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iques: interferometric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초

A NEW HARDWARE CORRELATOR IN KOREA: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KVN OBSERVATIONS

  • Lee, Sang-Sung;Oh, Chung Sik;Roh, Duk-Gyoo;Oh, Se-Jin;Kim, Jongsoo;Yeom, Jae-Hwan;Kim, Hyo Ryoung;Jung, Dong-Gyu;Byun, Do-Young;Jung, Taehyun;Kawaguchi, Noriyuki;Shibata, Katsunori M.;Wajima, Kiyoaki
    • 천문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5-137
    • /
    • 2015
  • We report resul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 new hardware correlator in Korea, the Daejeon correlator, developed by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and the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y of Japan (NAOJ). We conduct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VLBI) observations at 22 GHz with the Korean VLBI Network (KVN) in Korea and the VLBI Exploration of Radio Astrometry (VERA) in Japan, and correlated the aquired data with the Daejeon correlator.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new hardware correlator, we compare the correlation outputs from the Daejeon correlator for KVN observations with those from a software correlator, the Distributed FX (DiFX). We investigate the correlated flux densities and brightness distributions of extragalactic compact radio sources. The comparison of the two correlator outputs shows that they are consistent with each other within < 8%, which is comparable with the amplitude calibration uncertainties of KVN observations at 22 GHz. We also find that the 8% difference in flux density is caused mainly by (a)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fringe phase tracking between the DiFX software correlator and the Daejeon hardware correlator, and (b) an unusual pattern (a double-layer pattern) of the amplitude correlation output from the Daejeon correlator. The visibility amplitude loss by the double-layer pattern is as small as 3%. We conclude that the new hardware correlator produces reasonable correlation outputs for continuum observation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outputs from the DiFX software correlator.

SOURCE-FREQUENCY PHASE-REFERENCING OBSERVATION OF AGNS WITH KAVA USING SIMULTANEOUS DUAL-FREQUENCY RECEIVING

  • Zhao, Guang-Yao;Jung, Taehyun;Sohn, Bong Won;Kino, Motoki;Honma, Mareki;Dodson, Richard;Rioja, Maria;Han, Seog-Tae;Shibata, Katsunori;Byun, Do-Young;Akiyama, Kazunori;Algaba, Juan-Carlos;An, Tao;Cheng, Xiaopeng;Cho, Ilje;Cui, Yuzhu;Hada, Kazuhiro;Hodgson, Jeffrey A.;Jiang, Wu;Lee, Jee Won;Lee, Jeong Ae;Niinuma, Kotaro;Park, Jong-Ho;Ro, Hyunwook;Sawada-Satoh, Satoko;Shen, Zhi-Qiang;Tazaki, Fumie;Trippe, Sascha;Wajima, Kiyoaki;Zhang, Yingkang
    • 천문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3-30
    • /
    • 2019
  • The KVN(Korean VLBI Network)-style simultaneous multi-frequency receiving mode is demonstrated to be promising for mm-VLBI observations. Recently, other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VLBI) facilities all over the globe start to implement compatible optics systems. Simultaneous dual/multi-frequency VLBI observations at mm wavelengths with international baselines are thus possibl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from the first successful simultaneous 22/43 GHz dual-frequency observation with KaVA(KVN and VERA array), including images and astrometric results. Our analysis shows that the newly implemented simultaneous receiving system has brought a significant extension of the coherence time of the 43 GHz visibility phases along the international baselines. The astrometric results obtained with KaVA are consistent with those obtained with the independent analysis of the KVN data. Our results thus confirm the good performance of the simultaneous receiving systems for the nonKVN stations. Future simultaneous observations with more global stations bring even higher sensitivity and micro-arcsecond level astrometric measurements of the targets.

위성 SAR 자료를 활용한 도심지 지하 교통 인프라 건설에 따른 지표 변위 모니터링 적용성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Surface Displacement Using SAR Data from Satellite to Aid Underground Construction in Urban Areas)

  • 김우석;황성필;유완규;;김창용
    • 지질공학
    • /
    • 제34권1호
    • /
    • pp.39-49
    • /
    • 2024
  • 최근 도심지의 인구 집중 및 인프라 과밀현상에 따라 인프라 시설의 지하화 건설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기반 시설의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은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모니터링 중 지반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설계의 타당성을 확인, 위험 예측, 안전한 운영 관리, 건설 비용 절감에도 유용한 방법으로 건설 및 운영 중까지 사용 가능한 광역적 지역 대상으로 비용과 정확성을 고려한 지반조사 기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부 지하도로 건설 시 주변 지표 변위 관찰을 위해 SAR 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 레이더 간섭기법을 통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일부 지점에서는 지속적인 지표 변위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주요 관심 지점 등에 대해서는 현장 실측한 계측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한다면 터널 굴착 영향에 따른 변위 발생 여부 확인 및 굴착 영향 범위 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위성 원격탐사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 감시 연구 리뷰 (A Review on Monitoring Mt. Baekdu Volcano Using Space-based Remote Sensing Observations)

  • 홍상훈;장민정;정성우;박서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4호
    • /
    • pp.1503-1517
    • /
    • 2018
  • 백두산은 중국과 북한의 국경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성층화산으로 신생대 올리고세 이후 주요 분화 단계를 거쳐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0년 이후 마그마 재활동으로 인한 백두산 화산활동 여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백두산 화산 활동을 감시하기 위한 연구는 기상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국가기관 중심으로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2018년에는 한-중 백두산 공동 관측 장기연구 과제가 선정되었으며 이로부터 화산특화연구센터가 설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백두산은 우리나라로부터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접근에 대한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백두산 화산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현장 관측 장비로부터 수집된 현장 자료의 공유 혹은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원격탐사는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 없이 대상 물체에 대한 특성을 원격으로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대상물의 관측을 위해 자동차, 무인기, 항공기, 인공위성 등 여러 형태의 플랫폼이 사용된다. 지난 수십 년 간, 다양한 파장 대역에서의 전자기파를 이용한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하여 화산 감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레이더 원격탐사는 주야조건,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자료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위상정보를 이용한 레이더 위상간섭기법을 통한 미세 지표 변위 관측이 가능하여 매우 널리 이용되고 있는 화산 감시 기술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백두산 화산 관측을 위해 수행된 기존 원격탐사 연구 문헌을 수집하고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화산 감시를 위한 가용 영상레이더 위성정보를 조사하여 향후 이를 바탕으로 백두산 화산 지표 변위의 주기적 탐지 연구를 수행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인공위성 영상레이더를 이용한 멕시코시티 시계열 지반침하 관측 (Monitoring of a Time-series of Land Subsidence in Mexico City Using Space-based Synthetic Aperture Radar Observations)

  • 주정헌;홍상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657-1667
    • /
    • 2021
  • 지반침하는 인위적인 인간 활동 또는 자연적 현상에 의해 지표면이 가라앉는 현상이다. 멕시코시티는 전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지반침하가 발생하는 지역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멕시코시티 지반침하의 원인은 과도한 지하수 채취로서 해당 지역 전체의 물 사용량의 약 70%를 지하수가 차지하고 있다. 범 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또는 수준측량과 같은 전통적인 현장 관측 방법은 지반침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선호되어 왔다. 하지만 GNSS 관측은 매우 높은 시간해상도를 가진 정확한 지표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넓은 지역에 대한 부분적인 관측 정보를 제공하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인공위성 영상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SAR)는 주야 조건과 기상상태에 관계없이 높은 공간 해상도의 지표변화 정보를 mm에서 cm 크기의 정밀도로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관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2월 11일에서 2011년 2월 22일까지 획득된 ALOS PALSAR L-band 영상레이더를 이용하여 멕시코시티의 지반 침하 시계열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시계열 분석 방법인 고정 산란체 위상간섭기법(persistent scatterer interferometry, PSI)과 small baseline subset (SBAS)을 적용하여 지표 변위의 시계열 결과를 획득하였으며 대기 효과 및 지형 오차를 제거하였다. PSI 및 SBAS 기법을 이용한 분석 결과 최대 지반침하 속도는 각각 -29.5 cm/year, -27.0 cm/year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지역을 지질 공학적 특성에 따라 세 가지 구역으로 분류하여 각 분류에서의 지반 침하속도를 비교한 결과, 단단한 기반암으로 구성된 지역에 비해 압축률이 큰 호수성 퇴적물로 구성된 지역에서 침하가 크게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