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et syrup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의 녹말 산업 발달사 (History of Korean Starch Industry)

  • 박연성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1권1호
    • /
    • pp.45-60
    • /
    • 2018
  • The starch industry in Korea had been based on sweet potato and potato for long time to produce starches which were used for mainly starch noodle such as cellophane noodle. Because of the poor storage stability, high price, and fluctuation of production by year and year of potatoes, the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starch had been changed to corn in 1970s. Along with this, the mass production system had been established, which enabled the production of various starch-related products including modified starches for food, textile, paper, and other industrial uses, starch sweetners, high fructose corn syrup, and gelatinized starch. In this paper, a brief background of corn industry in Korea has been described. The production of starch from corn has been emphasized and the future of corn industry in relation with GMO has been suggested.

Streptomyces griseolus기원의 포도당 이성화효소의 생성 조건과 성질 (Production Conditions and Properties of Glucose Isomerase from Streptomyces griseolus)

  • 임번삼;전문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1-60
    • /
    • 1983
  •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trptomyces griseolus isolated from the soil were investigated. This strain was disclosed to utilize D-xylose, and D-glactose in preference order as a carbon source with the formation of glucose isomerase. The addition of sweet potato starch also proved effective promoting the total enzyme activity measured at 29% higher than the control. Corn cob, one of waste agricultural resources, was hydrolyzed in 2~3% $H_2SO_4$ solution at $100^{\circ}C$, 3~5 hours to produce a xylose syrup which gave rise to the recovery of 19.9% in a batch system and 28.2% in a repeated system. By the addition of both 2% of xylose syrup(Be'28) prepared by and us 65% of corn steep liquor (total nitrogen 1.2%), enzyme induction was maximized. The enzyme activity was stimulated by the xylose and the cell growth by the C.S.L. Also, remarkable increase of enzyme activity was noticed by the addition of protein acid hydrolysate 86.2% higher than the control. $QO_2$ of the biomass cultured in 30L capacity jarfermentor recorded low oxygen requirement of 251.2 1/hr. Maximum activity of glucose isomerase was observed noted at the 9th hour after inoculation which is 2 hours faster than the stationery was observed noted at the 9th hour after inoculation which is 2 hours faster than the stationery phase of the biomass growth. Glucose isomerase from the strain was activated by adding the $Co^{++}\;and\;Mg^{++}$ with optimum temperature of $73^{\circ}C$ and pH of 7.2. Conversion ratio of 60% glucose to frutose was 42.5% after 70 hours reaction.

  • PDF

제조지역에 따른 약과의 품질 특성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Qualify Characteristics of Yackwa according to the region - Focusing on Jeonbuk Province -)

  • 차경옥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5-81
    • /
    • 2006
  • 전북지역의 약과 제조법을 조사하기 위하여 9개 지역(전주, 임실, 장수, 정읍, 남원(사매면, 덕과면), 완주, 고창, 익산)의 약과 제조자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재료와 분량 및 만드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전북지역에서 제조되는 약과와 대조군을 비교하기 위해 경도측정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북의 9개 지역에서 조사된 약과의 공통된 재료에는 밀가루, 참기름 또는 식용유, 꿀 또는 설탕, 생강즙, 술등이었으며, 밀가루 1kg에 대해 기름의 양은 1/2컵-l컵이었고, 꿀이나 설탕은 1컵-3컵이었으며, 생강즙은 1/2-l컵이었고, 술은 1/2컵-l컵이었다. 만드는 방법에서 임실과 전주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밀가루에 참기름을 섞어 체에 내린 후 나머지 재료들을 넣어 반죽하였고, 임실지역과 전주지역에서는 액체재료를 먼저 섞은 다음 밀가루와 함께 섞어 손쉽게 반죽하였다. 2. 약과의 경도측정의 결과는 익산약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임실, 대조군, 정읍 약과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주의 경도가 낮았다. 또한 각 약과별로 사용한 즙청의 종류가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즙청 전과 즙청 후의 경도는 동일한 순서로 나타나서 즙청 종류보다는 약과재료의 조성이 약과의 경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약과의 관능평가 결과에서 표면색은 익산약과가 가장 높게 나왔고 윤기는 임실과 대조군이, 터진 정도, 부드러운 맛, 단맛, 기름 맛에서는 전주약과가 가장 높게 나왔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전주약과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 PDF

대학 교직원 식당에서의 식단중심요리의 다양성 (Diversity of Main Dishes of Menus at University Faculty Cafeterias)

  • 김석영;박미연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1권4호
    • /
    • pp.320-332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in dishes of menus at university faculty cafeterias to understand current lunch menu trends. A sample of 1040 menus was collected from Internet homepages of 52 universities between March and May, 2014. The main dishes of menus were categorized into six groups based on main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The most frequently served main dish ingredient was pork followed by fish/seafood, and poultry. Pork dishes and chicken dishes were mainly roasted, pan fried, or deep fried with various carbohydrate ingredients to bulk them up. Large amounts of chili pepper, corn syrup, and oil were added to improve the bland flavor of these dishes, which contain starchy ingredients. In contrast to pork dishes or chicken dishes, 40.2% of beef dishes was served in a more traditional way as soup. Fewer kinds of fish or seafood were used, and the cooking methods also lacked diversity. In conclusion, main dish menus at university faculty cafeterias have undergone changes in terms of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Meat dishes cooked using traditional methods are becoming less common, especially for pork and chicken dishes, which are quite sweet, salty, and spicy. Extensive use of carbohydrate ingredients was found in some meat dishes and side dishes in one-dish meals.

여대생의 당류 섭취와 비만 지표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otal Sugar Intake and Obesity Indices in Female Collegians)

  • 이영미;배윤정;김은영;연지영;김명희;김미현;이지선;조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57-63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ugar intake and obesity indices in 362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anthropometric checkup and 3-day dietary records. Subjec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otal sugar intake as < 33.3 g (group I, n = 90), 33.3-56.1 g (group II, n = 91), 56.1-83.8 g (group III, n = 91), ${\geq}$ 83.8 g (group IV, n = 90).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BMI), or the percentage of body fat were observed among the four groups. Based on BMI, 20.2% were overweight,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was > 30% in 67.1% of all students sampled. Energy intake in each groups was 1,164.7 kcal, 1,488.6 kcal, 1,590.0 kcal, and 1795.8 kcal, respectively (p < 0.001). Total sugar intake in the groups was 20.5 g, 44.6 g, 68.3 g, and 111.8 g, respectively (p < 0.001). Carbonated beverage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food source for total sugar intak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next major foods were ice cream, milk, coffee, fruit, sugar, cookies, bread, chocolate, corn syrup, rice, onion, maple syrup, pickle, and sweet potato. As intake of total sugar increased, intake of energy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Mean daily intakes of fat and calcium/1,000 kca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V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Mean daily intakes of vitamin C and vitamin E/1,000 kca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I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consumed nutrients below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was less in the higher total sugar intake group than that in the lower intake group. The obesity indices (weight, BMI, % body fat) were not associated with total sugar intake in the subjects. We conclude that total sugar intake does not seem to influence obesity indice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종합병원 직원의 기호도 조사 (A Survey of Food Preferences of Employees in Hospital)

  • 백지원;강옥수;이혜진;조영연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7권4호
    • /
    • pp.385-396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menu preferences of frequently served set menu of the staff working at Samsung Medical Center. The frequently served set menus were 72 menus including 23 Korean meals, 12 bowel of rices, 18 noodles, 10 soups, 6 fried rices, 3 western me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24 staffs who works at Samsung Medical Cent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ers : The subject group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23% males and 58% females, 80% of subjects are twenties and thirties. The best preferred menu was fried food 4(boiled rice with assorted mixtures, boiled quail egg). And noodles 8(cold buckwheat noodles, fried mung-beans), noodles 2(buckwheat noodles, fried vegetable), Western meals 3(hamburg steak, steamed dumpling), noodles 18(rice-cake dumping soup, fried sweet potato with sugar syrup) were preferred by the subjects. The worst preferred menu was soups 4(loach soup, fried sea food and welsh onion). In the preference each kinds of set menus, Korean meals 3(soup to relive the hangover with pollack, grilled meat, lettuce, fruit salad, Kimchi, ice tea) was the most preferred of the Koreans meals, bowel of rice 8(omelet containing fried rice, chicken salad) of the bowel of rices, noodles 8(cold buckwheat noodles, fried mung-beans) of the noodles, soups 3(spicy beef soup, chicken salad) of the soups, fried rice 5(boiled rice with assorted mixtures, boiled quail egg). There was no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in the menu preferences except 7 menus. There was significant age difference in the 17 menu preference, the younger age subjects were the better like noodles.

  • PDF

아동의 기호도와 식습관에 관한 조사연구 ( II ) (A study en the preference and food behavior of the children in primary school foodservice II)

  • 이원묘;방형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권1호
    • /
    • pp.69-80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ood preference trends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age increase and change of the times. The subjects were 1,450 children who are fifth grade of primary school and 2,000 juveniles who are senior high school in 1993. This survey data were compared with the Food preference study of the primary school aged children in 1987.'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tate of the general taste The subject had a high preferences to bulgogi(roast beef), panbroiled cuttlefish, steamed egg, fried sausage and donuts among the all sorts of 165 principal and subsidiary foods. But, fried beef liver, pancake, sweet potato with syrup, spinach soup and boiled rice with red bean didn't suit for their taste. Compared with survey data done in 1987, in present study significantly increased preferences to steamed food, pan frying and parboiled vegetables were shown. Particularly, food preference was changed with the cooking methods rather than materials. 2. Differences of the preference according to change of the times In present study, except the rice cakes preferences to all sorts of foods were improved and markedly increased preferences to steamed food, parboiled vegetables and mixed with seasonings were observed. Compared with 87's study deviation of the preference to cooking materials was decreased considerably. Preferences to salty tasted foods as like as stew and salted food were low no better than before. 3. Changes of preference according to age increase Among the principal foods, increased preferences to boiled rice and cereals were shown but to one-dish meal, bread and rice cake were decreased. Among the subsidiary foods, significantly decreased preference to frying was observed. Irrespectively of the cooking methods, preferences to fish and vegetables were improved. And in the frying and panbroiled foods, deviation of preferences to cooking materials were considerable, which means the fixation of food behavior.

  • PDF

당류 및 유화제 첨가농도에 따른 찹쌀떡 저장 중 물성 변화 (Changes in the Texture Properties of Glutinous Rice Cake under Various Concentrations of Saccharides and Emulsifiers during Their Storage at 4℃)

  • 박은미;강미정;김한수;김동섭;성종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77-484
    • /
    • 2012
  • 찹쌀떡의 경화 억제 및 저장성 개선을 위하여 대규모 떡 생산업체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당류 및 유화제를 이용하여 저장 중 물성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때 유화제 및 당류의 첨가농도는 떡 생산업체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농도를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즉, 찹쌀떡에 첨가한 유화제는 에스피로 0.1, 0.5, 1%로 첨가하였고, 당류로는 설탕을 5, 10, 15%, 저당을 5, 10, 20%, 맥아당을 10, 15, 20%로 각각 첨가하여 찹쌀떡을 제조한 뒤 $4^{\circ}C$에 저장하면서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스피 첨가농도는 0.5%일때, 설탕 첨가농도는 15% 일때, 저당 첨가농도는 20%일때, 맥아당 첨가농도는 10% 일때 저장기간에 따른 물성 변화가 완만하게 일어나고 찹쌀떡의 경화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년초 젖산 발효액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 (Development of Jelly Fortified with Lactic Acid Fermented Prickly Pear Extract)

  • 손민정;황기;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08-413
    • /
    • 2005
  • Glucomannan과 κ-carrageenan을 혼합하여 액상과당, 해조칼슘, 유기산,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 발효액을 첨가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발효액은 pH 3.12, 적성산도 1.15%(lactic acid, v/v), 2.7×10/sup 9/CFU/mL의 젖산균을 포함하며 L값 19.6, a값 12.3, b값 1.4를 나타내었다. 젤리 제조시에 백년초 발효액을 4%첨가하였을 때, 견고성은 약간 낮지만 탄력성이 높은 부드러운 젤리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젤리의 색과 맛에서도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유기산 중 citric acid를 0.25%(v/v) 첨가했을 때 견고성과 탄력성이 좋은 젤리를 형성한 반면, ascorbic acid를 0.25%(v/v) 첨가했을 때는 푸딩과 같은 부드러운 젤리가 형성되었다. κ-carageenan농도에 따른 젤리의 제조에서 0.75%의 κ-carrageenan을 첨가했을 때 젤리의 견고성과 brittleness가 높았고, 0.9% 첨가시에는 오히려 젤리의 견고성이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0.25%의 citric acid와 30%의 액상과당을 함유하며 0.15%의 glucomannan과 0.6% 또는 0.75%의 κ-carrageenan을 혼합한 젤리의 전반적인 선호도가 높았다.

단수수(Sorghum vulgare PERS) 품종의 생태변이 및 유용형질의 유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cological Variation and Inheritance for Agronomical Characters of Sweet Sorghum Varieties (Sorghum vulgare PERS) in Korea)

  • 손세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0권
    • /
    • pp.1-43
    • /
    • 1971
  • 실험 I. : 본 실험은 단수수에 대하여 재배시기를 이동함에 따르는 실용 제형질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1968~1969년까지 2개년에 거쳐 작물시험장 특용작물 연구실(수원)에서 시행되었으며 품종은 조만생, 초형, Syrup형, Sugar형 등 생태적 특성을 달리한 17개품종이 공시되었으며 묘종기 양년 모두 4월 5일부터 8월 25일까지 20일 간격으로 8회에 걸쳐 파종하여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기(발아일수)는 파종기를 앞당겨 저온하에 파종하면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가 많고 파종기가 늦어서 기온이 상승됨에 따라 발아 일수가 직선적으로 단축되다가 8월 25일 이후의 파종부터는 다시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발아기간의 일평균온도와 발아일수간에는 높은 부상관관계가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발아일수와 적산온도간에는 고도의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2. 파종기의 지연에 따라 출수일수는 거의 직선적으로 단축된다. 공시된 품종간에 평균출수일수차는 30.2일이란 큰 차이가 있었다. 이들을 10일간격으로 조, 중, 만생군으로 구별하면 조생군은 평균출수일수가 78.5$\pm$4.5일범위에 속하고 중생군은 88.5$\pm$4.5일, 만생군은 98.5$\pm$4.5일로 되었다. 출수단축한계 종종기는 조생군이 제VI-VII파종기인 7월 15일$\pm$8월 5일까지이고 중생군은 제VI파종기인 7월 15일까지, 만생군은 제IV파종기인 6월 5일까지이었다. 3. 파종기(x)와 출수까지의 일수(y)와의 회귀직선식 y=a+bx의 손수(출수까지의 일수의 단축율)와 평균출수까지의 일수와는 고도의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4. 파종에서 출수기까지의 생육경과에 있어서 일평균기온이 높을수록 출수일수가 단축되어 조생종은 24.2$^{\circ}C$에서, 중생종은 23.8$^{\circ}C$에서, 만생종은 22.9$^{\circ}C$에서 최대단축율을 보이었고 따라서 출수전 30일간의 평균기온이 약 22$^{\circ}C$부터 $25^{\circ}C$에 이르기까지 가속적으로 출수소요일수가 단축되다가 그뒤 약 21$^{\circ}C$이하가 됨에 따라 다시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5. 초장의 절대치는 품종간에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조파구간에는 초장에 큰 변이가 없었고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짧아졌다. 초장의 신장속도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현저하게 빨라지고 특히 조생종이 만생종보다 더욱 가속적인 경향이었다. 따라서 최고초장과 최저초장과의 절대치의 차이는 조생종일수록 적고 만생종일수록 큰 격차를 보이었다. 6. 간직경에 있어서도 만생종은 일반적으로 조기파종할수록 굵고, 조생종과 중생종은 4월 25일 파종기가 가장 굵은 편이며 이보다 파종기가 지연 가늘어지는 경향이었다. 7. 간중은 품종의 조만생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적기(4월 25일~5월 15일)보다 조기 혹은 만기 파종하면 작아지나 파종기 이동에 따른 간중의 변화는 품종의 조만성에 따라 양상을 달리하여 조생종은 4월 25일 내외, 중생종은 4월 25일~5월 15일 내외, 만생종은 4월 5일~5월 15일 내외의 파종기에서 최고수량에 달하고 이후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8. Brix 도는 품종에 따라 절대치가 다르며 또한 파종기가 5월 15일 이후로 늦어짐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되어 파종기(x)와 Brix 도(y) 간에 고도의 부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9. 출수후 40~45일경의 절간부위별 Brix 도는 상부 제 1~제3절간 부위가 최고에 달하고, 제4절간부터 서서히 낮아지다가 지상 제2절부위에 가서 다시 약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출수전까지는 이와 반대의 경향이었다. 10. 간중당분에 대한 파종기별 축적상황은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낮아지며 품종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6월하순 이후의 파종기는 당원료작물로서 거의 무가치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11. Brix도 및 간중당분은 출수기부터 축적이 시작되어 출수후 약 40~45일에 최고에 달하고 순당율도 같은 경향으로 생육의 진전과 더불어 높아져서 순당율과 Brix 도간, 순당율과 간중당분간에 각각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12. 가제당량과 파종기간의 관계를 보면 중생종과 만생종은 4월 25일, 중생종은 5월 15일 파종기가 최고에 달하고 이보다 파종이 지연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으로 파종기(x)와 가제당량(y)사이에 1% 이상의 높은 부의 상관을 보았다. 13. 파종기 및 제형질간의 상호관계를 보면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발아일수, 발아기간의 적산온도, 출수일수, 출수일수까지의 적산온도, 초장, 간직경, 간중, Brix 도, 간중당분, 순당율, 가제당량 등은 모두 고도의 부상관 및 회귀관계이었고 출수일수(x)와 Brix도, 당도, 순당율, 가제당량, 초장, 간장(y)등 간, Brix 도(x)와 순당율, 가제당량, 간중(x)과 가제당량(y)간, 또한 출수시의 일장(x)과 Brix 도, 출수일수, 당도, 순당율, 가제당량(y) 등 간에는 고도의 정상관을 인정할 수 있었다. 실험 II: 실험 I에 공시된 품종중에서 생태 및 유전적으로 다른 11품종만을 이면교배법에 의하여 교잡된 F$_1$ 및 교배친의 출수기, 간장, 간중, Brix 도 및 Syrup yield 등에 대하여 우성정도, 교배조합능력 및 유전분석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조, 만숙방향으로 완전 혹은 초월우성인 특정조합이 있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중간성 및 부분우성이었고 GCA 및 SCA가 높은 특정조합친을 인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출수에 관여하는 유전인자의 분배비는 50:50으로 추정되었으며 유전력도 높아서 초기세대부터 선발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2. 간장은 잡종강세도가 높았으며 장간의 방향으로 초월성인 특정조합도 있으나 완전 혹은 부분우성으로 추정된다. GCA 및 SCA는 일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관여된 우성 및 열성유전자는 거의 50:50으로 분배되며 유전력은 낮았다. 3. 간중은 대부분 정의 방향(다수)으로 완전우성에 가까운 부분우성으로 작용하나 특정조합에 따라 초월우성인 것과 부분우성인 것이 있었다. GCA와 SCA는 비교적 높은 교배친을 인정할 수 있으며 유전자의 작용방향은 열성유전자가 많이 관여되고 복잡한 분리가 일어날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력은 비교적 낮았다. 4. Brix 도에 대한 우성정도 및 방향은 교배조합에 따라 고 Brix 및 저 Brix로 나타났으나 일반적으로 초우성 내지 완전우성으로 나타났고 GCA 및 SCA는 Brix 도가 높은 품종일수록 높은 경향이므로 고당성 육종에는 역시 높은 당분함량을 가진 교배친이 유리할 것으로 추정된다. 5. Syrup 종에 대한 우성정도는 많은 방향으로 초월 혹은 완전우성으로 추정되며 잡종강세도는 대단히 높았다. GCA와 SCA의 관계는 일정하지 않으며 GCA가 높은 품종은 SCA가 낮은 경향이었다. 교배친의 우성대립인자 대 열성대립인자의 빈도는 거의 동수로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