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policy

검색결과 9,920건 처리시간 0.033초

News & Issues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과학기술정책
    • /
    • 제1권8호통권8호
    • /
    • pp.16-17
    • /
    • 1991
  • PDF

News & Views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과학기술정책
    • /
    • 제8권6호통권111호
    • /
    • pp.117-132
    • /
    • 1998
  • PDF

News & Views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과학기술정책
    • /
    • 제8권11호통권116호
    • /
    • pp.82-98
    • /
    • 1998
  • PDF

News & Views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과학기술정책
    • /
    • 제8권8호통권113호
    • /
    • pp.94-109
    • /
    • 1998
  • PDF

INTERNET WORLD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과학기술정책
    • /
    • 제5권8호통권77호
    • /
    • pp.133-134
    • /
    • 1995
  • PDF

National Embeddedness of Economic Activities: Industrial and Technology Policy in Korea and Taiwan

  • Gammeltoft, Peter;Sornn-Friese, Henrik
    • 기술혁신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2
    • /
    • 2005
  • This paper adopts an embeddedness perspective and discusses rationales for government intervention in relation to economic development. Looking at East Asian experiences with industrial and technology policy the paper examines the general requirements, specific areas of focus and appropriate techniques for industrial and technology policy. Eight generic policy requirements are identified, viz. government capacity; monitoring and adjustment; policy sequencing; incremental upgrading; progressive market reliance; performance-orientation; selectivity; and flexibility.

  • PDF

Firm Characteristics and Mode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ases of Japan and Thailand

  • Pittayasophon, Siriporn;Intarakumnerd, Patarapong;Sumikura, Koichi;Saito, Hiromi;Suzuki, Jun
    • STI Policy Review
    • /
    • 제7권1호
    • /
    • pp.17-39
    • /
    • 2016
  • Despite the importance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issues pertain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ng firms, their modes of inter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modes and outcomes are not well-researched. The impact of country's development on these issues is also unclear. This case study examines Japan and Thailand-respectively representing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and features the following key findings: 1)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affect modes, with large Japanese firms being more collaborative with universities, whereas Thai SMEs significantly collaborate more with universities; 2)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s in Thai firms is stronger than those of Japanese firms because in Thailand, perhaps due to weak technological capacity, R&D collaboration is conducted alongside university consultancy services; and 3) in Japan, R&D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llaboration lead to product innovation, whereas different outcomes are expected from different modes in Thailand. Apparently, trivial informal collaborations do have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on.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논의 : 학문적 정의와 연구범위를 중심으로 (Discussion of the Paradigm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Suggesting the Definition of Discipline and Research Scope)

  • 이찬구;오현정;김은미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2
    • /
    • 2018
  • 이 논문은 2017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과학기술정책학 또는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독자적인 학문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출판된 과학기술정책 관련 단행본 19권을 대상으로, 학문 패러다임 형성의 핵심요소인 학문적 정의와 핵심 연구범위의 논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현 시점에서의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학은 패러다임 형성 이전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결론에 근거하여 연구자들은 향후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완성에 필요한 학문적 정의와 연구범위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과학기술정책학은 '과학기술 활동 및 과학기술과 관련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제반 현상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1) 과학기술 자체의 발전을 도모하면서 (2)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국가와 공공 부문의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고자 하는 정책지향적인 학문'으로 정의하였다. 과학기술 정책학의 '연구범위'는 (1) 과학기술 정책과정, (2) 과학기술 공공관리, (3) 연구관리, (4) 기술혁신의 4대 부문으로 제안하였다. 이 중에서 '과학기술 정책과정'과 '과학기술 공공관리'는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과학기술 정책학의 정의를 반영하는 새로운 내용이며, '기술혁신'과 '연구관리'는 기존 연구들도 대부분 포함하고 있는 과학기술정책학의 연구범위라고 할 수 있다.

부처간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기본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Ministerial Policy Conflict and Coordination: Focusing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Law Making Process in Korea)

  • 박정택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105-156
    • /
    • 2003
  •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모방형에서 혁신형으로 과학기술정책의 패러다임이 변화되면서 과학기술정책형성을 둘러싸고 다양하게 발생하는 부처간 정책갈등 현상과 그 조정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과학기술기본법(기본법) 제정과정을 사례로 선정하고,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92년부터 '01년까지로 하여, 법률안 태동기, 과도기, 입법기 등 3개의 시기단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부처간 정책갈등의 원인과 양상을 부처간 상호작용의 동기를 기준으로 정책 지향적 갈등과 관할권 지향적 갈등으로 구분 분석하였다. 갈등조정 방법의 분석은 수평적 분석적 조정과 수직적 정치적 조정을 그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부처간 정책 갈등양상, 정책갈등의 특징, 정책갈등의 조정과정, 그리고 참여자들의 특징적 양상 등을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갈등은 태동기에는 부처간 정책지향의 차이에 따른 갈등이 관할권 지향에 의한 갈등보다 우위현상을 보였고, 과도기에는 정책 지향과 관할권 지향에 의한 갈등이 복합적으로, 그리고 입법기에는 관할권 지향에 의한 갈등이 지배적인 현상을 보였다. 둘째, 정책갈등에 대한 조정과정은 태동기에는 수평적 분석적 조정이 주류를 이루었고, 과도기에는 수평적 수직적 정치적 조정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입법기에는 수직적 정치적 조정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셋째, 정책갈등에 대한 조정결과는 참여자들의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부처간 정책갈등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 국회와 정당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었다.

  • PDF

GPS Policy in India: The implications

  • Krishna, Bal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2
    • /
    • pp.151-151
    • /
    • 2006
  • The fast moving technology generally left policy practitioners fumble in formulating their responses. The country like India on one hand marches ahead with the pace of technology at the same time the country also faces the policy that may be considered by many not conducive for the growth of the technology. The paper will detail the existing policy scenario the new mapping policy, the efforts regarding NSDI and the policies pertaining to GPS. The paper will attempt to assess the implications of the same on the growth of geomatics technolo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