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venture incubation center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기술창업보육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Operating Technology Business Incubators: Forced on the Foreign Cases)

  • 강인선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3호
    • /
    • pp.19-42
    • /
    • 2011
  • 본 연구는 외국의 대학과 사이언스파크, 테크노파크 등에 소재한 기술창업보육기관의 운영에 대한 사례를 다루었다. 기술창업보육센터는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창출, 신 벤처산업의 육성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며 국내 센터운영과 비교하면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외국은 기술창업보육센터 입지를 국가정책차원에서 경제적인 낙후성과 지역의 연관 산업을 고려하여 센터를 특성화하며 전문가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운영을 활성화하고 있다. 입주기업은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완성도를 높이며 대학과 연구소는 연구개발성과를 사업화로 연계하여 기술력 있는 벤처창업을 촉진함으로써 spin-offs를 통한 기술창업자들을 육성하고 있다. 외국사례를 통해 국내 기술창업센터 운영에 대한 시사점과 성공적인 센터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 of Technology Incubation Programme on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in Nigeria

  • NDAGI, Abdulmalik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7권1호
    • /
    • pp.15-43
    • /
    • 2018
  • The lack of appropriate performance appraisal and evaluation of incubatees of technology incubation programmes in relation to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in Nigeria is a major gap that needs to be bridge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elected technology incubation programme variables such as training, financing and marketing on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in Nigeria. A closed-end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om the quota-sampled population of the six (6) geo-political zones of Nigeria.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whil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echnology incubation train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ability in Nigeria; there i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f technology incubation financing on entrepreneurial funding portfolio; there is no significant impact of technology incubation marketing programme on entrepreneurial turnover; and technology incubation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The study recommended that the National Board for Technology Incubation (NBTI) expand the training modules to capture pre, post and virtual incubatees; to facilitate access to risk funds, cheap capital and encourage establishment of venture capital; to improve on its marketing programme to encompass all marketing needs of incubatees beyond trade-fair participation. However, trade-fairs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but limited effect on entrepreneurial turnover, while a technology incubation programme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as only six (6) out of the twenty-nine (29) respondents started new venture from the incubation centers which are industrial training students and staff of the incubatees.

공공연구기관의 기술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지주회사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Technology Holding Company to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he Public Research Institutes)

  • 이병헌;김선영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5-142
    • /
    • 2008
  • 과학기술의 수준이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글로벌 시대를 맞아 정부의 연구개발투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더불어 공공연구기관의 기술 사업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사업화 실적은 투자에 비해 매우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공공연구기관으로부터 스핀오프(spin-off)된 연구소기업과 혁신적인 벤처기업에 대한 지분 투자와 양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지주회사의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다. 더불어 설립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고에서는 해외 기술지주회사의 운영 성공 사례를 통해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의 핵심 성공요인을 규명하고, 효과적인 설립,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