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us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2초

Taxus wallichiana Zucc. 현탁세포에서 Jasmonic Acid-Cellulase 복합 Elicitor가 Paclitaxel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asmonic Acid-Cellulase Combined Elicitors on the Paclitaxel Production in Suspension Cultures of Taxus wallichiana Zucc)

  • ;;;;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193-198
    • /
    • 2010
  • Taxus wallichiana Zucc. 현탁세포배양에서 항암제 paclitaxel 생합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탁세포배양에서 exponential phase의 최고 생장 속도는 0.14 $day^{-1}$이었으며 배가시간이 4.96 day이었다. Paclitaxel은 배양초기에 생성되지 않고 exponential phase 말기부터 서서히 생성되어 stationary phase에서도 이어지며 declined phase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Paclitaxel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하여 elicitor를 사용하였다. 여러 elicitor 중 jasmonic acid와 cellulase가 paclitaxel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Elicitor는 접종과 동시에 투여했을 때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jasmonic acid와 cellulase의 combination으로 효과가 더욱 증진했는데 각각 투여할 때보다 1.8배 및 3.1배 paclitaxel 생성이 증가되었다.

TWINSPAN 및 DCCA에 의한 한반도(韓半島) 주목림(林)의 군락(群落)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The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of the Taxus cuspidata Forests by TWINSPAN and DCCA)

  • 신현철;이강영;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535-542
    • /
    • 1998
  • 한반도(韓半島) 고산지대(高山地帶)에 자생(自生)하는 주목림에 대한 군락(群落)과 환경(環境)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중요치(重要値)와 TWINSPAN 및 DCCA 방법(方法)에 의하여 분석(分析)을 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주목의 지역별(地域別), 층위별(層位別) 중요치(重要値)는 상층(上層)에서 대부분 100이상 높게 나타났으나 지리산(智異山), 한라산(漢拏山) 지역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중층(中層)은 상층(上層)에 비하여 낮은 값이었고 지리산(智異山) 지역(地域)에서는 전혀 출현(出現)되지 않았다. 하층(下層)에서는 한라산(漢拏山), 오대산(五帶山), 소백산(小白山) 지역(地域)에서만 출현(出現)하였으며 중요치(重要値)도 10 내외(內外)로 낮은 값이었다. TWINSPAN에 의한 군락(群落) 분류(分類)는 주목 - 털야광나무, 주목 - 분비나무, 주목 - 구상나무, 주목 - 고로쇠나무, 주목 - 둥근잎참빗살나무 등(等) 5개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분류(分類)된 5개(個) 그룹과 환경요인(環境要因)들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주목 - 구상나무 군락(群落)은 해발고(海拔高)가 다른 군락(群落)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산정(山頂)의 동향(東向)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고, 주목 - 고로쇠나무 군락(群落)과 주목 - 분비나무 군락(群落)은 해발고(海拔高)가 다른 군락(群落)들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산복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주목-둥근잎참빗살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상대적으로 높은 산정(山頂)의 북(北) 동향(東向)에, 주목 - 털야광나무 군락(群落)은 해발고(海拔高)가 중간(中間)정도인 능선부(稜線部)의 남(南) 서향(西向)에 분포(分布)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락(群落)과 환경요인(環境要因)과의 관계(關係)는 제1축에서 방위(方位), 지형(地形), 해발고(海拔高)가 제2축에서는 해발고(海拔高), 경사도(傾斜度) 등(等)과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axoids, Lignans, and Simple Phenolic Compounds from a Sample of the Needles of Himalayan Taxus baccata

  • Das, Biswanath;Anjani, G.;Kashinatham, A.;Venkataiah, B.;Rao, S. Padm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78-83
    • /
    • 1998
  • Chemical investigation on a sample of the needles of Himalayan Taxus baccata has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several taxoids including taxol (1) 10-deacetyl-baccatin III (2) and 2-deacetoxytaxinine J (3) along with different lignans (6 and 7) and simple phenolics (8, 9, 10, 11 and 12). The occurrence of 4-(4'-hydroxyphenyl)-butane-2-one and 4-(4'-hydroxyphenyl)-trans-but 3-ene-2-one (8) in Taxus specie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e $^{13}C-NMR$ spectral data of two rearranged taxiod constituents, brevifoliol (4) and 13-decinnamoyltaxchinin B (5) are presented. The acid-catalyzed decomposition of taxol has been discussed. The synthesis of other two constituents, rhododendrol (10) and hibalactone (7) has been described.

  • PDF

식물세포 Taxus chinensis 배양으로부터 신물질 13-Deacetyl-taxchinin I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13-Deacetyl-taxchinin I, a New Taxoid from Plant Cell Cultures of Taxus chinensis)

  • 김진현;기은숙;유시용;최형균;홍승서;이현수
    • KSBB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560-565
    • /
    • 2000
  • 13-Deacetyl-taxchinin I, a taxoid having a rearranged 11(15\longrightarrow1)-abeo-taxane skeleton, has been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plant cell cultures of Taxus chinensis. The compound has not previously been encountered in nature. Its structure was elucidated by 1-and 2D NMR techniques including H-H COSY, HMQC, and HMBC experiments. This taxoid also provides inform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and biosynthesis,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y control of paclitaxel production.

  • PDF

오대산 국립공원 두노봉-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분비나무림과 주목림 -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urobong-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Abies nephrolepis and Taxus cuspidata Forest -)

  • 김갑태;엄태원;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0-168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두로봉, 상왕봉 지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19개의 방형구(10*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고산지대에 생육중인 주목과 분비나무를 대상으로 생육현황표를 이용하여 잎의 변색, 낙엽율, 줄기, 신초와 소지, 정아우세, 수세 등의 항목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두 개의 군집(주목군지보가 신갈나무-사스래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주목과 미역줄나무, 마가목; 분비나무와 신갈나무; 호랑버들과 부게꽃나무; 신갈나무와 참빗살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저으이 상관이 인정되었고, 주목과 분비나무, 신갈나무 및 사스래나무; 분비나무와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대상지의 종다양도(H')는 1.2499~0.9608로 나타났다. 분비나무의 생육현황조사의 점수평균은 6.1점이며, 고사목의 비율이 10.9%였다. 주목의 생육현황조사의 점수평균은 17.3점이었고, 피해유형은 정단부를 비롯한 가지의 고사, 줄기의 동공, 줄기가 구부러지는 것 등의 세 가지였다.

  • PDF

강원도 정선군 백운산 High 1 스키장 슬로프 개발 지역의 주목 생육현황 조사 (A Study on the Growing State of Taxus cuspidata in Baekwoonsan the High 1 Ski Slope Construction Area in Jeungsun-gun, Gangwon-do)

  • 김갑태;엄태원;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2-308
    • /
    • 2009
  • 합리적 주목 관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강원도 정선군 하이원 스키장 건설지역에 분포하는 주목 323개체(이식된 57 체 포함)에 대하여 수고, 근원경, 흉고직경, 줄기상태, 동공의 크기, 초두부 상태, 가지고사율, 엽생육상태, 신초생장, 2년생엽 탈락율, 뿌리상태 및 수형을 조사하였다. 조사항목들을 생육상태가 나쁠수록 높은 점수가 되도록 등급화하였다. 조사대상지에 생육 중인 주목은 주로 해발고가 높은 능선부나 북사면에서 자라고 있었다. 백운산 주목의 생육상태는 국내 다른 아고산지대의 주목과 구상나무의 생육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피해주목들은 이식작업에서 뿌리제거, 잔존 목으로 슬로프 공사 시 복토, 터파기로 인한 뿌리 손상 등이 대부분이었다. 주목보존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주목 세포 현탁배양 중, FCW/DCW ratio, 단백질 생산 및 peroxidase활성 조사 (Monitoring of FCW/DCW ratio, Production of Protein and Peroxidase Activity During Suspension Culture of Taxus chinesis)

  • 최형균;윤정환;김상익;송재영;김진현;최호준;홍승서
    • KSBB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525-528
    • /
    • 2000
  • Taxus chinensis 세포배양 중의 FCW/DCW ratio, 세포내, 외 단백질 생산 및 peroxidase 활성의 변화를 배양시기별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배지내 잔류당이 고갈되기 직전인 배양 14일째에 FCW/DCW ratio 는 12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DCW를 기준으로 한 세포 외에서의 protein 생산도 14일째 가장 낮은 수치인 4.3 mgfg DCW 였다. 배양시기별 P POD 활성도는 단백질 생산 pattern과 유사하였다. 이 결과들 은 flask에서 활발하게 증식 중인 세포들을 이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대량배양시, 공정제어를 위한 자료 및 세포가 받는 stress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Taxus chinensis로부터 파클리탁셀 정제를 위한 음압 캐비테이션 아세톤-펜테인 분별침전 (Negative Pressure Cavitation Acetone-Pentane Fractional Precipitation for the Purification of Paclitaxel from Taxus chinensis)

  • 민혜수;김진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44-5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음압 캐비테이션 아세톤-펜테인 분별침전으로 Taxus chinensis로부터 파클리탁셀의 침전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음압 -200 mmHg에서 침전할 경우 짧은 조업 시간(5분)에 대부분의 파클리탁셀을 회수(>99.9%) 할 수 있었다. 침전 속도 상수는 대조군 대비 1.512~5.073배(-50~-200 mmHg) 증가하였다. 음압으로 활성화에너지는 -3737~-6536 J/mol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침전 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음압 도입으로 침전물 크기는 5.3배 감소하였으며, 파클리탁셀의 확산 계수는 7.0배 증가하였다.

마늘, 주목의 추출물로부터 종자전염성병에 대한 항균활성물질 동정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Activity Subatnces on Seedborn Disease from Garlic and Taxus Extracts)

  • 정일민;백수봉
    • 분석과학
    • /
    • 제12권1호
    • /
    • pp.47-52
    • /
    • 1999
  • 마늘과 주목의 추출물로부터 참깨, 고추, 무우, 배추의 종자전염성병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인 활성물질을 분리, 동정하여 항균 범위가 넓고 안정성이 있는 종자소독제를 개발하고자 실험한 결과 마늘에서 항균성물질은 allicin($C_6H_{10}OS_2$)으로 분리 동정되었고 그 함유량은 0.62%로 검출되었고 주목에서 항균성물질은 taxol($C_{47}H_{51}NO_{14}$)로 분리, 동정되었고 그 함유량은 0.29%로 검출되었다. 마늘, 주목 추출액을 주성분으로 제제화한 농약을 공시하여 공시병원균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10배 농도에서는 방제효과가 높았고 100배 농도에서는 다소 낮았다. 제제의 약해는 없었다.

  • PDF

주목(朱木)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효능효과 (The Extracting Methods of the Seeds of Yew(Taxus cuspidata Sieb) by Solvent Extraction and Its Efficacy)

  • 조춘구;김인영
    • 생약학회지
    • /
    • 제33권4호통권131호
    • /
    • pp.364-371
    • /
    • 2002
  • Yew (Taxus cuspidata Sibe) selected cultivation as drug, food and decorative plant in Gyong-gi province in Korea. To extract the water soluble active ingredients, as a extracting method, there was extracted with 20g of dried seeds with each 20g of butylene glycol(BG) and propylene glycol(PG), and 40 mL of water mixing 72 hours at $40{\pm}5^{\circ}C$, and then they were filtrated by 400 mesh. Appearance of extract of seeds was pale brown, $pH=4.5{\pm}0.5$, $gravity=1.013{\pm}0.05$, a reflective $index=1.373{\pm}0.05$, and yield=75%. Also, to extract the high purity oil from seeds, it minutely pulverized the dried seeds and added the hexane, mixing 2 hours at $20{\pm}57^{\circ}C$. And then, this filtrated it with 400-mesh. It got the purified oil through evaporating them at $55^{\circ}C$ during under vacuum. As the results, appearance was slightly brown, gravity=0.922 acid value=0.12, saponification value=192, and it should be obtained the $40{\pm}5%$ of yield. As the efficacy evalution of cosmetic fiel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by NBT method were stronger 86.0% from extract of talus seeds than 52.0% from green tea extract and 35.0% from skullcap extract as well a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by DPPH method were stronger 93.7% from extract of seed than 60.3% from extract of green tea and 27.1% from extract of skullcap. These are more effective than other plant extracts. The collagen synthesis rate on the activating fibroblast for Taxus cuspidata Sibe extract showed 35.43%. As the activity of the skin elasticity, PPE(porcine pancreatic elastase)-inhibitory activities of talus extract was 50.8%.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more effective to be taken 41.1% of taxus seed oil than 24.2% of steady glycyrrhetinate (SG) as a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