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mbolic shape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3초

상징적 음성언어 교육을 위한 유아 로봇 콘텐츠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obot Contents for Symbolic Vocal Language Learning of Young Children)

  • 김정호;한정혜;김동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05-214
    • /
    • 2009
  • 외계의 음을 묘사하거나 자연계 사물의 모양, 현상, 움직임, 상태 모습을 표현한 상징적 음성언어의 지도방법으로 사전적인 뜻풀이의 일방적인 해설을 삼가고 학습자들의 생각을 자극하고 학습자 스스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노래와 만화와 같은 쉽고 재미있는 활동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 학습 활동 로봇 콘텐츠를 개발하고 학습활동 후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서의 변화를 비교하여 로봇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로봇과 컴퓨터를 활용한 흉내내는 말 학습 활동 후 소리, 모양, 움직임을 흉내내는 말의 3가지 유형의 성취도를 측정한 결과 소리와 모양을 흉내내는 말 학습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움직임을 흉내내는 말 학습에서는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로봇을 활용한 흉내내는 말 학습 활동은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흥미도, 이해도, 성취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스마트팔찌와 스마트워치의 물리적 특성이 지각된 기능적, 심미적, 상징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mart Wristbands and Smartwatches on Perceived Functional, Aesthetic, And Symbolic Values)

  • 심수인;유희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525-53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팔찌와 스마트워치의 물리적 특성이(예: 모양, 색상, 소재, 크기, 무게, 기술적 기능) 소비자의 기능적, 심미적, 상징적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스마트팔찌나 스마트워치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미국 거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근 1년 사용했거나 현재 사용중인 제품에 대한 다양한 물리적 특성과 그에 대한 평가를 질문하였다. 연구 결과, 전면 디스플레이 모양이 상징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구체적으로 원과 정사각형은 직사각형보다 유의하게 높은 상징적 가치를 보였다. 손목밴드의 소재 역시 상징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소재 중에서도 금속과 가죽의 상징적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제품의 크기가 클수록 높아지는 상징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 외에도 활동 추적, 알람 시계, 거리 추적과 같은 기술적 기능은 기능적 가치를, 시계, GPS, 이메일 같은 기술적 기능은 심미적 가치를, 보폭계, GPS, 이메일은 상징적 가치를 높게 지각하도록 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팔찌와 스마트워치에 대한 소비자 욕구를 이해하여 제품을 개선하거나 신제품 개발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각도를 갖는 VLSI 레이아웃에서의 회로 및 심볼릭 추출 (Circuit and Symbolic Extraction from VLSI Layouts of Arbitrary Shape)

  • 문인호;이용재;황선영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29A권1호
    • /
    • pp.48-59
    • /
    • 1992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a layout processing system that performs circuit and symbolic extraction from hierarchical designs containing arbitrarily shaped layout. The system is flexible enough to deal with various technologies, MOS or bipolar, by providing extraction rules in the form of technology files. In this paper, new efficient algorithms for trapezoidal decomposition of polygon and symbolic path extraction using trapezoidal template are proposed for symbolic extraction. Circuit and symbolic extractor is developed as an integrated design environment of SOLID system.

  • PDF

만(卍)자 문양의 의장적 변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Aesthetical Change of the 卍 Shape)

  • 장헌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228-235
    • /
    • 2011
  • The 卍 shape which is used as an aesthetical feature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can be seen in the stair railings of the house shaped ceramic potteries in the Eastern Han dynasty(A.D. 25-220) but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t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decoration of the sarira(small crystals of the cremated monks) case. After the shape was seen in the Yungang and Dunhwang grottoes mural paintings, the use of it has been expanded. In Korea during the excavation of the Gyeongju Anapji which was the Eastern palace of the Shilla dynasty, a 卍 shaped wood which had been used as a handrail was found and this shape was also used in the railings of the Shilsangsa Baekjangarn temple stone pagoda and lantern and in the sarira case excavated in the Songrimsa temple stone pagoda. In Japan, the Nara period(A.D. 710-794) when there were many cultural exchanges with the Korean peninsula, the handrails of the 2ndfloor of the main hall of Hoyu-ji temple has a 卍 shape. This can be confirmed that this shape has been widely used as a design in Asian Buddhist architecture. Gilsangoonhae(吉祥雲海) which is the symbolic meaning of this shape means for long life and luck which had been used generally for the window designs of temples, palaces, and houses. In this study, it is giving the definition the beginning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卍 shape which is being used from the ancient times until nowadays and the change of this shape used for window designs.

혼합형태 심볼릭 데이터의 군집분석방법 (A Divisive Clustering for Mixed Feature-Type Symbolic Data)

  • 김재직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6호
    • /
    • pp.1147-1161
    • /
    • 2015
  • 오늘날 데이터는 p-차원의 공간에서 점들로써 표현되는 전통적인 형태를 벗어나 시그널(signal), 함수, 이미지(image), 모양(shape)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이 데이터로써 고려되고 분석되고있다. 그러한 종류의 새로운 종류의 데이터 중 하나로 심볼릭 데이터(symbolic data)를 고려할 수 있다. 심볼릭 데이터는 구간(interval), 히스토그램(histogram), 목록(list), 통계표, 분포, 또는 모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주로 심볼릭 데이터의 각각의 형태별 자료를 고려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수집된 히스토그램과 멀티모달의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에 대한 계층 분할적 군집분석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업종별 산업재해자료의 분석을 위해 이용한다.

서양 악의 상징물에 나타난 조형성 연구 (A Study of Formativeness in the Western Symbolic Icons of Evil)

  • 이영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27-135
    • /
    • 2018
  • 인간은 선과 악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면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은 악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해 악을 형상화하여 조형적 요소로 악의 상징물을 만들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악의 개념부터 인간이 가지고 있는 악에 본질이 상징물로 표현되었을 때 나타나는 조형성에 관하여 조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조형성의 분류 항목을 구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구성유형에서는 문자보다는 그림 또는 기호로 표현되었으며, 표현대상에서는 신화 속 인물과 동물의 형태로 나타났다. 레이아웃에서는 방사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묘사방법에서는 단순성과 복잡성의 형태로 외곽형태는 원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구성유형의 항목들이 높은 점수를 보인 상징물은 서로간의 조형적인 상관관계로 그려지고 사용되었으며, 발전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미지의 Symbolic Representation 기반 적대적 예제 탐지 방법 (Adversarial Example Detection Based on Symbolic Representation of Image)

  • 박소희;김승주;윤하연;최대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975-986
    • /
    • 2022
  • 딥러닝은 이미지 처리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며 큰 주목을 받고 있지만, 입력 데이터에 대한 변조를 통해 모델이 오분류하게 만드는 적대적 공격에 매우 취약하다. 적대적 공격을 통해 생성된 적대적 예제는 사람이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최소한으로 변조가 되며 이미지의 전체적인 시각적 특징은 변하지 않는다. 딥러닝 모델과 달리 사람은 이미지의 여러 특징을 기반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적대적 예제에 속지 않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미지의 색상, 모양과 같은 시각적이고 상징적인 특징인 Symbolic Representation을 활용한 적대적 예제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이미지에 대한 분류결과에 대응하는 Symbolic Representation과 입력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Symbolic Representation을 비교하여 적대적 예제를 탐지한다.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한 적대적 예제를 대상으로 탐지성능을 측정한 결과, 공격 목표 및 방법에 따라 상이하지만 specific target attack에 대하여 최대 99.02%의 탐지율을 보였다.

태권도 수련복의 역사적 고찰을 통한 디자인 개발 (Design Development of the Taekwondo Uniform ; Historical Research)

  • 김정희;조효숙;전현실;이현진
    • 복식
    • /
    • 제59권6호
    • /
    • pp.82-93
    • /
    • 2009
  • This study is considered about the Taekwondo(跆拳道) uniform classified by period and analyzed the current Taekwondo uniform. And founded on this contents, new designs of uniform, that a functional side are considered and can symb이ize the identity of Taekwondo, a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time, the Taekwondo uniform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Period of putting on our nation's costume'(three kingdoms${\sim}$Joseon(朝鮮) times), 'Period of confusion on uniform'(Japan's colonial rule of Korea${\sim}$-the early 1970s), 'Period of the settlement on official uniform'(the late 1970s-the present time). And besides, the shape of our nation's costume in ancient times is succeeded until Joseon times and this basic style becomes the outset on the current Taekwondo uniform. The designed uniforms are connoted the notion of the aesthetic appreciation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at is, a symbolic, dignified, moderate apprecia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a functional side for Taekwondo. And the contents on the presented designs are classified into 'shape, pattern, color'. First, these designs that are adapted the shape of Baji(바지) Jeogori(저고리)-belt, which have symbolized our nation's costume, and the shape of Bacja(배자) had used in Joseon times, are connoted a 'traditional appreciation with functional side'. Second, these designs, which are adapted the patterns of the active image(a bugbear, flying horse, tiger for embroidered patches, Taegeuk(太極)) in a modern style, express a 'symbolic, dignified appreciation'. Third, these designs are well-matched a black and white color with multicolored stripes(saekddong, 색동), and its ones are connoted a 'moderate and symbolic appreciation'.

구성놀이 전개 유형, 연령, 성별에 따른 구성놀이 질 및 가작화에서의 차이 (Proceeding patterns of block play, and differences on block play's quality and symbolic play' pretending elements)

  • 한석실;박주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46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eding patterns of constructive play with lego blocks, and the differences on the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nd symbolic play's pretending elements. The subjects were 132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64 three-year-olds (36 boy, 28 girl) and 68 five-year-olds (32 boy, 36 girl). The study found three proceeding patterns in the constructive lego play. First, children engaged in constructive and symbolic play simultaneously, or they switched back and forth between symbolic and constructive play. This pattern was termed as "constructive and symbolic play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type 3), and it was occurred most frequently. Secondly, children focused only on constructing structures. This pattern was termed as "constructive play only"(type 1), Thirdly, children engaged in symbolic play only after they completed building some structures. This pattern was named "symbolic play after constructive play"(type 2).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children who were categorized as type 1 and 2 showed higher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nd longer duration in play than children as type 3. Five-year-old children sustained play longer and showed higher quality in terms of elaboration, imagination, and variety (number of blocks, shape of blocks). Furthermore, children as type 3 showed a higher level of imaginative play than children as type 1 and 2, especially in terms of role, objet, and context of proj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