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petum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3초

Development of male sterile transgenic lines in rice by tapetum specific expression of barnase gene

  • Kumar, Pravin;Kaur, Kulwinder;Purty, Ram Singh;Mohan, Madan;Burma, Pradeep Kumar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364-371
    • /
    • 2017
  • The key to development of barnase-barstar transgene based hybrid seed technology is the availability of tightly regulated tapetum specific promoter, as any leaky expression of the barnase gene leads to several unintended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two different tapetum specific promoters i.e. promoter of the RTS gene isolated from rice cultivar IR64 and the OsG6b promoter from japonica rice cultivar Hayayuki to express the barnase gene in rice transgenic lines. While viable male sterile transgenic lines could not be obtained with RTS promoter we could develop single copy male sterile lines when the barnase gene was expressed under the OsG6b promoter.

인삼 융단조직의 프로그램 세포사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f Programmed Cell Death of Tapetum In Panax ginseng)

  • 정병갑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16-1022
    • /
    • 2009
  • 융단조직은 약실 내에서 발달하는 소포자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퇴화되는 조직으로써, 소포자 4분자 시기에 최대로 발달하고 화분벽에 포분질에 축적된 후 프로그램 세포사가 일어남으로써 세포가 죽게 되고 융단조직 전체가 퇴화된다. 액포가 융합되므로써 프로그램 세포사가 시작되고 세포질응축, 핵질 분절 등이 뒤따라 일어난다. 지질 덩어리는 비교적 늦은 시기에 퇴화되며 orbicular body는 가장 늦게까지 남아 있게 된다. 융단세포의 프로그램세포사 전 과정 중에서 세포벽은 액포에서 기원하는 가수분해 효소에 비교적 안정적이므로 가장 늦게 퇴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xonomic re-examination of a carpet-like Codium (Chlorophyta) from Jeju, Korea

  • Lee, Hyung-Woo;Kim, Myung-Sook
    • ALGAE
    • /
    • 제26권3호
    • /
    • pp.221-227
    • /
    • 2011
  • There are three carpet-like Codium species with a broadly expanded thallus reported from Korea and Japan: C. latum Suringar, C. tapetum Y. Lee, and C. tenuifolium Shimada, Tadano and J. Tanaka. During surveys of green algal diversity, we encountered a Codium species with carpet-like thalli from several sites on Jeju Island. To confirm the taxonomic identity of these specimens, we studied the morphological features and obtained rbcL gene sequences. The morphological and sequence data indicated that the carpet-like Codium specimens from Jeju are C. tenuifolium from Japan, but distant from Japanese C. latum. We propose that the carpet-like specimens from Jeju should be renamed C. tenuifolium, instead of C. tapetum or C. latum. C. tenuifolium is characterized by a tenuous, carpet-like and erect thallus with a very short and slightly compressed stipe arising from a discal holdfast, sub-pyriform and clavate utricles with a tumid and swollen apical head, and globular or sub-globular gametangia issued at the basal portion of the utricles.

Changes of RNA synthesis in Anther Wall of Brassica napus during Male Gametogenesis

  • Kim, Moon-Za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25-32
    • /
    • 1995
  • The distribution of RNA in the anther wall of Brassica napus during male gametogenesis was followed by 3H-uridine autoradiography. Silver grain(SG) density was not above background in the anther wall just after microspore was released from tetrad callose wall. Significant accumulation of SGs occurred in tapetum, endothecium, and epidermis before microspore vacuolation. Accumulation of RNA in the tapetal cells was peak before the vaculation occurred in the microspore. With the onset of tapetal senescence at the partially vacuolated microspore stage, SGs decreased and they completely disappeared in the tapetum at the bicelled pollen stage. Accumulation of RNA in the endothecial cells was peak after the microspore mitosis and continued just after the generative cell mitosis. Appreciable SGs also occurred in cells of epidermis from nonvacuolate microspore stage to bicelled pollen stage. During this period, SG density was almost same and was not high as compared with tapetum or endothecium. At tricelled mature pollen stage, no incorporation occurred in anther wall. SGs were found mostly over the nucleouls and chromation of the cell nuclei.

  • PDF

소구상체(Orbicules)의 계통분류학적 검토 (The phylogenetic potential of orbicules in angiosperms)

  • 문혜경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23
    • /
    • 2018
  • Orbicule(소구상체)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꿀풀과에 속하는 6속 11분류군과 마편초과 3속 4분류군의 약벽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현화식물 내 소구상체의 분포가 갖는 계통분류학적 유용성 및 융단조직 유형과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꿀풀과 분류군들에서는 모두 소구상체가 관찰되지 않았고, 마편초과 분류군들에서는 평균 $1{\mu}m$ 이하, 구형의 소구상체들이 조밀하게 분포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과 수준에서 일관성 있는 소구상체의 분포 특징은 현화식물 전체 orbicules에 대해 조사된 150과 중 123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소구상체의 분포 유형 자체가 분류학적 예견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융단조직 유형이 확인된 분류군들 중 분비형 융단조직을 갖는 분류군의 약 84%에서 소구상체가 나타나고, 아메바형 융단조직을 갖는 분류군의 약 80%은 소구상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소구상체의 발달이 융단조직 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행된 소구상체 연구는 현화식물 전체 416과들 중 150과에 제한되어 있고, 이들 분류군들 중 융단조직 유형은 92과에서만 알려져 있어 소구상체의 기능 및 융단조직 유형과의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광범위한 분류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해변말미잘목 (산호충강: 말미잘아강)의 3미기록종 (Three New Records of Actiniaria (Anthozoa: Zoantharia) from Korea)

  • 송준임;차하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2호
    • /
    • pp.201-214
    • /
    • 2004
  • 제주도와 백도에서 1971년부터 2004년까지 채집된 해변말미잘류는 3과 3종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무족반족의 가지해변말미잘 (Halcampella maxima)과 족반족의 진홍혹해변말미잘 (Aulactinia coccinea )과 융단열말미잘 (Stichodactyla tapetum)으로서 이들의 자포에 대한 분포와 크기를 포함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그림과 표와 함께 자세히 기술하였다. 가지해변말미잘은 겨울에 성숙한 난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융단열말미잘은 여름에 난세포와 정자낭이 각각 다른 개체에서 관찰되었다 진홍혹해변말미잘은 체벽의 상연에서부터 하연까지 부착력이 있는 융상돌기가 종렬로 배열하는 특이한 외형을 갖고 있다. 열말미잘속 중 가장 작은 융단열말미잘은 구반 위에 길이 1.0 mm이하의 구술모양 촉수가 밀집해 있으며, 원추형의 연촉수가 1.5-2.0 mm 정도로 배열하는 것으로 구별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한국산 해변말미잘류는 니난트아목 내에 무족반족 4종과 족반족 23종이 보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