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urine content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2초

발효주정 첨가 오만둥이(Styela plicata) 양념젓갈의 제조 및 품질 (Processing and Quality of Seasoned Low-salt Fermented Styela plicata Supplemented with Fermentation Alcohol)

  • 이현진;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841-848
    • /
    • 2021
  • To develop a value-added low-salt fermented seafood with a long shelf-life, we prepared seasoned low-salt fermented Omandungi Styela plicata supplemented with fermentation alcohol (SOE). The SOE was produced by washing and dewatering shelled Omandungi, followed by cutting and salting for 24 h at 0±1℃. The salted Omandungi was seasoned and fermented with garlic, ginger, monosodium glutamate, red pepper, sesame, sorbitol, and sugar, for 7-8 days at 0±1℃. After adding 3-5% fermentation alcohol, the seasoned fermented Omandungi was packed in a polyester container. The salinity,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and viable cell count of SOE were 4.8%, 22.1-22.2 mg/100 g, and (1.2-1.9)×103 CFU/g,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addition of 3-5% fermentation alcohol inhibited the decrease in freshness, texture degradation, and growth of residual bacteria. Additionally, the SOE showed good storage stability and organoleptic qualities when stored at 4±1℃ for 40 day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SOE was 2,186.0 mg/100 g, mainly comprising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and phenylalanine.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189.0 mg/100 g, and mainly included taurine, glutamic acid, methionine, alanine, and proline.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8. 붕어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Fresh-Water Fishes 8. Taste Compounds of Crucian Carp Meat)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0-176
    • /
    • 1984
  • 전보에 이어서 우리나라 주요 담수어의 정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붕어 배육중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유기염기, 당류, 유기산 및 무기질을 분석하였고 이 분석치를 기초로 하여 표준 시약으로 합성엑스분을 조제해서 천연엑스분과 맛을 비교하였으며 omission test를 통하여 각 성분들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검토하였다. 유리아미노산 중 histidine 함량이 월등히 많아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46\%$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glycine, lysine, alanine, taurine 등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 중에는 IMP 함량이 166.lmg/100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성분은 함량이 적었다. 유기염기로서는 총 creatinine 이 320.5 mg/100 g으로 가장 함량이 많았고 betaine은 21.6mg/100g이었으며 TMA 및 TMAO는 1mg/100g미만으로 극미량이었다. 유기산의 경우는 숙신산, 프로피온산, 보티르산, 발레르산등이 함량이 많았고 옥살산, 푸마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및 시트르산은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당류의 함량으로는 포도당이 2.4mg/100g이었고 ribose, arabinose, fructose 및 inositol은 1 mg/100g미만이었다. 무기염류 중에는 $K^+$$PO_4^{3-}$이 각각 220.0mg/100g, 288.7mg/100g으로서 월등히 많았고 다른 무기염류는 32 mg/100g 이하이었다. omission test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에 의하면, 붕어의 주된 정미성분은 serine, glutamic acid, IMP, $Na^+,\;K^+$$PO_4^{3-}$이었으며 lysine, arginine, tyrosine 및 phenylalanine에 의해서 더욱 맛이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 PDF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6. 메기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Fresh-Water Fishes 6. Taste Compounds of Korean Catfish Meat)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2-210
    • /
    • 1983
  • 우리 나라 중요 담수어의 정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전보에 이어 메기배육중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유기염기, 당류, 유기산 및 무기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분석치를 기초로 하여 표준 시약을 가지고 합성엑스분을 조제하여 천연엑스분과 맛을 비교하였으며, omission test를 실시하여 각 성분들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glycine이 가장 맞아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25\%$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alanine, lysine, taurine등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은 IMP 함량이 98.9mg/100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성분은 비교적 함량이 적었다. 유기염기는 creatinine이 351.7mg/100g으로서 가장 많았고 betaine은 18.0mg/100g이었으며 TMA 및 TMAO는 1.4mg/100g 이하로서 극미량이었다. 유기산의 경우는 숙신산, 브티르산, 프로피온산 등이 함량이 많았고 옥살산, 푸마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및 시트르산은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당류의 함량은 포도당이 5.1mg/100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ribose, arabinose, fructose및 inositol은 약 1mg/100g으로서 미량이었다. 무기염류의 함량은 $K^+$$PO_{4}^{3-}$이 각각 210.0mg/100g, 305.8mg/100g으로서 월등히 많았고 다른 무기염류는 38.0mg/100g이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로 본 매기의 주된 정미성분은 serine, alanine, IMP, 숙신산 및 $PO_{4}^{3-}$였다.

  • PDF

게껍질의 급여가 우유내 타우린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ab Shell Supplementation in Feeds on Taurine Content of Cow s Milk)

  • 박태선;박동진;이지선;김동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75-108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게껍질분말 급여에 의한 천연 타우린 강화우유의 생산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25두의 젖소를 5군으로 나누고, 각기 대조사료, 1%(1%CS), 3%(3%CS) 및 5% 게껍질분말사료(5%CS), 그리고 formaldehyde로 처리되 3% 게껍질분말사료 (3%FCS)를 30일간 급여하였다. 게껍질분말 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은 phenylalanine이 가장 높았고, glutamate, aspartate, glycine, serine histidine, arginine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동물조직의 단백질과는 달리 branched-chain 아미노산의 함량이 비교적 낮았다. 게껍질에 함유된 유리아미노산 중 타우린은 가장 고농도로 존재하였으며, 특히 집게다리껍질에 509$\mu$mol/100 g이 함유되어 등뚜껑(319$\mu$mol/100g) 및 게껍질분말(296 $\mu$mol/100 g)에 비해 월등히 그 함량이 높았다. 게껍질분말의 급여가 우유의 타우린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p<0.01 수준에서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1%CS군의 원유에는 5.84$\pm$0.73 $\mu$mole/100mL의 타우린이 함유되어 대조구 (4.84$\pm$0.29 $\mu$mol/100mL)에 비해 20%정도 더 높았으며, 3%CS군의 원유에는 7.21$\pm$0.77$\mu$mole/100 mL의 타우린이 함유되어 대조구에 비해 49%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한편, 3%FCS군의 경우 원유의 타우린농도가 3%CS군에 비해 유?거으로 감소하였고, 따라서 게껍질의 formaldehyde 처리는 반추위내에서 타우린을 보호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게껍질 급여에 의해 우유의 타우린농도가 증가하였음을 밝히는 최초의 보고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기타 축산제품의 타우린함량을 증가시키는데 폭넓게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Nitrogen allocation of Gracilaria tikvahiae grown in urbanized estuaries of Long Island Sound and New York City, USA: a preliminary evaluation of ocean farmed Gracilaria for alternative fish feeds

  • Johnson, Ronald B.;Kim, Jang K.;Armbruster, Lisa C.;Yarish, Charles
    • ALGAE
    • /
    • 제29권3호
    • /
    • pp.227-235
    • /
    • 2014
  • The red seaweed, Gracilaria tikvahiae McLachlan, was cultivated in open water farms in urbanized estuaries of Long Island Sound (26-30 psu of salinity) and New York City (20-25 psu), USA in 2011. Plants were harvested monthly from summer (August, $24^{\circ}C$) to fall (November, $13^{\circ}C$) and analyzed for total nitrogen,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 On a dry matter (DM) basis, nitrogen and protein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harvest period until October and then plateaued. Nitrogen increased from $22{\pm}1g\;kg^{-1}$ DM in August to $39{\pm}3g\;kg^{-1}$ DM in October (p < 0.001). Protein increased from $107{\pm}13g\;kg^{-1}$ DM in August to $196{\pm}5g\;kg^{-1}$ DM in November (p < 0.001). With two exceptions, amino acid concentrations expressed on a crude protein (CP) basis were similar over the harvest period. Essential amino acids accounted for $48{\pm}1%$ of all amino acids present with lysine and methionine averaging $56{\pm}2g\;kg^{-1}$ CP and $18{\pm}1g\;kg^{-1}$ CP, respectively. Histidine was underrepresented among essential amino acids and averaged $13{\pm}1g\;kg^{-1}$ CP. Taurine ranged from 2.1 to $3.2g\;kg^{-1}$ DM. With its moderate levels of lysine, methionine and taurine, ocean farmed G. tikvahiae has the potential of overcoming many nutrient deficiencies currently associated with terrestrial plant ingredients in alternative feeds for fish and shrimp.

배건담치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THE TASTE COMPOUNDS OF BROILED DRIED SEA MUSSELS)

  • 류병호;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5-83
    • /
    • 1978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 the taste of broiled-dried sea mussel which is a traditional dried Sea food in Korea. The contents of such compounds as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MAO, betaine,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were analyse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f nucleotides, the contents of AMP and ADP in broiled-dried Mytilus coruscus and Mytilus edulis appeared higher than other nucleotides and tended to increase slightly after cooking, drying, and storage which might be due to both their stability and the addition of degradation of nucleic acids during cooking. In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fresh samples abundant amino were taurine, glycine, serine, glutamic acid, alanine, arginine, threonine, tyrosine, lysine and valine in order. Such amino acids as histidine, leucine, methionine and isoleucine were poor and both proline and phenylalanine were merely trace.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 in the extract of Mytilus corucus and Mytilus edulis after broil-drying was not changed. These amino acids, taurine, glycine, feline, glutamic acid, alanine and arginine were abundant in dried samples as well as in the fresh. The total free amino acid was greatly reduced after cooking and drying ranging from $76.3\%$ to $79.7\%$ loss to that of tile fresh. The content of betaine shelved the same tendency as in total free amino acid while TMA slightly increased relating to TMAO decrease during broil-frying. Such nonvolatile organic acids as succinic, lactic, malic and fumaric acid were abundant in both fresh and broiled-dried samples whereas oxalic and pyruvic acid were poor. It is found that the taste compounds of broiled-dried Mytilus coruscus and Mytilus edulis were composed of amino acids as glycine, serine, alanine, glutamic acid, arginine, and betaine, TMAO, ADP, AMP, and organic acids such as succin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and fumaric aci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aste compounds between male and female as well as between Mytilus coruscus and Mytilus edulis was not observed.

  • PDF

계절에 따른 미더덕의 정미성분 조성 변화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Taste Components in Warty Sea Squirt(Styela clava))

  • 이강호;김민기;홍병일;정병천;이동호;박천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4-279
    • /
    • 1995
  • 미더덕의 계절에 따른 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3~10월 사이의 정미성분과 그 계절적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더덕의 총엑스분질소량은 6월에 294mg/100g, 7월에 160mg/100g으로 감소하다가 그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아미노산 중 taurine(45~50%)과 proline(12~18%)이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의 함량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 중에서는 AMP의 함량이 가장 풍부하였고, glycine betain은 6월에 256mg/100g으로 최고치를 보였다. 미더덕의 엑스 분질소 조성은 유리아미노산이 50~6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betaine(11~15%), 핵산관련 물질(5~8%), TMAO 및 총 ceratinine 순이었다. 미더덕의 유기산은 succine, malic, lactic 및 pyroglutamic acid가 전체 유기산의 8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중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Omission test한 결과, 미더덕의 맛은 유리아미노산, betaine, 핵산관련 물질, 불휘발성 유기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 및 열처리에 따른 오징어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quid upon Acid and Heat Treatment)

  • 이혜영;김성호;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39-549
    • /
    • 2012
  • 본 연구는 오징어 가공식품개발의 기초자료확보를 위하여 산(acetic acid, 0~5%) 처리와 예비가열($55^{\circ}C$, $80^{\circ}C$) 후 열처리($100^{\circ}C$)에 따른 오징어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이 약 73~78%, 조단백이 약 19~24%였으며 자숙 오징어의 일반성분 함량은 산 농도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자숙 오징어의 모든 시료에서 주요 유리당은 ribose와 glucose이었으며, $55^{\circ}C$ 예비가열 시료는 다른 시료보다 glucose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유리당 함량은 표피 무제거 시료와 $80^{\circ}C$ 예비가열 시료순으로 높았고 $55^{\circ}C$ 예비가열 시료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모든 시료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proline 함량이 가장 높았고 taurine, histidine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모든 자숙 오징어군에서 산 용액 처리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영향을 보였다(p<0.05).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55^{\circ}C$ 예비가열 시료가 가장 높았고 $80^{\circ}C$ 예비가열, 표피 무제거 시료순으로 나타났다. 핵산관련물질은 모든 시료에서 inosine이 검출되지 않았고 ATP 함량이 가장 낮았다. $55^{\circ}C$$80^{\circ}C$ 예비가열 시료는 hypoxanthine 함량이 가장 높고 AMP와 IMP 함량이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나 표피 무제거 시료는 IMP 함량이 표피제거 시료보다 높았다. 지방산은 포화지방산이 약 40%로 palmitic acid 함량이 매우 높았고 불포화지방산은 약 60%로 EPA와 DHA 함량이 높았다. 지방산중 DHA 함량이 가장 높고 palmitic acid, EPA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세 가지가 총 지방산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었다. 지방산은 산 처리와 가열 방법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기질의 함량은 인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순이었으며 예비가열 온도 또는 산 용액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중금속류인 카드뮴, 납, 비소는 미량으로 나타나 식품 기준치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Maillard 반응에 의한 미더덕 체액의 풍미개선 (Flavor Modification of Mideoduck (Styela clava) Drips by Maillard Reaction)

  • 강석중;정성주;최영준;최병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829-1837
    • /
    • 2010
  • Maillard 반응의 기본이 되는 당과 아미노산을 결정하기 위하여 미더덕 체액, 6탄당인 glucose와 5탄당인 ribose를 기본으로 하여, thiamine, 아미노산으로는 methionine, taurine, glycine, alanine, threonine, cystine 등을 사용하였고, 실용적인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식용하는 양파, 마늘, 감귤, 생강, 녹차, 파 등을 첨가하여 반응액을 만들었다. Ribose와 thiamine 구가 패널로부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이어서 glucose와 thiamine 구가, ribose와 methionine 구는 아주 나쁜 풍미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황화합물인 taurine을 첨가한 glucose 및 ribose 구는 보통의 평가로 나타났고, 체액에 당과 아미노산을 첨가한 경우도 thiamine 구만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나 나머지 아미노산의 경우 싫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의 액즙-당 반응구에서는 장쇄지방산의 함량이 31.32-62.71%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A, B, C구에서는 1,2-bezenedicarboxylic acid dibutyl ester의 함량도 2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화합물이 전체 향기성분의 50% 이상으로 이들이 체액-당 반응계의 주된 화합물로 생성되어, 체액을 활용한 조미료의 생산을 저렴한 비용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계 사료에서 우렁쉥이껍질 첨가가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Ascidian Tunic Shell into Laying Hen Diet on Egg Quality)

  • 김은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45-54
    • /
    • 2002
  • 본 내용은 미이용수산자원인 우렁쉥이 껍질의 성분상의 특성을 활용하여 착색제, 난각과 타우린 강화제로의 이용방법을 제시함으로서 폐기되고 있는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는 한편, 합성색소의 생체기능학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축산농가의 생산비 절감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산란계사료에 우렁쉥이 껍질을 1$\sim$5% 첨가했을 때의 산란율과 계란의 무게가 일반사료구(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우렝쉥이 껍질첨가가 산란계의 산란성적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색도는 우렁쉥이 껍질 최소첨가량인 1$\sim$2% 첨가구에서 이상적인 Roche color fanscore (RCFS) 12$\sim$13 수준을 나타내고 3% 이상의 첨가구에서는 15 이상의 RCFS를 나타내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카로티노이드의 축적량이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4% 이상에서는 축적률이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 계란 비중과 파괴강도는 일반란인 대조구의 경우는 점차 감소하거나 유지되었으나 우렁쉥이 껍질 첨가구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효과는 2주부터 뚜렷하였으며 3주째에는 4% 첨가구의 경우 일반란보다 2.4%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우렁쉥이 껍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난각의 파괴강도와 계란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4% 이상 첨가구에서는 그 증가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란 타우린 함량은 우렁쉥이 껍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계란내 단백질 함량은 일정한데 비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일반란인 대조구의 경우 18.53$\pm$3.09mg% 정도 함유되어 있는 반면 우렁쉥이 껍질 4% 첨가구인 경우 108.10$\pm$2.44mg%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료에 첨가한 우렁쉥이 껍질내 타우린(2.13%)이 계란으로 잘 이행되는 결과를 보였다. 전체 결과에 따라 우렁쉥이 껍질은 첨가량에 따라 산란계 사료용 합성 착색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착색제(색소원)로 사용 가능하며 부가적인 효과로 난각 강화 및 타우린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