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as researcher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4초

능력별 집단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A Study of Recognition About Students' Ability Grouping)

  • 김달효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390-402
    • /
    • 2007
  •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Neo-liberalism, the issue of ability grouping has grown more and more in education of Korea. And because of the influence of ability grouping, now ability grouping is enforcing partially in the subjects of English and Mathematics. But ability grouping is going to expand to the all subjects. So, it is very important that how teachers and students are recognize about partial ability grouping in the subjects of English and Mathematics. Because that information about partial ability grouping can guide direction for the future educational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of partial ability grouping in the subjects of English and Mathematics. To accomplish this purpose, 622 middles school students and 552 teacher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of partial ability grouping had made by researcher of this study were used. And as processing of data, t-test, F-test, Scheff-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teachers who are experiencing ability grouping recognized more negative about ability grouping than teachers who are not experiencing ability grouping. Second, students who have low ability recognized more negative about ability grouping than students who have high ability. Third, teachers who are experiencing ability grouping recognized more ineffective about ability grouping than teachers who are not experiencing ability grouping. Fourth, students who have low ability recognized more ineffective about ability grouping than students who have high ability.

불확실함에서 벗어나기까지: "왜 강낭콩이 싹트지 않았을까?" 논변 활동에서 초등학생들의 정서-인지적 반박 (Escaping Uncertainty: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Cognitive Rebuttals in the Argumentation of "Why Did the Kidney Beans not Germinate?")

  • 한문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2
    • /
    • 2020
  • 논변 활동에서 불확실함은 상대방의 설명에 대한 막연하고 애매모호한 느낌을 말하며 학생들은 그들이 경험하는 불확실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반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왜 강낭콩이 싹트지 않았을까" 논변 활동에서 경험한 불확실함 맥락과 이에 따른 반박 사용이 어떠했는지를 탐색하여 불확실함과 반박 간의 역동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논변 정교화와 불확실함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반박이 활발하게 나타날 수 있는 맥락을 불확실함 경험 측면에서 해석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경기도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0명 및 담임교사가 연구 참여자로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은 5개(남, 녀 4명으로 구성)의 소집단으로 이루어져 논변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자는 학생들의 논변 활동이 녹화된 비디오에 대한 전사본, 학생들과의 면담, 연구자의 필드 노트를 질적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 지속적 반복적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어떠한 맥락에서 불확실함을 경험하였고 이에 따른 반박 사용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첫째, 학생들은 "왜 강낭콩이 싹트지 않았을까?" 논변 활동에서 불확실함을 경험하였고 이 정서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이 불확실함을 줄이고자 정교화형 반박, 의견형 반박, 비난형 반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의 불확실함은 감소하지 않았으며 그들이 사용한 비난형 반박은 학생들의 부정적 정서를 높이기도 하였다. 셋째, 교사의 개입은 학생들이 비난형 반박 사용을 멈추도록 이끌었으며, 학생들은 정교화형 반박을 사용하여 강낭콩이 싹틀 수 있는 조건을 탐색하였고 "왜 강낭콩이 싹트지 않았는가?"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찾게 되면서 불확실함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연구자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불확실함과 정교화형 반박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논변 발달을 촉진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환경쟁점을 도입하는 수업에서 교사의 의견 제시가 학생들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Teacher's Opinion Presentation on Students Decision-making in a Class Introducing Environmental Issues)

  • 윤호찬;이재영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1호
    • /
    • pp.70-81
    • /
    • 2005
  • The importance of classes aiming at enhancing students ability in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has been being recognized as chances of individual citizen for taking part in social decision making process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whether teachers' opinion presentation have effects on students' decision making in a class introducing environmental issues. Total of 6 classes, 202 middle school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a series of experiments including 4 different environmental issues. Only two issues had been addresses in classes as experimental issues and other two issues not addressed as control issues. For each of the two experimental issues, the teacher researcher applied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his students that included positive, negative, or no opin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changed their decisions on environmental issues more frequently when dealing with those issues in a class than when not dealing with them. Second, a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tterns in which students make decisions and whether a teacher proposed his opinions or not, it is shown that the rates of students whose opinions is not changed nearly have no difference, while when teachers propose their opinions, it is shown that students who haven't yet chosen their positions easily make their decisions into pros or cons, compared with the opposite case.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partly supported the third hypothesis that teachers opinion presentation would effect on decision-making of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effect in the case of car free day system issue, but no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in the case of no pets in the national park issue. However, in the issue of car free day system, it seems pretty clear that the students followed the direction of teachers' opinion no matter what it was pros or cons.

  • PDF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rogram for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on Teaching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 박나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7-265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서울과 경기 지역 4개 어린이집 12명의 어린이집 교사가 실험 집단에 선정되었고, 5개 어린이집 12명의 교사가 통제 집단에 선정되었다. 교사 지원은 교사 교육과 현장 관찰 및 자문, 온라인 자문을 통해 실시되었다. 교사 교육은 집단 교육을 통해 발달 영역의 이해, 교육과정 수정, 활동중심삽입교수, 협동 학습, 직접 교수, 장애 이해 교육, 행동 지원, 가족 지원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개별 교육을 통해 각 교사들의 장애유아 통합보육의 요구를 반영한 장애유아 보육의 실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자문을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어린이집 당 10회씩 현장 관찰 및 자문을 실시하였고, 이메일과 핸드폰 자문을 통해 교사들의 수업을 지원 하였다. 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장애 통합에 대한 일반 교사의 교사 효능감 척도(Teachers' Efficacy in Inclusive Practices: TEIP)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을 위해 두 집단 간 교사 효능감의 사전-사후 검사 간 차에 대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결과 두 집단 간 교사 효능감과 하위 영역인 통합교육 효능감, 협력 효능감, 행동관리 효능감의 사전 사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장애 유아 통합보육 현장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어린이집 교사들의 통합보육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교사들의 실제적 요구에 반응적이고, 장애 유아 통합의 다양한 변인을 반영하고, 참여자들 간의 대등한 협력적 관계를 강조한 교사 지원을 제공한 점이 연구 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 유아 통합보육 지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장의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 확장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In-Service Program for Spreading the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 (POCoM))

  • 정진수;박종원;박종석;김영민;박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1-27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의 실질적 개선을 위한 연구자-교사 협력모델(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을 확산시키기 위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연수프로그램은 다음 3가지 특성을 가지고 개발되었다 : (1) 실제 수업녹화 내용을 연수의 주요 소재로 활용한다, (2) 연구자와 교사, 교사와 교사간 활발한 의사소통과 의견교환을 강조한다, (3) 활동중심으로 진행한다. 9시간에 걸친 연수에는 17명의 교사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연수과정에서 교사들이 실시한 분석결과에 대해 분석 일치도를 구해 본 결과, KTOP(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과학수업을 분석할 수 있는 교사 전문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들이 과학수업의 개선정도도 판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를 통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연수에 대한 긍정적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연수 중 교사활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교사가 제기한 질문, 교사가 어려워하는 점, 교사가 제안한 개선의견 등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좋은 연수가 되기 위해 고려할 측면들을 정리한 목록을 제안하였다. 이 목록이 앞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의미있는 연수의 계획과 실행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창원시 중.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 (Family-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the School Maladjust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angwon)

  • 류경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5-213
    • /
    • 2004
  • The researcher worked with 100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 as to inquire into the family-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adolescents' school maladjustment from the results of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s were the major findings. 1. The study activity was the first thing that the subjects did not adjust among their school life a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with opposite-sex friends, the rule-keeping and the friendship were the next in the order. 2. The researches on family-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school maladjustment were performed by gender (male / female), gender/school(male and middle / male and high / female and middle / female and high), school(middle / high) and system(academic / vocational).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were the structural environment one in case of male students and male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parent-relationship one in case of female students, female and middle school students, female and high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ne in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ma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 PDF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 (Family-Related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s′ School Life Maladjustment)

  • 류경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47-168
    • /
    • 2003
  • The researcher worked with 100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 as to inquire into family-related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s' school life maladjustment, relying 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1) The research shows that to look into school life maladjustment on the basis of analysis models including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and family relationship variables in addition to family background variables offers more explanatory power. 2) Of all the variables, parent relationship variables turned out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s on maladjustment to teacher relationship and teaming activity areas among the subordinate areas of school life maladjustment. 3) Of all the variables, family's physical variable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maladjustment to regulation-keeping relationship and opposite sex relationship among the subordinate areas of school life maladjustment. 4) Of all the variables, sibling relationship variable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maladjustment to friendship among the subordinate areas of school life maladjustment. 5) Parent relationship variable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otal school life maladjustment followed by family physical environment, structural environment,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cultural environment and residential variables in the right order.

보기보다 쉽지 않다: 초등 수학교육과정에 대한 수학교사의 인식 (Not as easy as It Looks: Korean Elementary Classroom Teacher Perceptions of Mathematics Curriculum)

  • 정인숙;류희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4호
    • /
    • pp.365-377
    • /
    • 2006
  • 본 연구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 대한 한국 초등 수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자들이 고안한 설문지를 사용한 결과 모두 143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데이터는 기술적 방법에 의거 분석되었다. 응답자의 67%가 교육 과정이 범위와 계열에 있어 만족스럽다고 보고 있으나 43%는 가르칠 내용의 교수학적 전략이 교사용 지도서에 보다 자세히 명기될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38명(26%)는 너무 많은 내용이 지도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35명(24%)는 가르칠 내용이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응답자들은 수학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과외 활동으로 인해 관계로 능력 차가 매우 다른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개별화하는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 PDF

수학교육에서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Using Metaverse in Mathematics Education)

  • 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97-422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육에서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메타버스의 활용은 상업적인 목적에서 시작하여 이제는 교육을 포함하여 모든 영역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메타버스 관련 선행연구 분석과 수학교육을 위한 국내 메타버스 플랫폼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육을 위한 메타버스의 활용은 아직은 초기 단계로 수학 게임 등에 국한한 콘텐츠가 대부분이지만, 수학교육을 위한 많은 잠재력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수학교육에 특화된 메타버스 플랫폼과 양질의 수학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언으로, 기반시설의 구축, 국가 수준의 수학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구축과 운영,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에 대한 현장 적용 연구를 기반으로 한 수학 특화 메타버스 플랫폼 및 수학콘텐츠 개발, 메타버스의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연수를 제안하였다.

가정과 교수방법에 있어서 V.T.R을 이용한 스커트 만들기 지도 (In Teaching Method of Home Economics of Using a V.T.R. Making Skirt Instruction)

  • 신상옥;김인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7
    • /
    • 1989
  • Present, we cannot expect the maximum studying effect in a home economics and the drill unit of secondary schools because of several problems. Such problems can be enumerated as follows. 1. The explaination of a making process in texts would be difficult for the students who have a poor understanding to grasp. 2. The much effort would be made due to teacher’s repeated exhibition, by which the progress of a text might be unreasonable. 3. The teachers unaccustomed to the drill might treat it carelessly and become to avoid it. 4. The skill to grasp a general work flow might be lack. Baseing on such problems, this researcher did using a medium of Video in teaching method of home economics. For this purpose, the quality of Video Tape would be important. Above all, we made out the script of Video Tape through advices of specialists in Video medium, majors in home economics, and the students teaching of home economics and the concerned persons, by which we recorded a gather skirt, as a finished goods, especially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ind of a skirt. Next, we recorded and produced the total steps from a preparation of skirt-making to a finishing as using a V.T.R. shot technique. The Video would be screened and the supplemented explaination of a teacher would be added in a step of instruction. I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students would begin the making. The expected effects according to using Video Tape are as follows. 1. The making order of text would be exhibited by a model directly and the explaination of a narrator would be added concurrently, by which students would understand it easily as confirming each step. 2. All students can watch these steps owing to a close up, one of the V.T.R Techniques. Accordingly, the teacher’s efforts would be decreased and the proper progress of a text could be maintained because of no repeated exhibition of a teacher. 3. To the teachers unaccustomed to and interested in a drill, the medium would become a subsidiary means. 4. Study all steps of a making, students would become to understand the general flow of a work. Therefore, it might be possible to generalize another units of a making. However though this study was designed don a basis of such effects, the using effects based on only the existing study results, and was focused on the production of a medium. Because this research would be a teacher and there was noncooperation of secondary schools, it was impossible to experiment in schools, which was the prim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refore we should be experiment further for the continuous study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