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 volatile compound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초

Evaluation of Deodorization Capabilities, Morphologies, and Thermal Stabilities of Baking Soda, Charcoal, Coffee, and Green Tea for Kimchi Packaging Application

  • Jeong, Suyeon;Yoo, Seung Ran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
    • /
    • 2020
  • We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baking soda, charco'al, coffee, and green tea as a natural deodorant in Kimchi packaging. Moreover, to evaluate the potential usage of these deodorants in packaging materials and confirm their applicability in high-temperature melt-extrusion processing, the thermal stabilities of the deodorants were investigated, and heat-treated deodoran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 deodorizing function compared with non-treated deodorants. Aroma patterns were decreased after deodorizing treatment with all-natural deodorants. Dimethyl disulfide, methyl trisulfide, and diallyl disulfide, the most significant odor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of Kimchi, decreased after treatment with the deodorants. In particular, baking soda and charcoal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in removing odorous compounds and VOCs from Kimchi, even after high-temperature processing. The acetic acid removal rates for both baking soda and charcoal were 99.9±0.0%. The heating process increases the deodorizing effects of baking soda.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p < 0.05) in the overall preference for Kimchi samples packaged with charcoal and baking soda.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odorization effects of natural deodorants for Kimchi smell and their applicability for packaging materials.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청국장의 제조 (Production of Green Tea Extract-containing Chungkook-jang)

  • 인만진;김동원;김동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345-349
    • /
    • 2004
  • 본 연구는 녹차추출물을 함유하는 녹차청국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이 높은 균주를 분리 동정하여 Bacillus sp. Bl으로 명명하고 이를 청국장 제조에 사용하였다. Bacillus sp. Bl를 사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함에 있어서 0.2% 농도의 녹차추출액을 대두중량 대비 1.25%, 2.5%, 5% 첨가하여 청국장을 발효시켰다. 녹차추출액(TS 0.2%)을 1.25% 첨가하여 청국장을 발효시키는 것이 미생물 생육과 관능평가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에서 청국장 발효에 녹차추출물의 첨가는 불쾌취 발생을 억제하는 데 효과를 보였다.

  • PDF

녹차나무꽃의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in Green Tea Flower)

  • 백순옥;복진영;한상빈;조경숙;방극필;김일광
    • 분석과학
    • /
    • 제9권4호
    • /
    • pp.331-335
    • /
    • 1996
  • 국내산 녹차나무꽃의 향기성분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료 중 56종의 화합물이 분리확인되었으며, hydrocarbon류 22종, alcohol류 14종, aldehyde류 6종, ester류 5종, 기타 9종이었다. Heneicosyl formate와 ${\alpha}$-phenyl ethyl alcohol, acetophenone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sesquiterpene 성분인 germacrene D도 확인되었다.

  • PDF

녹차잎분말을 사용한 마루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ancy Veneer Plywood Floor using Green Tea Leaves Powder)

  • 강석구;이화형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4-292
    • /
    • 2010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fancy cherry veneer overlaid on the PF resin bonded Meranti plywood floor, which 2.5% green tea leaf powder was applied in the UV varnishes and the adhesives for scavenging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various properties of the treated samples, such as density, moisture content, thickness swelling, bending strength(MOR), adhesion shear strength, surface abrasion, curling, cyclic delamination test with boiling water, boiling property, cold-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cid resistance and alkali resistance, and anti-contamination proper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control samples. 2.5% green tea leaf powder treated floor gave a little better results than the control for surface scratch test. 2. In case of QUV and weathering test, no difference between the treated sample and control was found. 3. The floor was discolored by adding 10% green tea leaf powder to UV coating, and the floor was also discolored to light green during by the soaking test. The color of floor was not changed up to 5% addition level.

  • PDF

전자선 조사한 자두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Analysi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Plum ($Prunus$ $salicina$)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 정인선;이순임;전동복;홍영신;김재성;최성화;노은영;최지연;김병숙;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9-256
    • /
    • 2012
  • 본 연구는 전자선 조사된 자두의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SDE 방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였다. 비조사 자두와 0.25, 0.5, 0.75 및 1 kGy로 전자선 조사된 자두의 휘발성 화합물을 동정한 결과 각각 44, 46, 45, 47 및 38종으로 동정되었다. 30일 저장기간 후 자두의 휘발성 화합물은 선량별로 각각 48, 40, 40, 39 및 40종이 확인되어 저장기간에 따른 유기성분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며 선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자두의 주된 휘발성 유기성분은 $C_6$ 구조의 hexanal과 (E)-2-hexenal, (Z)-3-hexenal, (E)-2-hexen-1-ol 및 (Z)-3-hexen-1-ol로 hexanal, (E)-2-hexenal 및 (Z)-3-hexen-1-ol은 조사 시 모든 선량에서 증가하였으며 hexanol, (E)-2-hexen-1-ol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lactone류 중 저장기간 동안 비조사 시료에서 ${\gamma}$-hexalactone, ${\gamma}$-octalactone 및 ${\gamma}$-decalactone가 확인되었다. 비조사 및 전자선 조사된 자두의 저장기간 동안 휘발성 유기성분의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hexanoic acid와 2-hexenoic acid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2-methylpyrrole은 0.5 kGy 이상 조사한 시료에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두의 1 kGy까지의 저선량 전자선 조사는 휘발성 유기성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며 자두의 저장기간 연장을 위하여 유용한 선량임을 확인하였다.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es of Nutraceutical Tea by Leaves and Flowers of Domestic Camellia(Camellia japonica)

  • Lee, Sook-Young;Cha, Young-Ju;Lee, Jang-Won;Hwang, Eun-Ju;Kwon, Su-Jung;Cho, Su-I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제10차 국제학술회의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 /
    • pp.48-49
    • /
    • 2003
  • This project was conducted to development several camellia tea mixed herb teas having any physiological effects. Leaves of tea tree contain many compounds, such as polysaccharides, volatile oils, vitamins, minerals, purines, alkaloids(eg. caffeine) and polyphenols(catechins and flavonoids). Although all three tea types(green, oolonr and black) have antibacterial and free radical capturing(antioxidizing) activities, the efficacy decreases substantially the darker the variety of tea is. This is due to lower contents of anti-oxidizing polyphenols remaining in the leaves. Unlike tea tree(Camellia sinensis), the biochemical features and effects of camellia(Camellia japonica) are not well known. Fresh mature leaf of sasanqua camellia(C. sasanqua), roasted young leaf tea(C. japonica) and fresh mature leaf and bark of camellia ha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 vulgaris and B. subtilis. In antifungal activity bioassay, young leaf roasted teas of camellia and sasanqua camellia had high activity against C. albicans and T. beigelil. Plant extracts from Camelia japonica had highe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fungi than against bacteria. In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acute myelogenous leukaemia cell extracts including fresh leaf(200$\mu\textrm{g}$/m1), bark(230$\mu\textrm{g}$/ml) and flower tea (320$\mu\textrm{g}$/m1)inhibited growth of AML cells.(중략)

  • PDF

Purge와 Trap Headspace Sampler를 이용한 녹차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Green Tea(Camellia sinensis L. var. Yabukita) by Purge and Trap Headspace Sampler)

  • 이재곤;권영주;장희진;곽재진;김옥찬;최영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0
    • /
    • 1997
  • Purge와 trap headspace sampler를 사용하여 녹차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 확인한 후 성분조성을 동시증류추출장치로 추출된 성분가 비교하였다. Headspace법으로는 88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methyl butanal(3.1%), 1-penten-3-ol(5.48%), 2-penten-1-ol(2.89%), hexanal(5.77%), heptanal(2.24%) 등의 비교적 비점이 낮은 성분들과 2,4-heptadienal(4.28%), linalool(2.27%), nonanal(2.06%), 2,6-dimethyl cyclohexanol(2.57%) 및 $\alpha$-pinene(1.52%), caryophyllene(1.70%) 등의 hydrocarbon 화합물, $\beta$-cyclocitral(2.0%), $\alpha$-ionone(2.62%), $\beta$-ionone(2.98%) 같은 carbonyl 화합물이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SDE법으로는 64개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저비점 성분들보다는 benzyl alcohol(3.79%), linalool(9.52%), terpineol(2.16%), geraniol(2.75%), nerolidol(6.50%) 등의 alcohol 성분들과 $\alpha$-ionone(1.77%), $\beta$-ionone(4.80%), geranyl acetone(1.82%) 등의 ketone 화합물, hexanoic acid(1.45%), nonanoic acid(1.11%) 등의 acid 화합물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산시판녹차(韓國産市販綠茶)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Flavor Components of Commerical Korean Green Tea)

  • 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8-101
    • /
    • 1991
  • 한국산(韓國産) 시판녹차(市販綠茶)의 향기성분(香氣成分)을 제조공정별(製造工程別(찐차(茶), 볶은차(茶))과 차(茶) 잎을 딴 시기별(時期別)(1번차(番茶), 2번차(番茶))로 구분區分하여 분석(分析), 동정(同定)하였다. 그 결과(結果), 찐차(茶)와 볶은차(茶)에서 terpene alcohol류(類) 8종(種), 그 외의 alcoholel류(類) 9종(種), aldehyde류(類) 5종(種), ketone류(類) 8종(種), ester류(類) 4종(種) 및 기타 7종(種)을 포함(包含)하는 총(總)41종류(種類)의 향기성분(香氣成分)을 확인(確認)하였다. 찐차(茶)는 볶은차(茶)에 비(比)하여 nerolidol, indole등의 함량(含量)이 많았고, 볶은차(茶)에서는 linalool, geraniol, benzylalcohol, phenol 등(等)이 함량(含量)이 많았다. 차(茶) 잎을 딴 시기별(時期別)로보면 6월(月)에 딴 찐 2번차(番茶)의 경우 4월(月)에 딴 찐 1번차(番茶)에 비(比)하여 1-penten-3-ol, cis-2-penten-1-ol과 cis, trans-2,4-heptadienal과 trans, trans-2,4-heptadienal의 현저(顯著)한 증가(增加)가 보였다. 볶은차(茶)의 경우에서도 대체로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보리의 로스팅 정도가 보리차의 향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asting degree of barley on aroma characteristics of boricha)

  • 정우영;김수정;김병구;허병석;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3-131
    • /
    • 2018
  • 보리의 로스팅 정도가 보리차의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보리와 자숙보리를 로스팅 정도를 다르게 하여 보리차를 제조하고, SAFE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한 후 GC-MS와 GC-O로 분석하였다. 생보리와 자숙보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차이가 없었으나 이를 이용하여 보리차를 제조하였을 때 자숙보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더 풍부하였다. 로스팅 정도가 강해 질수록 피라진, 에틸피라진, 감마-뷰티로락톤과 과이어콜을 포함한 15종의 화합물의 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p<0.05)하여 보리 로스팅 시 생성되는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생각되며 과이어콜(스모크 향), 푸르푸릴알코올(탄 설탕 향)과 푸르푸랄(캐러멜 향)은 보리차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강도로 검출된 향 활성화합물로 보리차의 주요 향 활성 화합물로 생각된다. 보리의 로스팅 정도가 강해질수록 보리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증가하였지만 강한 정도로 로스팅한 경우, 탄 향을 가진 미지의 화합물이 새로 감지되어 이취로 생각되며 따라서 보리차를 제조할 때에는 중간 정도의 로스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의 기호적 특성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ild Tea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 최옥자;이행재;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11-1020
    • /
    • 2003
  • 갈색도를 나타내는 420nm에서는 한국차의 경우 발효가 많이된 차일수록,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672nm에서는 녹차 및 반발효차에서 특징적인 peak를 보였고, 발효가 많이된 차일수록 감소되어 강발효차에서는 peak가 나타나지 않았다. 녹차 및 각 발효차 가루 및 차추출액의 색도는 모두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발효정도가 같은 차라도 추출액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녹차와 각 발효차의 추출액에 대한 관능 검사의 결과 향미는 발효차의 경우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선호도가 높았으며 약발효차는 각 온도에서 향미에 대한 선호도는 가장 낮았다. 맛은 녹차의 경우 추출물의 온도가 60∼7$0^{\circ}C$일 때 가장 좋은 선호도를 보였고, 중발효차와 강발효차는 추출물의 온도가 9$0^{\circ}C$일 때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차의 선호도는 녹차, 강발효차, 중발효차, 약발효차의 순이었다. 향기성분은 녹차에서는 76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129.919 mg/kg이었으며, 주요성분은 linalool, geraniol, nerolidol, benzyl alcohol과 linalool oxide로 나타났다. 약발효차는 76개의 peak가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159.077 mg/kg으로 나타났으며, 주요성분은 geraniol, linalool, linalool oxide, ethanol, benzyl alcohol 등의 함량이 높았으며, 녹차의 성분과 유사하였다. 중발효차는 79개의 휘발성성분이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455.608 mg/kg이었으며, 주요성분은 ethyl acetate, 3-methylbutanal, ethanol, (E)-2-hexenal, (E)-geraniol, linalooloxide으로 나타났다. 강발효차는 79개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680.521mg/kg이며 주요성분은 3-methylbutanal, ethyl acetate, geraniol, ethanol, (E)-2-hexenal, hexanal, linalooloxide로 나타났다.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향기성분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알데히드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