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3초

프로세스 관점에서의 기술혁신 및 고용성과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mployment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Process : Focused o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 봉강호;박재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08-1535
    • /
    • 2018
  • 기업들에 있어서 고용은 혁신활동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연속된 의사결정과정이다. 따라서 기술혁신을 통한 고용성과를 살펴봄에 있어서 이 같은 관계성을 명시적으로 분석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고용효과의 관계를 선행 연구와 같이 단일방정식을 추정하는 순위로짓(ordered logit) 모형으로 분석할 뿐 아니라, 연립방정식을 추정하는 외견무관회귀(SUR) 모형을 활용하여 실제 동시적으로 수행되어지는 기술경영 과정의 상관성을 반영하여 기업의 혁신활동과 기술혁신 성과, 보상제도 그리고 고용 창출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보상제도의 시행은 기술개발 및 기술사업화 성과를 높이고, 이것은 다시 기업의 고용을 촉진하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용성과에 있어 기술개발 뿐 아니라 사업화 성과가 일종의 허들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기술혁신을 프로세스 관점에서 관리할 때 기업의 고용성과는 높아진다고 볼 수 있겠다.

An Exploratory Study on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 Jo, Dong Hyuk;Kim, Jong Young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3-12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network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n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with the aim of determining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by defining the succes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s the innovative performance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innovation as a survival strategy of technology-based start-ups, verified the dimensions, relationship and role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network capabil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thereby proving the theoretical expansion. This study has determined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thereby suggested the strategic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Green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in SMEs: A Case Study in Indonesia

  • EFFENDI, Mohamad Irhas;WIDJANARKO, Hendro;SUGANDINI, Dya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4호
    • /
    • pp.909-916
    • /
    • 2021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o analyze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Special Region of Yogyakarta based on green supply chains. This study's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s, green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supply chain knowledge-sharing. This research is important because many SMEs are underdeveloped in terms of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shows that innovation has a multi-dimensional ecological performance in organizations. Therefore, SMEs' sustainable supply chain could be achieved by managing operations, support, and information by focusing on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to maximize the entire chain. This study used primary data. The number of respondents in this study was 200 SMEs that have implemented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The data collection method used was a questionnaire. The data analysis technique tool used is a two-step approach to SEM-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MEs are willing to implement a green supply chain to increase their performanc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model of this study is acceptabl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companies must be encouraged to maintain and increase the implementation of green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better supply chain knowledge-sharing with improve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enhancements.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과 혁신성과의 관계: 성장단계별 차이 (A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and Performance: Differences in Firm Development Stages)

  • 강신형;박상문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91-100
    • /
    • 2018
  • 중소기업들은 기술혁신과 기술혁신역량 확보를 통해 불리한 자원규모나 경쟁여건을 극복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 기존 연구들은 총체적인 기술혁신역량이나 특정 기술혁신역량 차원들에 초점을 두고 각 혁신역량과 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반면 성장단계별 기술혁신역량의 상대적 중요성이나 성과 영향의 차이와 같은 동태적 특성에 대한 관심은 미흡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과 성과간의 성장단계별 차이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중소제조기업들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의 모든 세부 차원들은 혁신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장단계별로는 기술혁신역량의 세부 차원별로 혁신성과에 상이한 영향관계를 보여준다. 기획역량은 성장기와 성숙기에서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역량은 성숙기에서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개발역량과 사업화 역량은 모든 성장단계에서 혁신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들의 성장단계에 따라 실무적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또한 성장단계별 정책적 지원프로그램 설계와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들을 제시했다.

중소기업 CEO의 기업가정신과 조직 내 기술혁신역량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흡수역량의 조절역할 (Effects of CEO's Entrepreneurship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n New Product Performance in SMEs and the Moderating Role of Absorption Capability)

  • 전종일;임헌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3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n new product performance in SMEs and the moderating role of absorption capability. For this stud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the sample of 374 employees in 18 SMEs of metropolitan area. The 336 sample was selected and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also found out absorption capability had the moderate roles between all the three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factors and new product performance, but not between all the thre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and new product performance. With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echnical management of SMEs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기술혁신이 생산전략과 생산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n the manufacturing strategy and manufacturing activity)

  • 김헌
    • 정보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163-175
    • /
    • 1999
  • 기술혁신은 모든 산업에 있어 차별적 경쟁우위의 주요한 원천이 되면서 동시에 기업의 많은 자원이 투자되는 경영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성공적인 기업의 이면에는 반드시 뛰어난 기술혁신과 이를 위한 투자가 있다. 그러나 기술혁신투자가 모든 경우에 바람직한 성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며 생산전략 및 생산활동과 효과적으로 연계되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Abernathy St Utterback(1975)의 기술혁신모형을 국내 전자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기술혁신이 생산전략 및 생산활동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술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규범적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이다.

  • PDF

경영자의 개인창의성이 기업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조직의 기업가지향성과 기술혁신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reativity of Executives on Innovative Performance of Firm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of Research Organization)

  • 신주훈;조근태;박상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1호
    • /
    • pp.73-87
    • /
    • 2018
  • 창의성, 기업가정신, 기술혁신 지향성향 등은 기술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인이다. 기업의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주체는 경영자이다. 햄브릭 교수의 고위층 이론(Upper Echelons Theory)에 따라 경영자 개인수준의 창의성이 조직의 기술혁신체계 내에 다양한 양상으로 투입될 것이고, 조직의 기술혁신체계가 경영자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아 기업가지향성과 기술혁신지향성을 발현함으로써 혁신성과를 높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반도체분야 기업 중 연구조직을 보유한 132개 기업의 경영자의 개인창의성이 연구조직의 기업가지향성, 기술혁신지향성을 매개로 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문헌에서 확인한 개인창의성, 기업가지향성, 기술혁신지향성 등을 측정 요소로 적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경영자의 개인 창의성이 연구조직의 기업가지향성과 기술혁신지향성을 매개로 할 때 기업의 혁신성과에 매우 유의미한 양(+)의 관계를 보였고, 경영자 창의성의 혁신성과와 직접적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경영자의 개인창의성과 연구조직의 기업가 지향성과 기술혁신지향성은 기업의 성공적 혁신성과 창출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말해주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능력과 기술사업화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Business Performance in SMEs of Korea)

  • 이동석;정락채
    • 중소기업연구
    • /
    • 제32권1호
    • /
    • pp.65-8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혁신형중소기업(이노비즈)의 건전한 성장발전을 위하여 기업의 중요한 전략적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기술혁신능력과 기술사업화능력이 시장정보지향성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술혁신형중소기업의 효율적인 경영관리와 정부의 정책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기술혁신형 중소기업를 대상으로 오슬로매뉴얼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개발능력, 기술축적능력, 기술혁신체제를 기술혁신능력으로, 제품화능력, 생산화능력, 마케팅능력을 기술사업화능력으로 구성하고, 이들 요인들이 시장정보지향성을 매개 변수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제품경쟁력 향상과 같은 기술의 상업적 성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경영성과는 기술혁신체제나 생산화능력, 마케팅능력 등의 경영관리적 측면에서의 능력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며 기술적 성과를 의미하는 신기술/신제품개발 성과는 연구개발능력, 기술축적능력, 제품화능력 등 공학적 측면에서의 능력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시장정보지향성과 관련하여 신기술/신제품개발 등의 기술적 성공을 위해서는 조직내부에서의 정보확산 수준이 상대적으로 크게 부각되고 있고, 제품경쟁력 향상 등 상업적 성공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보에 대한 반응수준이 더 크게 요구된다는 점을 함축하고 있다.

기업가지향성과 기업자원이 기술혁신성과와 기술혁신 양면성에 미치는 영향; 동적역량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s Resourc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Ambidextrous Innovation; with Meditation Effects of Dynamic Capabilities)

  • 이완재;임왕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133-150
    • /
    • 2017
  • 국내외 시장 환경의 변화가 심화되고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아지는 시대적인 변화를 감안할 때, 차별적인 기술혁신역량을 확보하는 것은 기업의 생존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기술혁신의 성과를 단기적측면의 기술혁신성과와 장기적측면의 기술혁신 양면성으로 구분하여, 이러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역량의 매개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전기, 전자, IT, 바이오 등 연구개발을 수반하는 업종의 중소기업 219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동적역량이 기술혁신성과와 탐험적 혁신과 활용적 혁신을 포함하는 기술혁신 양면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병렬다중매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다차원적 특성이 동적역량 결정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성공적인 기술혁신을 위한 기업의 동적역량 관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동적역량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국내 중소기업 경영자들의 실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중소기업의 사업영역과 기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Business Scope,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Performance)

  • 이병헌;김영근;박상문
    • 기술혁신연구
    • /
    • 제16권1호
    • /
    • pp.23-4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mpact of business scope and technological capability on firm performance in SMEs. Existing studies on business scopes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ve focused on the unilateral relationships with financial performances. This study examines the independent and interaction effects of business scopes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on financial performances of SMEs in capital industries. Based on 228 firm-level data,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ve positively significant impacts on performance. Business scope measured by product variety and number of buyers have been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to financial performances. Also SMEs with technological capabilities can moderate the effects of business scope on their performances. However, the results show different relationships depending on measurements on business scop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The results provide interesting findings on strategic behaviors of SMEs when they pursue growth strategy through expanding business scopes and building technological capabi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