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gumen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2초

Electron Microscopy of the Separated Outer Tegument of the Sparganum and Its Antigenicity

  • Yang, Hyu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181-183
    • /
    • 2012
  • The author reported previously on separation of the outer tegument of the spargana (plerocercoids of Spirometra mansoni) using high concentration of urea solution. To determine which layer of the tegument is separated by this method, an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has been processe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basement layer of the tegument is separated from the parenchyme of the sparganum. In addition, the antigenicity of the separated outer tegument against the human sparganosis patient sera was evaluated. Numerous antigenic proteins, including 16 and 55 kDa proteins, were noticed in the separated tegument; however, there were no diagnostic 31/36 kDa molecules in this tegument. The molecules reactive with the patient sera in the tegument are to be characterized in future studies.

Production of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the Tegument of Sparganum (Plerocercoid of Spirometra mansoni) and Its Immunolocalization

  • Yang, Hyu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183-185
    • /
    • 2010
  • In a previous study, the author developed a method for separation of the tegument of spargana (plerocercoids of Spirometra mansoni) from the parenchyme using urea. The present study, as a next step, was performed to evaluate which molecules are present in the outer tegument. Two major proteins, 180 and 200 kDa, are present in the tegument and we could make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these molecules. Their immunolocalization was processed and the outermost layer of the spargana showed strong positive staining. Conclusively, we could confirm that the 180 and 200 kDa molecules might be tightly bound membrane proteins in the tegument of spargana.

유구낭모충에 관한 연구 -유구낭모충의 미세구조- (Studies on the Bladder Worm, Cysticercus cellulosae -The Ulrastructure of C. cellulosae-)

  • 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75-82
    • /
    • 1983
  •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was performed to know the basic tegumental structure of Cysticercus cellulosae. The scolex and bladder portions of cysticerci (human and porcine strains) were prepared for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by conventional procedures. In general, the tegument of C. cellulosae showed the basic ultrastructure of cestode tegument on electron micrographs. The teguments of both scolex and bladder portions consisted of such components, i.e., an outer vesicular layer with numerous microtriches and inner filroug layer. Below the fibrous layer, there were layers of muscle bundles and tegumental cells. The microtriches which covered the surface of cysticercus revealed two distinctly different shapes. The characteristic bladder-like, elongated pyramid shaped "tetrahedrial form" was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scolex portion, whereas the elongated cylindrical "filamentous form" was distributed on the stirface of bladder portion. In spite of the difference of isolated host and location, the cysticerci showed tole same result. But dimensional variations of the tegument according to topography of the worm were observ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making differential diagnosis from other larval cestodes and possible functions of this larval tegument were discussed.

  • PDF

Fibricolu seoulensis의 tribocytie organ 및 표피의 조직화학적 관찰 소견 (Histochemical findings of the tribocytic organ and tegument of Fibricola seoulensis)

  • Sun Huh;Soon-Hyung Lee;Byong-Seol Se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3호
    • /
    • pp.155-160
    • /
    • 1990
  • 우리 나라에서만 인체 감염이 확인된 장흡충 Fibricole seoulensis의 특징적 구조인 tribocytic organ의 기능을 파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이 구조물과 표피의 조직화학적 성질을 밝히기 위해 특수 염색을 시행하였다. 충체 의 단면을 H&E 염색, 탄수화물, mucosubstance, amylo:임 및 교원질에 대한 특수 염색 및 alkaline phospha- tase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 염색을 시행, 관찰하였다. Tribocytic organ의 표피, 분비물 및 선세포는 PAS 및 double bridge PAP에 양성이었다. 충체의 표피 역시 같은 염색에 양성이었다. 그러므로 F. seoulensis에서 tribocytic organ의 표피, 분비물 및 선세포와 충체의 표피는 neutral mucopolysaccharide를 함유하고 있으며 tribocytic organ의 표피, 분비물 및 충체의 표피는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구조들은 충체의 분비 기능 및 숙주 점막에의 부착 등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chinostoma hortense 표피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Tegumental Ultrastruetures of Echinostoma hoytens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이순형;홍성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1호
    • /
    • pp.63-70
    • /
    • 1986
  • The tegumental ultrastructures oi Echinostoma hortense adults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worms of 4 weeks of age were harvested from albino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the metacercariae obtained from the lo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worms were leaf-like and their anterior end portion, including oral sucker and head crown, ventrally curved to face posteriorly. The tegument of whole body was wrinkled transversely and covered with cobblestone-like cytoplasmic processes. 2. The oral sucker had roundly swollen (type I ) sensory papillae on the ventral half of its lip and mini-ciliated knob-like (type I ) sensory papillae, arranged in 2∼3 rows, on the dorsal outer surface. 3. Aspinous ventral sucker had many of type I papillae arranged in a circular band on its outer surface. The tegument around the genital opening was of similar feature to the ventral sucker, but sensory papillae were hardly found around the former. 4. Scale-like spines with broad base and round tip were distributed densely on the tegument anterior to the ventral sucker but they became sparse in posterior half of the ventral surface, finally to disappear at posterior extremity. A few number of type I papillae were observed on the ventral surfac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egument of 5. hortense is similar to that of other echinostomes etapecially 5. revolutum. But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collar spines, and/or the type and distribution of sensory papillae seem characteristic features of E. hortense differed from other echinostomes.

  • PDF

폐흡충 총체표피의 단백질 조성 및 항원성 (Protein composition and antigenicity of the tegument from Paragonimus westermani)

  • 김석일;조승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69-276
    • /
    • 1993
  • 폐흡충 성충 표피의 구성 단백질의 분자량을 측정하고. 항원성을 갖는 표피 단백질을 규명하였다. 10개월 성충을 0.1% digitonin용액에 담궈 표피하 기저 막까지 박리하여 회수한 표피층을 초음파 분쇄하여 표피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표피 단백 질 추출액을 SDS-PAGE와 immunoblot으로 분석하였다 폐흡충 표피의 구성 단백질은 분자량이 각각 94. 74 (76-66). 62. 54. 44. 42. 38, 28, 26, 25 24. 17. 15.5. 13.5 IEDa으로 측정되었고. 94 kDa 단백질이 가장 주된 표피단백질이었다. 폐흡충 감염자 혈청을 사용한 immunoblot에서 항원성이 확인된 표피단백질의 분자량은 각각 94. 90. 78. 76. 74. 68. 65. 62. 60, 59. 54 kDa 이었다. 이 표피항원 단백질은 폐흡충증 혈청 10개중 7개에서 immunoblot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7개 양성반응 혈청 각각에서 표피항원 단백질의 특이 항원성이 모두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들 폐홉충 표피항원은 간흡충란 양성자혈청과는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폐흡충 표피 단백질중에서 분자량 94-54 kDa 사이의 것들이 폐흡충 특이 항원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94 kDa 단백질은 가장 양이 많은 대표적인 표피단백질이면서 아울러 특이항원성도 갖고 있었고. 양이 적은 표피단백질이었던 76. 66 kDa 단백질도 상대적으로 높은 특이 항원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eparation of the Syncytial Layer of Spargana using Urea

  • Yang, Hyu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69-71
    • /
    • 2009
  • The tegument of tapeworms is known to be composed of an outer syncytial cytoplasm layer which includes microtriches and cytoplasmic organelles (= syncytial layer), and a parenchymatous cytoplasm layer that contains subtegumental cell nuclei (= subtegumental layer) and organelles. In the present study, separation of the syncytial layer of the sparganum, the plerocercoid stage of Spirometra mansoni, was tried using urea as the chemical reagent. Histological sections were prepared to visualize the status of separation after staining with hematoxylin and eos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ncytial layer of the sparganum tegument which includes microtriches and cytoplasmic organelles were successfully separated from the parenchyma using 3 M urea.

Fibricola seouenis 표피의 투과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ultastructure of the tegument of Fibricola seoulenis)

  • 손운목;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01-314
    • /
    • 1993
  • Fibricola seodenis(Trematoda: Diplostomidae)의 표피 미세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표피는 3중막(trilaminated)의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전자밀도가 높은 원형질층의 기질에는 공포(vacuole)와 사립체(mitochondria) 및 과립성 물질들이 많이 내포되어 있었다. 전자밀도가 낮은 기저층은 폭이 약 330 nm이었으며 원형질층내로 무수히 많은 돌기들을 내고 있었다. 감각기는 주머니 형태로 원형질층내에 매몰되어 있었으며 원형질층의 바깥으로 $12{\;}{\times}{\;}0.19{\;}\mu\textrm{m}$ 크기의 섬모를 내고 있었다. 인두는 내강을 중심으로 양쪽에 $0.5{\;}\mu\textrm{m}$ 내외의 상피층과 보다 발달된 기저층 및 근육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도우넛 모양인 흡반은 내강을 둘러싸는 폭 $0.4-0.5{\;}\mu\textrm{m}$인 원형질층, 기저층 및 잘 발달된 근육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구흡반 근처의 원형질 및 실질내에서 4종류의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Tribocytic organ에는 폭이 5 nm 내외이며 7중막(heptalaminated)의 층상 구조인 미세응모가 작은 방의 형태로 분포하였고 내부에서 미세응모 쪽으로 나와 있는 관에는 크고 작은 2가지형의 분비과립들이 들어 있었으며 그 주위에는 길쭉한 사립체들이 다수 분포하였다. 실질내의 세포들은 비정형이었으며 핵들의 형태도 다양하였다.

  • PDF

한국의 장흡충에 관한 연구 XIX. 프라지콴텔 투여 흰쥐에서 수집한 Fibricola Seoulensis의 광학 및 주사 전자현미경적 관찰 (Studie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XIX.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Fibricola seoulensis collected from Albino Rats Treated with Praziquantel)

  • 서병편;차인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47-58
    • /
    • 1985
  • 프라지관텐 투여가 흰쥐체내에서 Fibricola seoulensis에 미치는 영향을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뱀의 내장에서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고 5마리의 비투약대조군 및 10마리의 투약군 횐쥐에 각각 1,000개씩을 경구감염시켰다. 감염 7일후 투약군 횐쥐에 10mg/kg의 프라지관텔을 투여하고 1∼24시간후 횐쥐를 회생시킨 다음 소장으로부터 충체를 수집하여 대조군으로부터 얻은 충체와 비교관찰하였다. 투약군에서 얻은 F. seoulensis충체는 광학현미경적 관찰에서 충체특히 전반부의 수축 및 잇달은 이완, 표피 및 표피하 실질조직의 공포화(vacuolization) 및 장관의 내공폐쇄 등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적인 충체 표피의 변화는 많은 수포형성(blob formation) 및 파열과 이에 따른 충체 전표피의 파괴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프라지관텔에 의한 충체의 손상이 표피에 심하게 나타나지만 표피에 한정되지 않고 표피하층까지도 파급되며 또 장관에도 뚜렷한 손상이 오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런 점으로 보아 충체에 의한 프라지관텔의 흡수는 표피 뿐만 아니고 소화관을 통해서도 일어남을 의미하였다.

  • PDF

Proalarioides kobayashii Park, 1940의 표피 미세구조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udy on the tegument of Proalayioides kobauushii Park, 1940 (Trematoda))

  • 주종필;임일성;황인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73-180
    • /
    • 1991
  • 육지산 뱀인 무자치 (Elaphe rufodersata)의 장내에서 Proalarioides kobaynshii((Trematoga)를 채집하여 표피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충체 전반부는 컵 모양으로 위흡반, 구홉반, tribocytic organ 등을 갖고 있었으며, 후반부는 손가락 모양으로 별 구조물이 없이 밋밋하였다. 전반부 표피에서는 가시가 관찰되었는데 컵의 중앙부로 갈수록 끝이 3∼4분지로 갈라진 가시들이 관찰되었고 그 사이 사이에는 openingpapillae와 type II papillae및 dome-shape papillae가 관찰되었다. Tribocytic organ의 중앙 4/5는 섬유성 구조를 하고 있었고 외연쪽으로는 가시들이 둘러싸고 있었으며 가시들도 밖으로 갈수록 끝이 2∼3분지로 갈라져 존재하였다 구흡반은 전반부 앞쪽 중앙에 위치하고 양측에 위흡반을 갖고 있었으며 구흡반 주위에 type II papillae가 관찰되었다. 컵 모양의 외연쪽에서는 type III papillae가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이 P. kobayashil치 표피 미세구조를 관찰한 바 다른 strigeoid 흡충류와 다른 몇가지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