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cA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19초

Effect of Excipients on the Stability and Transport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 across Caco-2 Cell Monolayers

  • Kim, In-Wha;Yoo, Ho-Jung;Song, Im-Sook;Chung, Youn-Bok;Moon, Dong-Cheul;Chung, Suk-Jae;Shim, Chang-K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330-337
    • /
    • 2003
  • The effect of sixteen excipients on the transport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 across Caco-2 cell monolayers was examined at $37^{\circ}C$. The apparent apical to basolateral (A-B) permeability ($P_{app}$) of 30 $\mu$ M rhEGF was $8.15\times 10^{-7}$ cm/sec, indicative of a poor level of absorption in the GI tract. The Papp was 1.7- and 6.3-fold greater than the $P_{app}$ in the basolateral to apical (B-A) direction and the A-B permeability of mannitol, respectively, and decreased dramatically to a negligible level at $4^{\circ}C$, consistent with a receptor mediated transcytosis of rhEGF. The stability of rhEGF was very poor, undergoing more than 85% degradation in 2 h in the transport medium at $37^{\circ}C$.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_{app}$ could be achieved by the addition of certain excipients, as exemplified by 23, 21, 20 and 16-fold increases, in the presence of sodium taurochenodeoxycholate (NaTCDC), sodium taurodeoxycholate (NaTDC), sodium glycodeoxycholate (NaGDC) and sodium laurylsulfate (SLS) (all at a concentration of 1 % w/v), respectively. A significant increase in stability could also be achieved by the addition of some of the excipients, as represented by 1 % SLS, which nearly completely stabilized the rhEGF. Unfortunately, however, an increase in the $P_{app}$ of rhEGF could not be achieved without a simultaneous and extensive decrease in the integrity of the cell membranes. Thus, more efficient excipients, that specifically enhance the permeation of rhEGF and do not alter the membrane integrity, should be pursued in order to safely enhance the permeation of rhEGF.

천연가스-디젤 혼소 엔진의 50% 부하 조건에서 제동효율 및 연소안정성 개선을 위한 디젤 분무 특성 평가 (Investigation on Diesel Injec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Gas-Diesel Dual Fuel Engine for Stable Combus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Under 50% Load Condition)

  • 오세철;오준호;장형준;이정우;이석환;이선엽;김창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53
    • /
    • 2022
  • 디젤엔진의 배출물 개선을 위해 탄소수가 낮은 천연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천연가스-디젤 혼소 연소가 각광받고 있다. 특히 자발화 특성에 차이가 있는 디젤과 천연가스의 특성을 이용한 반응성 제어 압축착화(reactivity controlled compression ignition, RCCI) 연소 전략을 통해 기존 디젤엔진의 효율과 배출가스를 동시에 개선시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상사점보다 앞당겨진 디젤 직접 분사시기 적용을 통해 실린더 전체 영역의 균일 혼합기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희박한 자발화 기반 연소를 달성함으로써 질소산화물 (NOx) 및 입자상물질 (PM) 저감과 제동열효율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매우 희박한 저부하 영역에서 불완전 연소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존재하며, 안정적인 연소 구현을 위해 디젤 분사시기가 민감하게 제어되어야 하는 어려움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된 저부하 영역에서의 천연가스-디젤 혼소 엔진의 효율 및 배기 개선을 확인하고, 동시에 발전용 엔진 구동 영역에서 디젤 분사시기에 따른 연소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는 6 L급 상용디젤 엔진이 사용되었으며, 1,800 rpm, 50% 부하 영역 (~50 kW)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제동효율 및 연소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 분무 패턴이 다른 2개의 인젝터를 적용하였으며, 천연가스/디젤 비율과 디젤 분사시기를 바꿔가면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협각 분사가 추가된 수정 인젝터에서 제동 열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소안정성 및 출력, 그리고 강화된 배기 규제를 고려하였을 때 수정 인젝터의 분무 패턴이 예혼합연소 형성에 적합하였고 이를 통해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Tier-V 기준치인 0.4 g/kWh 이하로 저감함으로써 RCCI 연소 가능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