knee disability index,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All assessments were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participants who underwent both face-to-face and tele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s showed an improved gait speed, knee fun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lerehabilitation exercise group and the direct face-to-face exercise group in improving the knee joint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A these findings the tele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can alternate or supplement the face-to-face exercise program. Therefore, the tele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should be used not only as a substitute supplement program but also as an intervention for various diseases.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에 원격재활이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s of Telerehabilitation on Mo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 신윤찬;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7-18
    • /
    • 2018
  • 목적: 뇌졸중 환자에게 원격재활을 적용하고 운동기능의 변화를 알아본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원격재활에서 사용한 원격감독 방법과 원격으로 제공된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아 국내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18년 4월까지의 국외 문헌들을 PubMed, Embase 그리고 Cochrane을 통해 수집하였고 RISS를 통해 국내 문헌을 검색, 수집하였다. 국외 논문 검색어로는 Telerehabilitation, Telemedicine, Stroke을 사용하였고 국내 문헌은 원격재활, 뇌졸중, stroke, CVA, 뇌혈관질환 검색어를 사용하였다. 총 406개의 국외 문헌과 15개의 국내 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총 7개의 문헌이 분석대상 문헌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7편의 문헌 모두 원격재활을 적용받는 그룹에게 중재를 원격에서만 제공하였으며 전, 후 비교를 통해 운동기능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원격재활 중재의 유의미한 효과를 전, 후 비교(n=7) 및 그룹간의 비교(n=4)를 통해 분석하여 운동기능에서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용된 원격감독은 목적에 따라 중재로써의 감독(n=4)과 확인을 위한 감독(n=3)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재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제한이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원격재활의 적용이 잠재적인 대체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한적으로 확인하였다. 원격재활의 실질적인 국내적용을 위해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비용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원격재활을 통해 제공되는 가장 효율적인 중재별 원격감독 방법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원격재활을 활용한 물리치료 서비스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Physical Therapy Services Using Telerehabilitation)

  • 유경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7-5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and prospects of telerehabilitation to identify the challenges and propose strategies for its promot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tudy also focused on the preconditions and improvements required for adopting telerehabilitation, considering technological, institutional, and socio-cultural factors. METHODS: A thorough database search was conducted. The relevant research, papers, and reports were collected, and the literature was evaluated to summarize the findings. RESULTS: Tele-rehabilitation showed promise in enhancing the healthcare service quality and accessibility. However, addressing challenges requir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its status, global research trends, and the formulation of adoption strategies. Research in this direction is expected to improve healthcare services. CONCLUSION: Tele-rehabilitation can enhance healthcare services by overcoming geographical limitations. On the other hand, addressing challenges through analysis and strategic planning is essential for its effective adoption and advancing healthcare quality and accessibility.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 임영명;이지용;조성준;안예슬;유두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9-70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 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효과와 국내 적용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료의 검색을 위해 EMBASE, CINAHL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주요 용어는 "Virtual Reality", "Telerehabilitation", "Stroke"으로 관련 연구를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수준, 일반적 특성, PICO를 사용하여 연구 주제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7편의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으로 한 원격재활 시스템으로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가상현실은 게임 프로그램과 수동적인 팔 보조 그리고 Balance Trainer등을 활용하여 원격재활 중재를 실시하였다. 주된 결과 측정도구는 상지기능, 균형 및 보행, 일상생활 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가 사용되었다.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중재방법은 모든 연구에서 상지기능, 균형감각능력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일상생활 활동에서의 부분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환경적 특이성을 보완하기 위한 원격재활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기능의 유지를 위한 중재법으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시스템은 대부분 상지기능과 균형감각,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중재가 적용되었으며, 가정환경에서도 치료사의 중재, 감독, 교육 등을 통해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가상현실의 중재방법과 원격재활을 활용한 재활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원격재활 기반 작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lerehabilitation Based Occupational Therapy on Execu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ccupation Performance of People With Stroke)

  • 박성순;김수경;유두한;김희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1호
    • /
    • pp.115-127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원격재활에 기반 한 작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재활병원에 외래로 통원하는 환자 30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5명씩 무작위 할당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 집단과 실험군의 중재는 모두 주 3회 18회기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15명에게는 전통적 작업치료와 함께 더불어 가정에서의 원격재활 기반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대조군 15명은 전통적 작업치료만 실시하였다. 실험 참가자의 실행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실행기능 수행평가 한국판(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Korean version; EFPT-K)으로 측정하였고,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작업수행은 클라이언트 중심의 과제수행을 측정하기 위해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이용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수행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p<.05),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작업수행에서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증진이 나타났다. 결론 : 원격재활과 작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작업치료에 병행된 원격재활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에 추가적인 효과가 있음을 근거로써 제시한다.

Need Assessment for Smartphone-Based Cardiac Telerehabilitation

  • Kim, Ji-Su;Yun, Doeun;Kim, Hyun Joo;Ryu, Ho-Youl;Oh, Jaewon;Kang, Seok-Min
    •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283-291
    • /
    • 2018
  • Objective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martphone usage and to describe the needs for smartphone-based cardiac telerehabilitation of cardiac patients. Methods: In 2016,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a supervised ambulatory cardiac rehabilitation (CR) program in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with the participation of heart failure or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who were smartphone users.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smartphone usage, demands for smartphone-based disease education, and home health monitoring systems. Results were de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principal diagnosis. Results: Ninety-six patients (66% male; mean age, $5{\pm}11$ years), including 56 heart failure and 40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completed the survey (completion rate, 95%). The median daily smartphone usage time was 120 minutes (interquartile range, 60-300),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smartphone function was text messaging (61.5%). Of the patients, 26% stated that they searched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 using their smartphones more than 1 time per week. The major source of health-related information was Internet browsing (50.0%), and the least sought source was the hospital's website (3.1%). Patients with heart failure expressed significantly higher needs for disease education on treatment plan, home health monitoring of blood pressure, and body weight (${\chi}^2=5.79$, 6.27, 4.50, p < 0.05).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expressed a significant need for home health monitoring of body temperature (${\chi}^2=5.25$, p < 0.05). Conclusions: Heart failure and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show high usage of and interest in mobile health technology. A smartphone-based cardiac telerehabilit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high demand areas and modified to suit to each principal diagnosis.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s of Telerehabilitation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 김민지;신원미;양영애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1호
    • /
    • pp.35-47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 제공 의도 및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1년 3월 13일부터 3월 19일까지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00부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총 70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다. 결과 : 영역별 평균 점수는 다음과 같다. 적합성의 평균 점수는 3.9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육 제공 의사 3.89점,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인식 3.81점, 비용 절감 3.78점, 유용성 3.75점, 접근성 3.62점, 의료서비스의 질 3.49점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사들의 지역사회 중심 재활 참여 및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 프로그램 참여 여부를 묻는 항목 모두 각각 높은 점수로 나타나며 작업치료사의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추후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후속 연구와 더불어 정부 및 지자체 내에서의 접근성 증진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원격재활을 위한 RFID를 이용한 페그보드 평가 자동화 (Pegboard Evaluation Automation Utilizing RFID System for Telerehabilitation)

  • 최현호;양윤석;김정자;김남균;유문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192-1197
    • /
    • 2007
  • This study proposes an automated pegboard utilizing the RFID system with multiple reader antennas for the rehabilitation services and the occupational therapy. The system automates the scoring by detecting the plugging correctness as well as the plugging status. It also aims to increase the patient's interest and the functional intelligence. The system was prototyped and the RFID read rate (over 99.998%) was confirmed. The system was also tested for the automatic capability of the scoring the session. The proposed system will be served as the typical example for the ubiquitous rehabilitation devices.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원격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Awareness and Needs for Community based Telerehabilitation Service: A Survey for Users of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 차예린;김중연;정봉근
    • 재활복지
    • /
    • 제21권4호
    • /
    • pp.119-147
    • /
    • 2017
  • 본 연구는 자립생활센터 이용 장애인의 원격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파악하여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증진 및 효율적인 재활을 위한 원격재활서비스 발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하기 위함이다. 설문 참여자는 자립생활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인 162명이며, 문항은 34문항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는 전체 응답자 중 74.7%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하였고, 들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68.3%는 '서비스를 이용해보고 싶다', 78%는 본 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이다'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원격재활서비스에 '참여 의향이 있다'는 84%, 필요정도를 묻는 문항에서 '매우 필요하다' 및 '필요하다'가 87.1%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격재활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탐색한 결과,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체계 및 구축, 재활종사자의 서비스 제공,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 등의 요구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수요자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고, 차후 원격재활시스템의 적용 및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장애인 재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서비스의 개발을 제언한다.

Reliability and Validity Inquiry for Tele-assessment Based on Video Conferencing

  • Suha Lee;Changho So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105-114
    • /
    • 2023
  • Objective: The study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ele-assessment of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through video conferencing. Design: A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e study included 22 healthy adults as subjects and 10 physical therapists as evaluators. The subjects underwent both face-to-face and tele-assessment of cervical ROM. The CROM (Cervical Range of Motion) device was used for reference measurements in the face-to-face assessment. The evaluators assessed the subjects' ROM through visual inspection (VI) and using a Universal Goniometer (UG) in the tele-assessment. Result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e-to-face and tele-assessment measurements for all ROM conte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r=0.54 to 0.71 (p<0.05), indicating concurrent validity. In terms of inter-rater reliability, the ICC values for both VI and UG assessments in the tele-assessment were high, with ICCs of 0.93 and 0.92,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usability of the tele-assessment method and environment.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and evaluators was assessed using the Telehealth Usability Questionnaire (TUQ), which evaluates perceptions, us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telehealth services. Conclusions: In conclusion, tele-assessment of cervical range of motion using video conferencing was valid and reliable. Also, investigated participant and evaluator satisfaction and opinions, providing insights into the clinical value of tele-assessmen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healthy adults, and further research may be needed to validate the tele-assessment method in populations with cervical dysfunction or neck pain. These findings support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telerehabilitation services in assessing and managing musculoskeletal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