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urine content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6초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의 부위별 성분 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Different Parts of Ailanthus altissima)

  • 이양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1-268
    • /
    • 2008
  • 본 연구는 뿌리를 저근백피라는 한방생약재로 사용하는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의 뿌리와 줄기 그리고 잎을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영양정분과 생리활성 물질의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뿌리에는 조회분(9.20%)과 조단백질(7.86%)이 많았으며, 잎에는 조단백질(11.36%) 그리고 줄기에서는 탄수화물(81.74%)의 함유량이 비교적 높았다. 수용성 단백질은 잎에서 9,839.52 mg%로 뿌리와 줄기보다 매우 많이 함유하였으며, 환윈당과 유리당은 뿌리에서 1,813.94 mg%와 1,140.20 mg%, 잎에서는 1,670.98 mg%와 1,190.42 mg%를 함유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뿌리에서 2,018.58 mg%로 잎(1,070.88 mg%)과 줄기(427.55 mg%)보다 많이 함유하였으며, 특히 뿌리에는 arginine과aspartic acid의 함유량이 매우 높아 유리아미노산의 약 85%를 차지하였다. 아미노산 유도체 함량은 잎에서 780.70 mg%로 가장 높았으며, 뿌리는 430.95 mg%을 함유하였다. 이중 뿌리에는 항산화 및 간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taurine을 61.68 mg% 함유하였다. 가죽나무의 부위별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Ca와 K 그리고 Mg의 함유량이 매우 높아 무기질 총량의 $83{\sim}98%$를 차지하였으며, 뿌리에는 Fe와 Al의 함량도 비교적 높았다. 가죽나무의 부위별 시료와 추출물에 대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잎에는 821.58 mg%의 폴리페놀과 2,501.67 mg%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였으며, 추출물 또한 잎의 물 추출물에서 8,040.35 mg%의 폴리페놀과 에탄을 추출물에서 13,592.20mg%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였다. 이상의 결과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가죽나무의 뿌리를 포함하여 잎에서도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치자숙액을 이용한 분말엑기스의 제조 및 정미성분 (Processing of the Extract Powder Using Skipjack Cooking Juice and Its Taste Compounds)

  • 안창범;김형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96-701
    • /
    • 1996
  • 참치통조림 업계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자숙액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효소가수분해하여 분말엑기스를 제조하고 제조된 분말엑기스의 정미성분을 검토하였다. 두부와 내장을 제거한 2kg이하의 참치 2.3톤을 $93-95^{\circ}C$에서 45분간 증자하여 유출되는 약 $6^{\circ}brix$의 자숙액을 효소처리(pH; 6.19, 온도; $50^{\circ}C$, 효소농도; 0.5%, 처리시간; 1시간)하였다 이를 $80-85^{\circ}C$에서 5분간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활성탄을 가하여 감압, 여과한 다음 이 여액 500ml 분무건조하여 백색의 분말엑기스 18 g을 얻었다. 이 분말엑기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711.5 mg/100g이었고 이중 taurine이 19.4%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glutamic acid (13.8%), phenylalanine (11.7%) 및 alanine (10.5%)의 순으로 많았다. 이들 4종의 아미노산이 전체 유리 아미노산의 55.4%를 차지하였다. 한편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은 30,758.1 mg/100g이었으며 이중 glutamic acid가 13.1%로 가장 많았다. 핵산관련물질 중에서는 inosine이 $76.29\;{\mu}mole/g$으로서 양적으로 가장 많았다. 엑기스 질소중 양적으로 가장 많은 것은 핵산관련물질 질소로 전 엑스분 질소의 41.2%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유리 아미노산 질소의 순이었다. TMAO와 TMA는 미량 존재하였으며, betaine은 72.2 mg/100g으로서 전엑스분 질소의 4.9%를 차지하였고, 총 creatinine은 전엑스분 질소의 3.5%을 차지하였다 omission test 결과 분말엑기스의 맛에는 유리 아미노산, 유기산, 핵산관련물질의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고, 유리 아미노산은 지미의 주된 물질임과 동시에 자극성의 맛이나 신맛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건조 배합사료로 사육한 넙치 어육의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 관련 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Content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Extruded Pellet)

  • 장미순;박희연;김강웅;김경덕;손맹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46-754
    • /
    • 2011
  •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 넙치와 생사료를 공급한 양식넙치의 핵산 관련 물질 및 유리아미노산 측정을 통한 품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넙치 등근육의 핵산관련물질은 모든 실험사료구에서 공통적으로 AMP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IMP의 함량이 높았다. 공급한 사료에 따라서 HxR의 성분에는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으나, 핵산 관련물질 조성의 분포양상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넙치 지느러미살의 핵산 관련 물질 조성 중 공급한 사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IMP 함량이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어육의 초기 변화 정도를 측정하는 K value는 넙치 등근육에서 MP, CEP 및 FEP의 공급구가 각각 9.63%, 9.83% 및 5.84%를 나타내었고, 넙치 지느러미 살에서는 각각 15.71%, 11.22% 및 17.60%를 나타내었다. 넙치를 사육하는 동안 공급하는 사료의 종류에 따라 등 근육 및 지느러미살의 특정 유리아미노산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나, 전반전인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유리아미노산 중에서 taurine 함량이 모든 실험사료구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았고, CEP 및 FEP 공급구는 asparagine과 citrulline의 함량이 MP 공급구보다 높았다. 이처럼, 넙치를 사육하는 동안 공급하는 사료의 종류에 따라 등근육 및 지느러미살의 특정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볼 때, 맛과 풍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리아미노산 조성의 규명은 기호도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제주도에서 사육된 개량 흑돼지와 비육돈 등심의 아미노산 함량 및 육질 특성 (Amino Acid Contents and Meat Quality Properties on the Loin from Crossbred Black and Crossbred Black and Crossbred Pigs Reared in Jejudo)

  • 양승주;김영길;현재석;문윤희;정인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2
    • /
    • 2005
  • 제주도산 돼지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체중 90∼100 kg(JJ90) 및 110∼120 kg(JJ110)의 일반돼지와 생체중 90∼100 kg(JB90)의 개량 흑돼지 등심에 대한 구성 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 함량, pH, 보수력, 경도, 씹힘성, 색도 및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구성 아미노산 총량은 18.15∼20.22%로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JB90이 0.891%로 JJ90과 JJ110보다 많았으며, taurine, serine, glycine, alanine, valine과 leucine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적색도 및 황색도는 JB90이 JJ90과 JJ110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수력, 경도, 씹힘성, 다즙성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JJ90보다 JJ110과 JB90이 우수하였으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토하(土蝦) 및 젓새우의 함질소(含窒素) 엑스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Toha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Freshwater Shrimp) and Jeotsaeu (Acetes japonicus , Seawater Shrimp))

  • 박춘규;박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11-1118
    • /
    • 1996
  • 본 연구는 토하(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의 식품학적인 우수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품성분 중 맛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함질소 엑스성분을 상세히 분석한 후 그 성분조정을 파악하는 한편,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바다에서 어획되는 젓새우(Acetes japonicus)에 대해서도 동일한 이화학 성분들을 분석하여 그 성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토하에 대한 맛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토하는 1994년 12월부터 1995년 11월 사이에 전남 나주군에서 양식된 것을, 그리고 젓새우는 1994년 12월과 1995년 11월 전남 신안군에서 어획된 것을 시료로하여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 betaine류, 4급 암모늄염기, 구아니시노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토하는 젓새우보다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의 함량이 높은 편이었고, 젓새우는 토하보다 homarine, trimethylamine oxide, trimethylamine이 높은 편이었으며, creatine과 creatinine은 토하와 젓새우에서 미량으로서 큰 차이가 없었다. 토하의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arginine, lysine, glutamine, glutamic acid, pheylalanine, leucine, alanine, asparagine, glycine 등이었고, 젓새우의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glutamic acid, proline, glutamine, lysine, leucine, glycine, alanine, taurine 등이었다. 그리고 methionine, glutamine, valine 등은 토하와 젓새우에서 그 함량이 같은 수준이었다. 토하에서 가장 함량이 많은 핵산관련물질은 AMP였으며, 젓새우에서는 inosine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토하는 맛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부분의 함질소 엑스성분들의 함량이 젓새우보다 높았기 때문에 식품학적으로 더 우수한 가공원료라고 판단되었다.

  • PDF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 어묵의 제조 및 품질특성 (Quality of Steam Cooked Surimi Gel Prepared using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Meat)

  • 김병목;김동수;정인학;김영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74-481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etreated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meat as a surimi complex for preparing sandfish flavored fish paste. To prepare the sandfish-flavored paste, fine chopped sandfish meat including backbone was added in a ratio of 0 to 50 wt.% to thawed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surimi to make a mixed surimi gel. To prepare the sandfish-flavored paste, the mixed surimi was ground with salt using a silent cutter, mixed with starch and stabilizers 0.2% transglutaminase and gluconolactone 0.3%, stuffed in a rectangular container, left for 3 h at $25^{\circ}C$, cooked in hot water for 30 min at $90^{\circ}C$, and finally chilled for 20 min at $4^{\circ}C$. The effects of the pretreatment of sandfish meat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quality of the paste produced.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FP (fish paste containing 40% steam-cooked sandfish meat and 0.3% gluconolactone) was moisture 76.1%, crude protein 12.0%, crude fat 3.8%, carbohydrate 6.1%, and ash 2.0%. The major minerals in FP were Na (23.77 mg/L), Mg (1.46 mg/L), Zn (1.04 mg/L), and Fe (0.41 mg/L),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taurine, anserine, alanine, and glutamic acid. The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FP was 566.22 mg%, and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498.43 mg%. The n-3 fatty acid content was 398.01 mg%, and C20:5n-3 (218.85 mg %) was a major component.

표고 버섯과 양송이 버섯 브라운 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own Sauce Prepared with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 한치원;이명예;성숙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64-370
    • /
    • 2006
  • To evaluate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Lentinus edodes as an a sauce ingredient of sauc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were compared. The same mother sauce was used to prepare the for preparation of two different types of sauce was the same.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were not different. However, crude fat content was higher in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and carbohydrate content was higher in Lentinus edodes brown sauce. The amou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were 1,236.45 mg% in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and 791.73 mg%, respectively in Lentinus edodes brown sauce. Major free amino acids in both sauces were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and arginine. Amino acid derivatives content was higher in Lentinus edodes brown sauce (644.55 mg%) than in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595.87 mg%). Major amino acid derivatives were ammonia, taurine, and carnosine in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and sarcosine, ammonia, -amino isobutyric acid, and phospho ethanolamine in Lentinus edodes brown sauce. The L, a and b values of Lentinus edodes brownumsauce showed a higher tendency those of Agaricus bisporus. The viscosity of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and Lentinus edodes brown sauces were 1976.67 cP and 2686.67 cP, respectively. The sensory score of color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both sauces, but those of flavor, taste, and viscosity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ere higher than those of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Especially,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on the flavor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7.6) was recorded higher than that (5.1) of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From the As a results,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as judged to be superior to than that of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 PDF

진주담치(Mytilus edulis) 추출물의 제조 및 품질특성 (Evaluating Cultured Sea Mussels Mytilus edulis Extractions Methods and Extract Quality Characteristics)

  • 김선근;조준현;황영숙;이인석;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50-655
    • /
    • 2017
  • Extraction methods for cultured sea mussels Mytilus eduli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ulting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crude protein, carbohydrate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of raw sea mussels was 15.2%, 1.9%, and 11.2 mg/100 g, respectively.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hot-water extract (WE), scrap enzymatic hydrolysate extraction (SE), and complex extraction (CE). The respective extracts contained 5.5%, 8.6%, and 6.6% crude protein; 281.7, 366.0, and 343.0 mg/100 g amino nitrogen,: and 2.0%, 1.1% and 1.8% salinity. Their extraction yields were 689, 323, and 1,012 mL/kg. The CE method was superior to the traditional WE method in terms of extraction yield, amino-nitrogen content, and organoleptic qualities, but not odor. Active taste components were evaluated and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WE and CE methods was 5,667.0 and 7,006.3 mg/100 g,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major components (for WE and CE methods, respectively) were as follows: glutamic acid (1,244.0 and 955.4 mg/100 g), taurine (987.9 and 746.8 mg/100 g), glycine (721.2 and 847.0 mg/100 g), alanine (341.9 and 423.8 mg/100 g), arginine (265.5 and 376.5 mg/100 g), lysine (199.8 and 270.4 mg/100 g), and proline (253.9 and 220.3 mg/100 g).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potential for using the CE method to expand the commercial utilization of sea mussels as a flavoring substance resource.

보리새우육 엑스분의 추출조건과 그 유리아미노산 조성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 on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Naturally Grown and Cutured Prawn Meat Extracts)

  • 안미정;한영실;변재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3-40
    • /
    • 1990
  • As a series of investigation on the ex-N compounds,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naturally grown and cultured prawn meat extract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xtraction conditions: 70% ethyl alcohol extraction, alcohol treatment of the same concentration after hot water extraction for 30 min, and 5% TCA treatment. The Protein content and the level of pure protein was 22 .8% and 18.4% in naturally grown prawn muscle, and 21.8% and 15.3% in the cultured prawn muscle, respectively. None protein nitrogenous compounds of the extracts were 4.4% in the naturally grown prawn muscle and 6.5% in the cultured prawn muscl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extract condition, ex-N compounds and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related compounds and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related compounds showed high level from 5% trichloroacetic acid extraction. The content of ex-N compounds of the cultured prawn muscle was 1033.0mg%. whereas the content of amino acids and related compounds-N was 825.3mg%, nearly reached to 80% to the total extractive nitrogen. A common feature of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 in the extracts of the muscles of the naturally grown and cultured prawn was high contents of glycine, proline, taurine, alanine and hydroxyproline.

  • PDF

발효주정 첨가 저염 미더덕(Styela clava) 양념젓갈의 제조 및 품질 (Processing and Quality Analysis of Seasoned Low-salt Fermented Styela clava Supplemented with Fermentation Alcohol for Extended Shelf-life)

  • 황영숙;이현진;황석민;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8
    • /
    • 2021
  • In order to develop value-added low-salt fermented seafood with a long shelf-life, we prepared seasoned low-salt fermented Mideoduck (Styela clava) supplemented with fermentation alcohol (SME). The SME was produced by washing and dewatering shelled Mideoduck, followed by cutting and salting for 24 h at 0℃. The salted Mideoduck was seasoned and fermented with ingredients, including garlic, ginger, monosodium glutamate, red pepper, sesame, sorbitol and sugar, for 7-8 days at 0℃. After adding 3-5% fermentation alcohol, the Mideoduck was packed in a polyester container. The salinity, volatile basic nitrogen, and amino nitrogen content of the SME was 4.5%, 20.9 mg/100 g and 92.0 mg/100 g,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the addition of 3-5% fermentation alcohol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decreased freshness, texture degradation, and growth of residual bacteria. Additionally, the SME had good storage stability and organoleptic qualities when stored at 4±1℃ for 40 days.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commercialization as a seasoned low-salt fermented product with a long shelf-life.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SME was 11,774.5 mg/100 g, majorly comprising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 and leucine, and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506.4 mg/100 g, majorly comprising hydroxyproline, taurine, and glutamic a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