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ical investigation

검색결과 702건 처리시간 0.026초

제조방식을 달리한 chlomethoxyfen과 butachlor 혼합입제의 물리성, 수중용출도와 생물효과 비교 (Physical properties, released patterns and bio-efficacy of granular mixtures with chlomethoxyfen and butachlor formulated by different methods)

  • 정봉진;연재흠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6-44
    • /
    • 1998
  • 각기 다른 종류의 입상담체(extruded pellets, sands, zeolites)를 이용하여 보조제의 종류와 조성을 달리하고 주성분을 피복 또는 흡착시켜 제제한 제제품과 조립흡착식으로 제조된 butachlor + chlometholefen(3.5 + 7.0%, 부로트 입제) 혼합입제의 부유성, 수중확산 또는 붕괴성, 수중용출도 및 생물효과를 비교하여 우수한 물성 및 효과를 갖는 용출제어형 입제 제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물성이 다른 원제를 이용하여 입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여러 제조방식을 이용하는데 원제 2개 이상 혼합된 입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고상인 원제와 증량제 및 보조제를 첨가시켜 조립한 뒤 여기에 액상 원제를 흡착시켜 제조한 입제는 우수한 부유성과 수중붕괴성, 안정된 수중용출도를 나타내었으며, 생물효과도 안정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었다. 기립입자를 담체로 이용하여 피복 또는 흡착시킨 기립피복식 입제들은 부유성, 수중붕괴성 및 생물효과면에서 기존 입제와 대등하거나 우수하였지만 불안정한 수중용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모래피복형의 경우 기립피복식이나 지오라이트피복식과 달리 액상의 binder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주성분들의 수중용출에 도움을 주었고 분상의 dispersing agent보다 액상이 부유성, 수중붕괴성 및 생물효과 면에서 기존과 비슷했거나 좋았던 결과로 볼 때 적절한 binder와 액상의 dispersing agent를 선택하여 제조한다면 기존 조립흡착식 입제와 대등하거나 우수한 물성 및 생물효과를 발현하는 입제를 개발할 수 있는 제조방식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을 위한 지하연구시설(URL)의 필요성 및 접근 방안 (Preliminary Review on Function, Needs and Approach of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 in Korea)

  • 배대석;고용권;이상진;김현주;최병일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7-178
    • /
    • 2013
  • 사용후핵연료 최종처분을 위해 심층처분은 세계적으로 가장 선호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선진국들은 자국 여건에 가장 잘 부합되는 고유의 처분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거나, 일부 확보하여 상용처분사업에 적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심층처분시스템은 공학적 및 천연방벽으로 구성된 다중방벽시스템이다. 이들 처분시스템은 수 천 년 ~ 수 십만 년 이상의 성능기간이 대하여 성능 안전성의 입증이 확인되어야 후속 상용처분사업에 적용 가능하다. 입증 현안과제들은 처분시스템의 상능 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행되는 모든 행위 즉, 조사, 분석, 해석, 평가, 설계, 건설, 운영 및 폐쇄에 이르는 전 과정에 있어서 추진 과정과 결과에 대한 실현 가능성과 실증에 필요한 내용들이 해당된다. 이를 위해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자국내 분포하는 대표적인 선호암종 지역에서 지하연구시설(URL)을 건설하여 실증 시연프로그램을 수행하거나 완성단계에 있다. 이 과정과 결과들은 후속되는 최종처분장 부지선정 과정에 평가기준으로 활용될 것이며, 최종처분시설의 성능 안전성평가에 필수적으로 적용하게 된다. 지하연구시설은 또한 규제-일반대중-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들로 하여금 심층처분의 안전성 수준에 대한 이해제고와 토론의 마당으로서 핵심적인 역할과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양지역에 적합한 항타강관말뚝의 목표신뢰성지수 및 저항계수 산정 (Resistance Factor and Target Reliability Index Calculation of Static Design Methods for Driven Steel Pipe Pile in Gwangyang)

  • 김현태;김대현;임재춘;박경호;이익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128-8139
    • /
    • 2015
  • 최근 구조물 기초 분야에 대한 한계상태설계법이 국제적인 기술표준으로 요구됨에 따라 연구기반이 미약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대한 하중저항계수설계법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신뢰성 분석을 통해 항타강관말뚝의 목표신뢰성지수 및 저항계수를 산정하여 기초 구조물에 대한 LRFD code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해 광양지역 16개의 항타말뚝 재하시험 결과와 2008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이용된 57개의 항타말뚝 재하시험 결과를 취합하였다. 구조물기초설계기준에서 제안하고 있는 두가지 정역학적 설계공식에 대해서 대표 측정지지력과 설계지지력을 비교함으로써 저항편향계수를 평가하였고, 저항편향계수의 통계특성을 이용하여 일차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실뮬레이션에 의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항타강관말뚝의 목표 신뢰성지수 2.0, 2.33, 2.5에 대해서 선단부 N치 50이하인 경우 두 지지력 공식의 저항계수는 각각 0.611~0.684, 0.821~0.537, 선단부 N치 50이상인 경우 각각 0.608~0.545, 0.749~0.643으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다양한 기초구조물 및 지반구조물의 하중저항계수설계법 개발을 위한 자료로서 그 활용성이 있을 것이다.

고온전해분리 기술의 개요 및 기존 핵연료주기 대체 기술로서의 적합성 검토 (Investigation of Pyroprocessing Concept and Its Applicability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for Conventional Fuel Cycle)

  • 유재형;이병직;이한수;김응호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83-29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경수로 사용후핵연료로부터 다시 핵연료 물질로 재사용할 수 있는 우라늄과 초우라늄원소군을 분리/회수하기 위한 고온전해분리 공정(Pyroprocessing)의 기술적 타당성을 조사하였으며, 나아가서 핵비확산 측면에서 기존 핵연료주기기술의 대체기술로서 적합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고온전해분리 공정에 편입될 각종 단위공정을 조합하여 전체 공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사용후핵연료에 들어 있는 여러 가지 물질들의 분리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 확보한 실험결과와 관련 문헌에 발표된 각종 분리도 자료를 바탕으로 문제의 원소군들 즉, 우라늄, 초우라늄원소군, 희토류, 귀금속류, 그리고 열발생원소군들이 공정흐름도에서 어떤 경로를 따라 흘러가는지 그 향방을 추적하여 보았다. 결과적으로 전체 공정의 물질수지 산출 결과에 의하면 우라늄과 초우라늄원소군(TRU)은 각각 98.0wt%, 97.0wt%가 제품으로 회수될 수 있으며 나머지 원소군들은 대부분 제거되어 방사성폐기물로 분리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게다가 초우라늄원소군 제품이 상당한 ${\gamma}$-방사선과 중성자선을 방출하고 있어 핵비확산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시비 및 방목에 의한 Carex ferruginea 군락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Carex ferruginea Community by Fertilization and Grazing)

  • 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7-102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2차천이(次遷移) 식생(植生)의 Carex ferruginea 군락(群落)인 독일(獨逸)의 남부지방인(南部地方)에 위치(位置)한 Bavarian Alps 지역(地域)에서 PK-시비(施肥) 및 면양(緬羊) 방목(放牧)에 의(依)한 식물군락(植物群落)의 천이(遷移)를 조사(調査)코자 수행(遂行)되었다. 1. Carex ferruginea 군락(群落)은 처리(處理)(환경(環境)) 조건(條件)에 의(依)해 변화(變化)되었는데 면양방목(緬羊放牧)보다는 PK-시비(施肥) 및 방목(放牧)이 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Carex ferruginea, Melica nutans, Brachypodium sylvaticum, Calamagrostis varia 등(等)의 야초(野草)는 양분흡수력(養分吸收力)이 비교적(比較的) 약(弱)하므로 PK-시비(施肥)에 의(依)해 점차(漸次) 소멸(消滅)되었고, 양분흡수력(養分吸收力)이 강(强)한 Festuca rubra, Agrostis tenuis, Poa trivialis, Trifolium repens 등(等)의 초종(草種)은 증가(增加)되었다. 3. 시험지(試驗地)의 식물군락(植物群落)의 생활형(生活型)은 반지중식물(半地中植物)(Hemicryptophyte)이 55%, 지중식물(地中植物)(Geophyte)이 40%였으나, PK-시비(施肥) 및 면양방목(緬羊放牧)에 의(依)해 반지중식물(半地中植物)은 19% 증가(增加)되었고, 지중식물(地中植物)은 31%나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나 시비(施肥)를 하지 않고 면양방목(緬羊放牧)만 한 곳은 지중식물(地中植物)은 11% 증가(增加)되었으며, 반지중식물(半地中植物)은 시험(試驗) 전(前)보다 12% 감소(減少)되었다. 4. 시험(試驗) 착수당시(着手當時)의 Carex ferruginea 군락(群落)은 PK-시비(施肥) 및 면양방목(緬羊放牧)에 의(依)해 왕김의 털(Festuca rubra) 군락(群落)으로 천이(遷移)되었다.

  • PDF

반복 경두개자기자극술의 우울증 치료효과 및 최신동향에 대한 고찰 (Clinical Efficacy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for Treatment of Depression and Latest Trends in TMS Techniques)

  • 김신태;김혜원;김세주;강지인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3호
    • /
    • pp.95-109
    • /
    • 2017
  • 본 종설에서는 우울증에서의 rTMS 임상연구를 임상특성과 TMS 적용방법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새로운 TMS 치료기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rTMS는 항우울제에 반응이 적은 단극성 우울증 환자의 치료에 병용 혹은 단독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뇌조절술이다. rTMS는 고빈도 좌측 DLPFC, 저빈도 우측 DLPFC, 그리고 양측성 DLPFC 적용방법이 비슷한 수준으로 허위자극에 비해 유의하게 항우울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치료저항성 단극성 우울증에 대한 항우울효과 크기는 작았다. 또한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된 우울증의 치료와 양극성 장애의 우울삽화에 대해서는 치료효과가 불분명하다. 기존 rTMS의 항우울효과 크기는 작은 정도로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고용량의 자극, 보다 깊이 자극할 수 있는 코일을 이용한 rTMS 치료, 표적영역에 보다 정확하게 코일을 위치시키는 신경항법 등을 이용한 TMS 적용 등의 새로운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세타돌발자극과 자기경련치료와 같은 새로운 치료기법을 이용한 시도가 우울증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비록 현재까지 rTMS의 항우울효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임상양상을 세분화한 치료적용과 개선된 치료기법의 적용 등을 통해 더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TMS 기법에 대해 잘 설계된 허위자극에 대한 통제연구뿐만 아니라 서로의 비교연구를 통해 우울증 치료에서의 근거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폭풍압 시뮬레이션에 의한 지형지물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the Artificial Structures by the Blast Pressure Simulation)

  • 강대우;이신;정병호;심동수
    • 화약ㆍ발파
    • /
    • 제28권2호
    • /
    • pp.17-27
    • /
    • 2010
  • 현대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기술적인 진보는 물론이고 보안물건의 의미, 형태 및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지만, 총포도검화약류등단속법은 1961년에 제정된 이래 2010년 지금까지 현실적으로 개정이 되지 않아 화약류사용 및 저장에서 행정상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기관에 질의된 민원인들의 질의 및 회시에 대한 관련사례를 조사하고 이들 보안물건 등급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음압해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ENPro 3.1을 이용하여 화약류저장소 폭발시의 폭풍압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하고, 전달된 폭풍압의 피해영향 규모를 비교하여 공학적인 방법으로 현행 보안물건의 등급에 따른 보안거리의 규정에 대한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저장소 주변의 지형 및 지물을 고려하지 않은 1종 보안물건의 법률상의 보안거리 440m에서의 폭풍압 크기와 지형지물을 고려한 실제 이격거리 309m에서의 폭풍압 크기를 분석 대비한 결과 각각 138dB(L)과 123dB(L)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지형지물이 있는 경우가 근거리에 보안물건이 존재하더라도 440m의 경우보다 309m 지점에서 지형지물이 존재하면 약 15dB(L)이 작은 수치를 보여 근거리의 보안물건이 더욱 폭풍압의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저장소 주변의 지형지물이 고려되지 않은 보안거리의 적용은 부적합하므로 저장소의 주변환경을 고려한 공학적 분석결과에 의해 보안거리가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비쿼터스 특성이 U-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U-캠퍼스 환경을 중심으로 (A Structural Model on Usage Behavior of Ubiquitous Campus Service)

  • 박철;유재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81-99
    • /
    • 2006
  • 최근 새로운 정보기술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가 등장함에 따라 그에 관련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기업은 효과적인 상품 개발과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u-서비스를 이용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유비쿼터스에 대한 기존 연구는 기술 중심적인 연구에 치중되어 서비스나 상품을 마케팅 하는 데는 시사점이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u-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기업의 입장에서 향후 u-서비스를 개발하고 이용자를 확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개념을 정의하고 유비쿼터스 특성요인을 반영한 u-서비스 수용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하였다. 그 결과 u-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편재성, 상황기반 제공성, 친화성 등이었으며 지각된 가치는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이용 빈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u-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토의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학교보건사업의 역사적 고찰을 통한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Improvement by Means of a Historical Review of School Health Programs)

  • 김상욱;김윤신;장창곡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7-150
    • /
    • 200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structur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of school health programs, an overview of the historical changes of school health programs and their results, and a conceptual framework on school health programs. Methods: The data analysis has been done using a statistical almanac,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peration handbook of the program, theses, reports, records of public hearings, and other reports as a technical research primarily based on evidence. The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classifies the development and growth transition of school health programs during a historical perio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regulations, organization, manpower, and its program via its development process and to provide a basic tool to design a solid school health policy. Results: A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programs The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programs was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periods including the forthcoming period (1945~1967), the completion period (1967~1993), and the actualization period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legislation for School Health Law, other relevant legislation, and the contents of school health programs (1993~present). B. Policy direction of school health programs School health programs have reestablished their goals and range based on basic direction, and developed the W1it model of information structure for school health program management and its basic structure. Finally, the stepwise support system through the building of the school health support center is recommended. (1) The basic direction of school health programs has proposed 7 basic goals to reestablish the policy direction of health improvement based on total health. (2) The W1it model of information system and the school health information system for school health program management has been developed to utilize positive management. (3) School health policy through the study of the health laws and systems has been developed. The necessity of school health support center for the policy support, functional support and operation support has also been propose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build a school health support center that consists of health professionals in charge of policy support, functional support, and program support of school health programs in order to realize and develop new policy.

식품의 미생물 규격기준의 국제적동향 (International Tendencies for Estavlishing a Microbiogical Standard for Food)

  • 신광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7-95
    • /
    • 1986
  • In 1962 the governing bodies of FAO and WHO approved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FAO/WHO Food Standards Programme, the creation of a jointly sponsored body to be known as the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to implement the Programme. It can reasonably be claimed that the Commission has assumad the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internation food standards throughout the world. The Codex Committee of Food Hygiene has received much advice and assistance from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 which have been working in this field for a number of years. In particular, it has received valuable background document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Microbiological Specifications for Foods(ICMSF) which was set up b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icrobiological Societies(IAMS), and also from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Nevertheless, in spite of the information supplied by governments and research bodies in this field, microbiological standards have proved to be a highly controversial subject from the point of view of Codex standards. When it is decided to establish a microbiological standard for a food or class of foods, the following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must be considered: 1) The standard should be based on factual studies and ser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objectives: (1) to determine the conditions of hygiene under which the food should be manufactured; (2) to minimize the hazards to public health; (3) to measure the keeping quality and storage potential of the food 2) The standard should be attainable under practicable operating and commercial conditions and should not entail the use of excessive heat treatment or the additions of extra preservatives. 3) The standard should be determined after investigation of the processing operation. 4) The standard should be as simple and inexpensive to administer as possible, the number of tests being kept to a minimum. 5) Details of methods to be used for sampling, examining and reporting should accompany all published microbiological standards. 6) In establishing tolerance levels for the permissible number of defective samples, allowance should be made for sampling and other variations due to differences in the laboratory methods. The following additional points should be kept in mind: 1) It is not satisfactory to establish one set of microbiological standards for a miscellaneous group of foods, such as“frozen foods”or“precooked foods”. 2) Microbiological standards should be applied first to the more hazardous types of food on the basis of experience of expected microbiological levels, taking into account variations in composition, processing procedures, and storage. 3) When a standard is established, there should be a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ard and the hazard against which it is meant to protect the public. 4) The sensitivity,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should be compared in different laboratories and the methods to be used should be specified in detail as part of the standard. 5) Tolerances should be included in the standard to account for inaccuracies of sampling and analysis. 6) Standards should be applied on a voluntary basis before compliance is made mandato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