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rup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33초

한방소재 화장품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The Enhancing Effect of Atopic Dermatitis by cosmetics containing estern medical herbs)

  • 강신정;김애정;이연희;이명숙;정경희;조남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500-3505
    • /
    • 2009
  • 한방소재를 이용한 화장품이 아토피피부염을 개선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중등증의 아토피 피부염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진경한방컴플렉스(감초, 백지, 작약, 지실, 천궁, 갈근, 현호색), 편백수, 녹차, 황기, 홍삼, 당밀발효액, 사과 발효여과물이 함유된 화장수와 크림을 하루에 3회 피부염병변에 6주간 도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SCORAD 지수는 $26.9{\pm}11.8$에서 $14.9{\pm}9.7$로 감소(p<0.05), Total IgE(IU/mL)는 $641.9{\pm}1294.6$에서 $565.8{\pm}1076.8$로 감소, Eosinophil의 수(ug/dL)는 $246.7{\pm}203.5$에서 $203.3{\pm}130.7$로 감소하였다(p<0.05). 피부수분함유량은 $36.6{\pm}10.0$에서 $44.0{\pm}10.3$로 증가(p<0.01), 경피수분손실량(g/h/$m^2$)은 $16.7{\pm}5.1$에서 $15.4{\pm}8.7$로 감소(p<0.05)하였으며, 피부 pH는 약산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의사 및 환자의 총괄유효성 평가도 증가되었다.

Analysis of Dibenzocyclooctadiene Lignans in Omija Wine and Cheong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 Seo, Hyung-Ju;Ji, Seung-Bae;Kim, Sin-Eun;Lee, Gyung-Min;Moon, Seong-Hun;Jang, Dae-Sik;Liu, Kwang-Hyeon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1권2호
    • /
    • pp.30-35
    • /
    • 2020
  • Schisandra chinensis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that is widely spread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fruits of S. chinensis Bailon, known as omija in Korea,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oughs, fatigues, and insomnia. Up to now,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for the identification of major lignan compounds and their quantitation in S. chinensis extract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however, there is no report on the analysis of lignans in omija wine and omija cheong (sugared omija or omija sugar syrup). In the present study, seven dibenzocyclooctadiene lignans (gomisin A, gomisin B, gomisin C, gomisin N, schisandrin, deoxyschisandrin, and wuweizisu C) in omija wine and omija cheong were analyzed and quantitat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Among seven lignans, pharmacologically active gomisin A, schisandrin, and deoxyschisandrin, which are major components in fruits of S. chinensis, were the most abundant lignans in omija wine and cheong. The content of lignan in omija wine was in the order: schisandrin > gomisin A > deoxyschisandrin > gomisin N > gomisin B > gomisin C > wuweizisu C. The concentration of deoxyschisandrin and gomisin N in omija wine was approximately 2.0- and 6.0-fold higher than for omija cheong. Additionally, this study provided a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lignans in omija wine and cheong and indicated that the omija wine and cheong might be of value for their dietary application.

17세기 이전 조선시대 과정류의 문헌적 고찰 (An Investigation on 'Kwa-Jung';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Item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Prior to the 17th Century)

  • 조신호;정낙원;최영진;김은미;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2-324
    • /
    • 200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ames and various types of "kwa-jung" along with their recipes and ingredients occurring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before the 17th century. The kwa-jungs were classified into 7 groups including Yoomilkwa, Yookwa, Dasik, Junkwa, Kwapyun, Yutganjung and Dang. A total of 72 kinds of kwa-jung were found. 26 kinds of Yoomilkwa, 18 kinds of Yookwa, 7 kinds of Dasik, 10 kinds of Junkwa, 1 kind of Kwapyun, 3 kinds of Yutganjung and 8 kinds of Dang. Among the types of Yoomilkwa, Yackwa was recognized as the best food according to the references. Also the cooking methods for items had a tendency to become simpler as society became modernized. Original and rare Ingredients were often substituted with other items that could be found more easily where people lived As recorded, the Yookwa group included kangyung, sanja, and bingsakwa. And as society became modernized, people tended to buy Yookwa in the store rather than making it at home due to its complicated and often difficult cooking process. The Dasik items were a kneaded mixture of flour, or the flour of chestnuts, with honey. These were formed into various patterns like birds, animals, butterflies, tree leaves and flowers, or as ki-wha by using printing cooking utensils Honey was used as a sweetener and as a combining material. The Junkwa consisted of roots or fruits that could be easily obtained these cooked or raw foodstuffs were then mixed with sugar and simmered. The Kwapyun used sour fruit juices as a main ingredient. These were then combined with sugar and simmered and allowed to harden. Then they were cut into square shapes after cooling. Yutkangjung was a mixture of yut, chochung, honey or syrup and pine nuts. which was combined over low heat. After mixing and stirring it was cut into square shapes. Finally, the Yut was typically cooked with grains and powdered malt and stirred until thickened.

초고추장첨가 멸치(Engraulis japonica)육젓필레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a Fillet using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 권순재;윤문주;이재동;강경훈;공청식;제해수;정제헌;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26-732
    • /
    • 2014
  • A traditional Korean seafood (fermented anchovy) is made from the muscle and viscera of anchovies Engraulis japonic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torting condition on the quality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using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Salt-fermented anchovy fillets were prepared by fermenting anchovies with salt (15%) at $5^{\circ}C$ for 15 days, and then cold air drying the fillets for 1 hour. Each batch of dried fermented anchovy fillets (60 g) was filled with 35 g of mixed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red pepper paste 64%, vinegar 2%, starch syrup 13%, sugar 14%, coke 6%, soju 0.4%, crushed garlic 0.3%, ginger 0.3%), placed in a can (RR-90), seamed using a vacuum seamer, and sterilized for either Fo 9 or 11 min in a steam system retort at $121^{\circ}C$. After sterilization, we measured the pH,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TVB-N), amino-N, color value (L, a, b), texture profile,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sensory evaluation, and viable bacterial count of the canned fillets. We did not detect viable bacterial counts in cans subjected to either sterilization treatme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between the two. In fact, most sensory evaluators reported difficulty distinguishing the products. Thus, our results show that sterilization for Fo 9 min is preferable to that for Fo 11 min in the preparation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using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토마토페이스트소스첨가 멸치(Engraulis japonica) 육젓필레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a Fillet using Tomato Paste Sauce)

  • 권순재;이재동;윤문주;박진효;제해수;공청식;노윤이;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19-725
    • /
    • 2014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basic data for application to the canning process of salt-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a fillet using tomato paste. The salt fermented anchovy fillet was prepared by fermenting anchovy fillet with salt 15% at $5^{\circ}C$ for 15 days and then cold air drying the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for 1 h at $16{\pm}1^{\circ}C$. The dri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85 g was filled with 60 g of tomato paste sauce (tomato paste 42%, gum guar 1.0%, salt 2.0%, starch syrup 2.0%, cooking wine 1%, water 52%) and seamed by vacuum seamer in 301-3 can, then sterilized at Fo 9 and 11 min in a steam system retort at $121^{\circ}C$, respectively. The factors such as chemical composition, pH,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TVB-N), amino-N, color value (L, a, b), texture profile,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sensory evaluation and viable bacterial count of the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were measured. Texture value of the product sterilized at Fo 11 min was higher than at Fo 9 min condition. In both sterilized cans, the viable bacterial counts were not detected.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physicochemical between sterilization conditions.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most sensory evaluation inspector judged that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sensory difference of both products sterilized at Fo 9 min and at 11 min. The results showed that sterilization of Fo 9 min was more desirable than that of Fo 11 min to prepare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using tomato paste sauce, because this condition is more economical.

복분자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유옥경;김지은;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92-797
    • /
    • 2008
  • 복분자 젤리의 최적 레시피를 개발하고자 복분자 추출액, 복분자 향, 설탕, 물엿의 함량을 달리한 시료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texture, 색도, 관능평가 등과 같은 품질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반성분은 수분이 19.0%, 조단백질이 0.8% 이었으며, 조지방 및 조회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복분자 젤리의 texture는 복분자 추출액 양이 적은 제품이 복분자 추출액 양이 많은 제품보다 경도, 검성, 탄력성, 응집성 및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L값은 복분자 추출액의 양이 적은 제품과 설탕 함량이 많은 제품이 복분자 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은 제품과 설탕 첨가량이 적은 제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b값은 복분자 추출액 또는 설탕의 첨가량이 많은 제품이 적은 제품보다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항목 중 향미, 색도, 당도, 경도(씹는 느낌), 끈적임, 전체적인 기호도를 모두 충족시키는 최적의 레시피는 물 240 g, 설탕 120g, 물엿 110 g, 한천 4 g, 복분자 추출액 20 g, 복분자 향 0.3 g으로 제조하는 B 제품으로 사료된다.

유과의 유통기간 연장을 위한 항산화제 첨가의 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Shelf-life of Yukwa)

  • 금준석;이용환;안용식;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20-72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전통한과인 유과의 가공방법과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장 중 황산화제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저장기간 동안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유과를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색을 측정한 결과 백색도(L)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약간 감소하거나 거의 변화가 없는 경향을 보였고, 적색도(a) 및 황색도(b)의 경우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텍스쳐에 있어서 상관성을 보이는 경도와 씹힘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저장 중 산패의 지표인 과산화물가는 YOP1 및 YOP2 처리구는 저장 12주까지 식품위생규격 및 전통식품표준규격에서 정한 한과류에 대한 기준치인 40이하로 측정되었다 포장방법별로 2주에서 12주까지 저장하면서 유과에 함유된 지방성분 중 지방산을 측정해 본 결과 저장초기의 지방산 함량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초기의 지방산 함량은 palmitic acid 11.3%, stearic acid 4.6%, oleic acid 23.4%, linoleic acid 54.2%, linolenic acid 6.5%로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oleic acid가 가장 많았다. Electronic nose를 이용하여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향기특성 패턴을 분석한 결과 8주부터 10주까지는 항산화제를 처리한 것이 차이가 적었다. 저장 중 유과의 향기특성에 대한 관능적 특성(Yukwa odor, rancid odor)과 전자코(electronic nose) 측정치간의 비교에서 전자코 측정치에서도 향기특성이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나 관능적 평가 결과와 기계적 특성치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백년초 젖산 발효액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 (Development of Jelly Fortified with Lactic Acid Fermented Prickly Pear Extract)

  • 손민정;황기;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08-413
    • /
    • 2005
  • Glucomannan과 κ-carrageenan을 혼합하여 액상과당, 해조칼슘, 유기산,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 발효액을 첨가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발효액은 pH 3.12, 적성산도 1.15%(lactic acid, v/v), 2.7×10/sup 9/CFU/mL의 젖산균을 포함하며 L값 19.6, a값 12.3, b값 1.4를 나타내었다. 젤리 제조시에 백년초 발효액을 4%첨가하였을 때, 견고성은 약간 낮지만 탄력성이 높은 부드러운 젤리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젤리의 색과 맛에서도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유기산 중 citric acid를 0.25%(v/v) 첨가했을 때 견고성과 탄력성이 좋은 젤리를 형성한 반면, ascorbic acid를 0.25%(v/v) 첨가했을 때는 푸딩과 같은 부드러운 젤리가 형성되었다. κ-carageenan농도에 따른 젤리의 제조에서 0.75%의 κ-carrageenan을 첨가했을 때 젤리의 견고성과 brittleness가 높았고, 0.9% 첨가시에는 오히려 젤리의 견고성이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0.25%의 citric acid와 30%의 액상과당을 함유하며 0.15%의 glucomannan과 0.6% 또는 0.75%의 κ-carrageenan을 혼합한 젤리의 전반적인 선호도가 높았다.

발효기간에 따른 마늘 발효액의 기능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Garlic Broth during Fermentation)

  • 정경애;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6-412
    • /
    • 2012
  • 기능성이 우수한 마늘을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목적으로, 통마늘을 설탕과 시럽에 절인 후 36개월간 실온에서 발효 숙성시킨 마늘 발효액의 발효기간에 따른 항균, 항산화 및 혈전용해능과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마늘 발효액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여 12~36개월간 발효했을때 870~885 mg/100 mL로서 1~6개월간 발효한 경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01). 발효기간에 따른 마늘 발효액의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능은 발효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여 24~36개월에 가장 높았다(p<0.05). 마늘발효액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발효 1개월부터 시험한 4종류의 식중독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S. aureus에 대하여 가장 활성이 컸다. 발효기간에 따른 마늘 발효액의 혈전용해능은 24개월 이상 발효시킨 발효액에서 plasmin보다 2배 이상 높은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었다. 마늘발효액은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더불어 우수한 항균, 항산화 및 혈전용해능을 보였으며 발효기간이 길수록 기능성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마늘 발효액은 항균작용, 항산화작용 및 혈전용해능 등의 우수한 기능성으로 인하여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항산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구용 액체약에 함유된 감미제의 종류와 함량 (THE TYPES AND CONTENTS OF SWEETENERS IN LIQUID ORAL MEDICINES)

  • 황민성;김정욱;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61-667
    • /
    • 2001
  •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해 당분을 포함한 음식의 사용을 조절해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어쩔 수 없이 인지되지 못한 체 액체약에 포함된 형태로 공급되는 상당량의 당분이 존재한다. 당분을 포함한 액체약을 장기간 복용할 때는 우식 발생의 위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구용 액체약을 처방받는 경우를 고려하여 약제를 통한 당분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얻어 치아우식증의 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에서 처방된 경구용 액체약을 조사하여 소아 환자에서 흔히 사용되는 액체약의 목록을 구하였고,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액체약을 기준으로 각 제조사에 자료를 요청하여 생산중인 액체약에서 그 속에 함유된 감미제의 종류와 함량에 대해 조사하였다. 아동에서 흔히 사용되는 액체약은 진해거담제, 암모니아혈증 치료제, 항생제, 빈혈약, 진정제, 항히스타민제, 항전간제, 비마약성진통제의 순이였다. 액체약에 함유된 감미제의 평균함량은 $52.3{\pm}22.4g/100ml$이었다. 그리고, 액체약에 함유된 감미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백당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