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 polyphenol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3초

Epigallocatechin-3-gallate, a green tea polyphenol, reduces MPTP-induced neurotoxicity by down-regula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 Suh, Soo-Kyung;Kim, Jong-Min;O, Jeong-Ja;Park, Chang-Won;Seo, Kyung-W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2년도 창립10주년기념 및 국립독성연구원 의약품동등성평가부서 신설기념 국재학술대회:생물학적 동등성과 의약품 개발 전략을 위한 국제심포지움
    • /
    • pp.198-198
    • /
    • 2002
  • PDF

증숙 건조 방식에 의해 제조한 우엉차의 기능성 및 성분 (Functionality and Components of Burdock Tea Prepared by Steaming and Drying Method)

  • 황은경;이선현;김병기;김수정;안용근;도륜;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3-33
    • /
    • 2019
  • 우엉을 9번 찌고 9번 말려서 차를 제조한 다음 M사의 우엉차와 성분 및 기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한 우엉차는 칼로리 346.48kcal, 탄수화물 72.75g/100g, 단백질 11.98g/100g, 회분 5.01g/100g이었다. 무기물 함량은 칼륨 1,476.21 mg/100g, 칼슘 255.96 mg/100g, 마그네슘 311.41mg/100g 이었다. 유리당 총량은 31.93 mg/100g이었고 그중 fructose 26.27mg/100g, glucose 4.39 mg/100g, sucrose 1.27 mg/100g이었다. 포화지방산은 40.73 mg/100g, 불포화지방산은 59.28 mg/100g이고 그 중 linoleic acid 41.28 mg/100g, palmitic acid 33.11 mg/100g, oleic acid 10.07 mg/100g, linolenic acid 7.92 mg/100g이었다. DPPH 라디컬 소거력은 개발한 차 33.9%, 비교용 M사 차 2.3%, 지표물질 37.2%였다. ABTS 라디컬 소거력은 개발한 차 90.7%, M사차 85.9%, 지표물질 47.6%였다. SOD 유사활성은 개발한 차 11.3%, 비교용차 50.5%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개발한 차2.6 fold, M사차 2.9 fold, 지표물질 1.7 fold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개발한 차 33.8 fold, M사차 38.9 fold, 지표물질 13.4 fold였다. 기호도는 1회 우린 것과 5회 우린 것을 비교하였다. 1회 우린 것을 기준으로 할 때 5회 우린 것의 기호도 중 색은 개발한 차 65.9%, M사차 12.8%, 향기는 개발한 차 78.0%, M사차 33.3%, 맛은 개발한 차 71.4%, M사차 20.7%, 나타났다. 이같이 비교용 M사차는 우릴수록 추출 성분이 감소하여 5회 후에 종합적인 기호도는 21.4%로 감소한 반면 개발한 차는 감소폭이 적어서 72.1%를 나타냈다. 이같이 개발한 우엉차는 비교용 M사차 및 지표물질보다 항산화 작용이 강하고 유효 물질 함량도 더 많고, 기호성도 높으므로 질병 예방 및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한다.

천연 항산화제와 포장재질이 Waffle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Antioxidant and Packaging Material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Waffle)

  • 신언환;한규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waffel의 제조에 있어 산패를 억제시키는 천연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고 포장재질에 따른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천연 항산화제를 waffle에 혼합하여 첨가하였을 경우 $25^{\circ}C$와 35$^{\circ}C$의 조건 모두 tocopherol에 rosemary 200 ppm을 혼합한 것이 저장기간에 유지의 산패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특히 선택되어진 tocopherol과 rosemary의 혼합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포장재별 가스치환율과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OPP 재질보다는 PET 포장재질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waffle의 저장기간을 늘이기 위해서는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과 rosemary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PET 포장으로 제품화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다.

  • PDF

가공 방법을 달리한 무차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hite Radish Tea by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 김민지;박종대;성정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3-81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ite radish teas such as pH, color value,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sensory evaluation. They were processed by drying(AD), drying and roasting(ADR), steaming and drying(SAD), and steaming, drying, and roasting(SADR). As a result, the pH of ADR, and SADR tended to be significantly lowered and SADR was the lowest at $5.48{\pm}0.14$(p<0.001). Additionally, ADR and SAD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lor and browning value, compared to AD and SA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ucing sugar content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teas were significantly increase after roast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R and SDAR than in AD or SAD by 1.1~1.5 times(p<0.05). Compared with ADR and SADR after roas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AD and SA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roasted ADAD and SAD,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roasting process is a major process that affects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녹차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의 항산화 및 갈변억제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browning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and Propolis)

  • 장민선;박미지;정문철;김동만;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9-326
    • /
    • 201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related to browning of hot water and 80% ethanol extract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and propolis. The extracts were assessed for polyphenol oxidase (PPO) inhibitory activity and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addition, apples were cut into 15 mm thick slices and dipped for 1 min in 0.5% of the green tea extracts and the propolis solutions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 The PPO inhibitory activity of the green tea extract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propolis. The high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0.81%), total phenol contents (170.42 mg/mL) and the metal chelating effects (45.93%) were measured in the green tea hot water extracts. The mineral content of the green tea water extracts was 69,328.44 ppm potassium and 2,409.42 ppm magnesium. After 24 h, the ${\Delta}E$ value of the apple slices treated with the green tea water extracts was the lowest (1.35). The antibrowning effects of the green tea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propolis in the apple slices.

화개지역 녹차분말의 성분 분석 및 품질특성 (Compon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ed Green Tea Cultivated in Hwagae Area)

  • 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6-42
    • /
    • 2005
  • 화개지역 4곳의 농가에서 재배한 재래종 녹차를 제다회사에서 녹차분말로 제다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C함량, 무기질 성분을 분석하였다. 녹차의 품질은 색차계로 녹차의 색도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녹차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은 $9.2\%\~l1.8\%$, 조회분은 $4.9\~6.1\%$, 조지방 함량은 $5.2\~6.3\%$, 단백질 함량은 $22.5\~26.43\%$, 탄수화물은 $50.4\~55.1\%$를 차지하였다. 녹차분말의 총 비타민 C함량은 $312\~392mg/100g$이었으며 산화형이 $155\~224mg/100g$로서 비타민 C함량의 $48\~55\%$를 차지하였다. 녹차의 무기질 함량은 나트륨$(340\~580mg/100g)$, 마그네슘$(242\~320mg/100g)$, 칼륨$(223\~278mg/100g)$, 칼슘$(145.7\~238.7mg/100g)$의 순서로 함량이 높았다. 녹차의 폴리페놀 함량은 $7.8\%\~9.3\%$로서 녹차A가 가장 높고, B가 $7.8\%$로 가장 낮았고, C와 D는 각각 $8.5\%,\;8.8\%$로 큰 차이가 없었다. 녹차의 색상은 명도(L) $52.3\~69.6$, 황색도(b)는 $14.23\~23.34$, 적색도(a)는 A가 $0.11\~-5.61$로서 녹차 C와 D가 녹차 A와 B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색상을 나타내었다. (p<0.05). 녹차분말의 관능검사 결과, 맛을 제외한 색, 향, 뒷맛, 총괄평가에서 녹차 D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p<0.05) 다음으로는 녹차 C가 색, 향, 총괄평가에서 녹차 A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전체적으로 단백질과 비타민 C함량이 높은 녹차분말 C와 D가 색상과 관능검사에서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고지방식이와 저용량 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도된 2형 당뇨병 흰쥐에서 녹차 폴리페놀과 비타민 C 병합 투여 효과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 and Vitamin C on Type 2 Diabetic Rats Induced by Low Dose Streptozotocin Following High Fat Diet)

  • 이병래;양훈;박평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7-173
    • /
    • 2016
  • 녹차 폴리페놀과 비타민 C가 2형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고지방식이와 저용량 스트렙토조토신을 이용하여 당뇨병이 유도된 흰쥐에 polyphenon 60(P60)과 sodium ascorbate(SA)를 16주간 투여한 후 공복 혈당, 혈장 인슐린, 혈청 중성지질, BUN 및 creatinine과 신장 GGT와 AP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당뇨병 흰쥐에 P60이나 SA 투여로 인한 식이섭취량과 체중의 변화는 없었다. 공복 혈당은 당뇨 대조군(DC 군)에서 대조군(NC 군)의 5배로 증가하였으며, 당뇨+녹차 폴리페놀(DM+P60) 군은 14%, 당뇨+녹차 폴리페놀+비타민 C(DM+P60+SA) 군은 28%가 DC 군보다 감소하였고, 당뇨+비타민 C(DM+SA) 군은 DC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장 인슐린 양은 각 실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인슐린 저항성 지수 HOMA-IR은 DC 군에서 증가하였고 DM+P60+SA 군은 DC 군보다 감소하였다. 혈청 creatinine 양은 DC 군에서 증가하였고 DM+P60 군은 DC 군보다 17% 감소하였으며, DM+P60+SA 군은 DC 군보다 43% 감소하였다. 혈청 BUN 양은 DC 군에서 증가하였고 DM+P60+SA 군은 DC 군보다 41% 감소하였다. 신장 GGT와 AP 활성도는 DC 군에서 감소하였고 DM+P60+SA 군은 DC 군보다 감소가 적었으며, DM+SA 군은 DC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2형 당뇨병에서 녹차 폴리페놀과 비타민 C 복합 투여가 혈당, 인슐린 저항성 및 혈청 중성지질량 개선 및 신장 손상 방지효과가 녹차 폴리페놀이나 비타민 C를 단독으로 투여하였을 때보다 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녹차 폴리페놀과 비타민 C의 혈당 상승 억제와 신장 손상 방지 효과에 대한 계속된 연구가 필요하며, 녹차 폴리페놀과 비타민 C는 당뇨병 환자에게 혈당을 조절하고 신장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성 식품 제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의 품질특성과 항산화능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f Tea Fermented by Monascus pilosus)

  • 이상일;이예경;최종근;양승환;이인애;서주원;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06-713
    • /
    • 2012
  • $Monascus$ $pilosus$에 의한 발효뽕잎차(FMM: fermented mulberry leaves tea)의 monacolin K 함량, citrinin의 유무, 관능적 품질, total polyphenol 및 total flavonoid의 함량, ROS 생성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및 ROS 소거계 효소류의 활성을 건조뽕잎(UFM: unfermented mulberry leaves)과 비교하였다. FMM은 UFM에 비하여 색상 기호도 및 종합적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FMM에 함유된 total monacolin K 함량은 0.056%(dry basis)로 활성형이 83.93%를 차지하였으며 citrinin은 검출되지 않았다.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의 함량 모두 UFM에서 현저히 높았다. XO 저해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높았으며 UFM이 FMM에 비하여 높았다. 전자공여능과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의 경우도 UFM과 FMM 모두에서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UFM에서 FMM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Ferrous iron chelating 활성의 경우에도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그 증가의 정도는 UFM이 FMM에 비해 더욱 강하게 나타났으나, 4.0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한편 polyphenol 또는 flavonoid 함량 당의 XO 저해활성과 SOD 유사활성 및 FRAP는 FMM이 UFM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뽕잎을 $M.$ $pilosus$로 발효시킨 FMM은 홍국의 기능성을 가짐과 더불어 상당히 강한 항산화능과 기호성을 관찰할 수 있어 ROS로 야기될 수 있는 여러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디엠프리(녹차 추출물)가 나균 감염 중간엽 줄기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Mfree (GTE) on Gene Array Profile of M. leprae Infected Mesenchymal Stem Cells)

  • 박란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67-273
    • /
    • 2014
  • This study found antibacterial activity of $DMfree^{(R)}$ [green tea extract] on facultative bacteria by direct petri dish method and gene array of obligatory M. leprae infected mesenchymal stem cells (MSC). While DMfree showed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high contents of polyphenol, it did not inhibit growth of facultative bacteria such as E. coli and S. aureus on the petri dish. The result does not exclude a possible antibacterial effect of organic solvent extract of green tea rather than DMfree which comes from the water extract of green tea. Pre-treatment of DMfree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copy number of 14 genes compared with control MSC by real-time RT-PCR. However pre-treatment of DMfree on M. leprae infected MSC revealed a significant decrease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IL-6), (P<0.038) and sharp down-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IL-1). Enhanced expression of VEGFR-1 mRNA was noted in DMfree pretreated M. leprae infected MSC group (P<0.003). These results show that DMfree would stabilize M. leprae infected MSC from further inflammation by down-regulating anti-inflammatory cytokine (IL-6)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IL-$1{\beta}$). This is the first report on DMfree inhibition of IL-6 and IL-$1{\beta}$ expression in M. leprae infected MSC. Further experiments that detect protein levels of IL-$1{\beta}$ and IL-6 may support the result of this gene array.

응고제에 따른 천연물 첨가두부의 제조 특성 (Effects of Coagulants on the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Containing Natural Materials)

  • 최유원;정헌식;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49-255
    • /
    • 2000
  • 응고제의 종류에 따른 천연물 첨가 두부의 제조특성을 알아보았다. 수율과 물성, 관능검사결과 등을 고려한 결과 $MgCl_2$는 0.2%, $CaCl_2$ 0.4%, $CaSO_4$는 2.0%가 최적농도로 선택되었다. 또한 천연물 첨가농도는 당근 4%, 오이 10%, 시금치 1.0%, 녹차말차 0.05%를 최적농도로 선정하였다. GDL을 응고제로 사용한 천연물 첨가두부의 색도도 응고제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두부의 물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당근, 오이, 시금치 첨가두부에서 색소의 함량은 $MgCl_2$, $CaCl_2$를 응고제로 사용한 두부에서 함량이 높았으나 녹차 첨가두부의 polyphenol 함량은 $CaSO_4$, GDL를 응고제로 사용한 두부가 높은 값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