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et syrup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8초

단감 저상품과와 팥을 이용한 앙금 제조 (Processing of Paste by Combining Low Quality Sweet Persimmon and Red Bean)

  • 최윤희;김은미;조용식;박신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73-578
    • /
    • 2011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value of low quality sweet persimmon by processing paste by combining low quality sweet persimmon and red-bean. In order to make sweet persimmon paste containing red-bean,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executed : 1) the sweet persimmon was cleaned by water 2) the fruit stalk was removed 3) it was peeled, sliced, pitted and crushed 4) steamed and peeled red-bean paste was mixed 5) sweetening materials(starch syrup, sugar and dextrin) and salt were mixed 6) boiled and stored in refrigerator. Sweet persimmon was peeled, stem and seed was removed to make the paste. When mixing sweet persimmon paste and red-bean paste in the ratio of 6 : 4, sensory point of taste and overall desirability were higher than mixing in 5 : 5 and 4 : 6 but texture was lower. The sweet persimmon paste containing red-bean was softened and the sugar content was increased from 41.4$^{\circ}$Brix to 53.1$^{\circ}$Brix when 10% dextrin was added. The overall sensory evaluation was higher in sweet persimmon paste containing red-bean than commercial red-bean paste when 10% dextrin was added. The overall desirability also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Even though finding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weet persimmon powder with red-bean paste increased in texture and overall desirability compared with commercial red-beans paste. Sweet persimmon powder paste containing red-bean significantly decreased in flavor, color, taste and overall desirability compared with sweet persimmon paste containing red-bea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best combination for the quantity of sub-materials to make sweet persimmon paste was 600g of sweet persimmon, 400g of red-bean, starch syrup 120g, sugar 60g, salt 4g and dextrin 100g.

감미료의 종류를 달리한 치아씨 첨가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asik added with Chia Seed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Sweetener)

  • 김자경;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5-103
    • /
    • 2017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healthier sweeteners for brown rice Dasik with chia seed powder. The quality feature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tested for brown rice Dasik with chia seed powder added with five different sweetene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asik (DS)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and starch syrup received the highest scores on moisture content tests. The results from hardness tests identified the DS with agave syrup as the hardest, and the results from the adhesiveness test verified that the DS with agave syrup as well as the DS with starch syrup produce the most adhesive DS. The results of the springiness test show that the DS with starch syrup has higher springiness than other sweetners. The highest score for the chewiness and cohesiveness tests was the DS with starch syrup, while the DS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received the highest score on the gumminess test. The results of the chromaticity measurement test found that the DS with starch syrup showed the highest score of 'L' and the lowest score with fructo-oligosaccharide. In addition, the highest score of 'a' was DS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and the lowest score of 'b' was the DS with starch syrup. The results of sugar content displayed that the DS with starch syrup was the highest and the DS with fructo-oligosaccharide was the lowest score.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verified that color did not influence evaluators' preference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sweet flavor test found that the DS with honey and the DS with agave syrup had the most preferred by participan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five different sweeteners from the sweet taste test. Furthermore, the DS with agave syrup received the highest score while the DS with agave syrup scored the lowest from the hardness preference test. General preference evaluation identified the highest score with the addition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lowest score with the addition of isomalto-oligosaccharide. Thu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the meaningful results to demonstrate the DS with fructo-oligosaccharide is the most suitable sweetener to manufacture brown rice DS added by chia seed powder, and this result will help marketers with creating meaningful strategies and with developing similar products using chia seed powder.

마카 추출액 첨가에 따른 시럽의 품질특성과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yrup Added with Maca (Lepidium meyenii) Extract)

  • 정해정;박한나;추영란;전인숙;강용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6-242
    • /
    • 2010
  • 음료 베이스용 시럽을 개발하기 위하여 마카 추출액을 다양한 수준(0%, 7%, 14%, 21%, 28%)으로 첨가하고 품질 특성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pH는 대조군보다 첨가군이 낮았고 시럽의 당도는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점도는 마카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마카 추출액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b값은 증가하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 향, 단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면에서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마카 추출액을 28%까지 첨가하여 시럽을 제조하여도 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마카 시럽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마카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28%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DPPH radical 소거능과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역시 마카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감을 이용한 조청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Jochung with Sweet Persimmons)

  • 배성문;박강주;신동주;황용일;이승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88-91
    • /
    • 2001
  • 단감의 이용성 중대를 위하여 단감을 첨가한 조청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55^{\circ}C$에서 행한 당화공정에서 1시간 간격으로 엿기름의 amylase의 역가를 측정한 결과 당화 3시간째에 효소의 역가가 10,466 Unit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당화과정이 끝나는 배양 4시간에서의 amylase의 활성은 7,000 Unit이었다. 반면, 당화 초기에서는 낮은 효소활성을 보였는데, 이것은 초기의 당화액의 온도가 낮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단감 첨가에 따른 조청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단감 첨가 비율별(멥쌀 : 단감; 10 : 0, 7 : 3, 5 : 5, 3 : 7)로 시료를 제조하여 가용성 고형분함량, 환원당량(maltose함량), HPLC를 이용한 유리당 함량을 측정하였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단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단감 무첨가 조청에서 $58^{\circ}Brix$로 가장 높을 값을 보였고, 환원당량값과 유리당의 함량에 있어서도 단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간이 감소하였지만 감소량이 크지는 않았다. 관능검사에 있어서는 단감 첨가량이 가장 맡은 시료구(멥쌀 : 단감; 3 : 7)에서 전체 항목에서 좋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 PDF

감미료의 종류를 달리한 데리야끼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riyaki$ sauce Added with Different Sweeteners)

  • 송청락;김은실;김현아;김용식;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7-205
    • /
    • 2012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데리야끼소스에 설탕을 대신 할 저열량 감미료로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아가베시럽, 스테비오시드을 선정하였다. 설탕과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아가베시럽, 스테비오시드을 첨가하여 데리야끼소스를 제조한 후 수분과 점도를 측정한 결과 스테비오시드를 첨가한 것의 수분 함량이 가장 작았고 점도는 가장 높았다. 설탕과 자일리톨을 첨가한 소스의 당도가 같고 염분을 가장 낮았다. pH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자일리톨을 첨가한 소스는 관능검사 결과 단맛, 간장의 향, 맛, 감칠맛에서 다른 감미료보다 선호되어 데리야끼소스에 자일리톨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분당 종류에 따른 흑임자다식의 품질 특성 (Effects of Corn Syrup with Different Dextrose Equivalent on Quality Attributes of Black Sesame Dasik, a Korean Traditional Snack)

  • 김현정;전향숙;김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414-1417
    • /
    • 2004
  • 제조 직후 및 2개월 저장된 흑임자다식의 관능 특성과 기계적 조직감 분석 결과 경도 증가를 포함한 조직감의 변화, 윤기 및 고소한 맛의 감소 등이 저장에 의한 흑임자다식의 대표적인 품질 저하 인자로 조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도당 당량(dextrose equivalent, D.E.)이 다른 4종류의 전분당을 이용하여 흑임자다식을 제조한 후 $25^{\circ}C$에서 4주 저장하면서 기계적 조직감, 관능 특성을 분석한 결과 높은 DE 전분당 또는 올리고당을 사용함으로써 고소한 냄새와 맛을 제외한 외관, 맛, 조직감 항목에서 저장에 의한 흑임자다식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막걸리 제조시 술덧의 성분동태에 관한 연구 1 (Studies on chemical components of fermented maeh in the brewing of Maggerley (Korean wine))

  • 이성범;장원길;임병종;김덕치
    • 미생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3-158
    • /
    • 1969
  •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substitute sweet potato for wheat flour as the brewing material of Maggerley(Korean wine) in order to save precious wheat flour which is now consumed as the sole material in it. In this study, the fermenting mash material has been prepared with combination of wheat (KIorean wine) as a first step of sabing wheat flour consuming. The combination ratio of wheat flour and sweet potato starch in mashing, in this experiment, are such as mashing plot of 100% wheat flour (No.3 plot), 50% wheat flour plus 50 % of sweet potato starch (No.2plot), 30% wheat flour plus 70% starch syrup of sweet potato (No. 4 plot), and 60% wheat flour plus sweet potato starch (No. 1 plot). The results of fermentation and chemical components of each mash in experimental plot are as following : 1. Alocholic fermentation was most vigorous in No.4 plost among them, the next are in order to hydrolyze and break down the protein sourece to glucose and amino acid, the new enzymic source were added in experimantal amsh before putting yeasts, those enzymic sources have been developed and prepared in this laboratory No.4 and No.2 plot at same degree. Generally, the activities of alcholic fermentation of all plots are vigorous and fair. The acidity of each fermented mash is in the rangw of 3.7-4.8. 2. Amounts of amino acids in fermented mash are in the range of 145 mg per 100 ml and 158 mg for all experiments, and these amounts are much more than those of present commerical Maggerley. However, the amount of it in the No.4 plots is much less among the m, this is due to the lack of protein source in starch syrup. 3. Amounts of organic acids in fermented mash are in the range of 0.44g per 100ml and 0.62g, these amounts are generally much more than those of the present commercial Maggerley. 4. The result of sensory test for the experimental Maggerley shows good taste and flavour in comparison with those of commercial Maggerely. 5. It is proved that these experimental fermentation of Maggerley is succesful in the partial substitution of sweet potato starch potato starch for wheat flour, and it is also be able to make a good Maggerley in all aspects of quality.

  • PDF

Caramel 색소(色素)의 원료대체(原料代替)에 관(關)한 연구(硏究) - 당액(糖液) 및 촉매(觸媒)의 종류(種類)가 Caramel의 성상(性狀)에 미치는 영향(影響) - (Studies on the replacement of raw materials for caramel coloring. - The effects of syrups and catalysts on the properties of Caramel coloring -)

  • 김성열;장규섭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105-119
    • /
    • 1976
  • Caramel 색소(色素)의 원료(原料) 대체(代替)를 위(爲)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자당(蔗糖), 포도당(葡萄糖), 전분당화액(澱粉糖化液) 및 전분질원료당화액(澱粉質原料糖化液)을 여러 가지 촉매하(觸媒下)에서 Caramel화(化) 시킨 다음 그 제품(製品)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Sucrose syrup에 pH3.5가 되도록 산(酸)($H_2SO_4$)을 가(加)한 다음 Caramel화(化)하면 색력(色力)이 비교적(比較的) 강(强)하고 색조양호(色調良好)하며 내식염성(耐食鹽性), 내(耐)Tannin성(性) 및 내(耐)Alcohol성(性)이 강(强)한 품제(品製)이 되었다. 2. Sucrose syrup에 pH9.5가 되도록 Alkali($Na_2CO_3$)를 가(加)하여 Caramel화(化)한 제품(製品)은 색력(色力)이 매우 강(强)하나 적미(赤味)가 약간(若干) 떨어지며, 내(耐)Alcohol성(性)이 강(强)하였으나 내염성(耐鹽性) 및 내(耐)Tannin성(性)이 약(弱)하였다. 3. Sucrose syrup에 $NH_4Cl$$(NH_4)_2SO_4$와 같은 Ammonium의 강산염(强酸鹽)을 가(加)하여 Caramel화(化)하면 색력(色力)은 매우 강(强)하나 적미(赤味)가 부족(不足)하고 안정성(安定性)이 대단(大端)히 약(弱)한 제품(製品)이 되었으며 $(NH_4)_2CO_3$$(NH_4)_2SO_3$와 같은 Ammonium의 약산염(弱酸鹽)을 가(加)하였을때에는 색력(色力)이 비교적(比較的) 강(强)하고 색조양호(色調良好) 하며 내염성(耐鹽性) 및 내(耐)Alcohol이 강(强)하였으나 내(耐)Tannin성(性)은 약(弱)하였다. 4. Glucose syrup에 pH9.5에 달(達)하도록 Alkali($Na_2CO_3$)를 가(加)하여 Caramel화(化)하면 색력(色力)을 매우 강(强)하나 적미(赤味)는 떨어지고 내염성(耐鹽性) 및 내(耐)Alcohol은 강(强)하였으나 내(耐)Tannin성(性)은 약(弱)한 제품(製品)이 되었다. 5. Glucose syrup에 각종(各種) Ammonium염(鹽)을 첨가(添加)하고 Caramel화(化) 시켰을 때 $NH_4Cl$구(區)는 색력(色力)이 극(極)히 약(弱)하고 색조불량(色調不良)하며 내(耐)Tannin성(性)도 약(弱)한 제품(製品)이 되었으나 $(NH_4)_2CO_3$, $(NH_4)_2SO_4$, 및 $(NH_4)_2SO_3$ 구(區)는 모두 색력(色力)이 매우 강(强)하였으나 적미(赤味)는 떨어지고 내(耐)Tannin성(性)도 약(弱)하였으나 $(NH_4)_2SO_3$구(區)는 내염성(耐鹽性) 및 내(耐)Alcohol성(性), $(NH_4)_2SO_3$구(區)는 내(耐)Alcohol성(性), $(NH_4)_2SO_4$구(區)는 내염성(耐鹽性)이 강(强)하였다. 6. 각종전분(各種澱粉)의 산당화액(酸糖化液)을 산성하(酸性下)에서 $(NH_4)_2SO_4$를 첨가(添加)하여 Caramel화(化) 하였을 때 감자 전분당화액구(澱粉糖化液區)가 색력(色力)이 가장 강(强)하여 Glucose Caramel의 그것과 비숫한값(2.385)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이 고구마 전분당화액구(澱粉糖化液區)(1.665)이고 옥수수 전분당화액구(澱粉糖化液區)의 색력(色力)(0.90)이 가장 약(弱)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내염성(耐鹽性)이 강(强)하고 내(耐)Tannin성(性) 및 내(耐)Alcohol성(性)이 약(弱)하였다. 7. 건조(乾燥) 분쇄(粉碎)한 고구마, 도토리, 및 굴발분말(粉末), 물로 7일간(日間) 추출(抽出), 경사(傾斜)시키거나 50% Alcohol 용액(溶液)에 24시간(時間) 추출과정(抽出過)한 도토리 및 굴밤분말(粉末)을 전분당화시(澱粉糖化時) 동일방법(同一方法)으로 산당화(酸糖化)시킨 다음 Caramel화(化)하여 그 제품(製品)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거의 대부분(大部分) 색력(色力)이 약(弱)하고 적미부족(赤味不足)하며 안정성(安定性)도 매우 떨어져, 전분(澱粉)의 분리(分離), 정제(精製), 또는 당액(糖液)의 정제(精製)가 선행(先行)되어야 할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보리당화액을 첨가한 시럽의 제조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yrup made with Saccharified Barley Liquid)

  • 김지현;조은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42-254
    • /
    • 2015
  • 본 연구는 가공식품 원료로서 보리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보리시럽 제조에 필요한 보리당화액 제조의 최적조건을 규명하고, 보리당화액을 첨가한 보리시럽을 제조하여 품질특성 분석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겉보리를 발아시킨 엿기름 첨가량을 10%(BM10), 20%(BM20), 30%(BM30)로 하고, 찰보리와 혼합하여 보리당화액을 제조하고, 당화온도는 $50^{\circ}C$, $60^{\circ}C$, $70^{\circ}C$, 당화시간을 1~8시간으로 조건을 달리하여 엿기름 당화의 제조조건을 규명하고자 엿기름물의 시간대별 pH 변화와 당도를 시간대별로 측정한 결과는 $60^{\circ}C$에서 5시간이 적합하였다. 엿기름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60^{\circ}C$에서 5시간 당화시킨 보리당화액 BM10, BM20, BM30에 올리고당과 레몬액을 각각 첨가하고, $65^{\circ}C$에서 1시간 동안 중탕 제조한 보리시럽의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당도는 BMs30의 당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도를 측정한 L값은 엿기름 첨가량이 많은 보리당화액으로 제조한 보리시럽일수록 감소하였고, a값과 b값은 엿기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BMs3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리시럽의 점도와 pH를 측정한 결과는 엿기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BMs3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리시럽의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당도, 점도,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보리에 대한 고정관념과 보리시럽을 기대하고 예상하는 맛이 있어 모든 평가 항목에서 BM20으로 제조한 보리시럽 BMs20이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엿기름 첨가량 20%(BM20)를 첨가하여 $60^{\circ}C$에서 5시간 동안 당화한 최적의 보리당화액으로, $65^{\circ}C$에서 1시간 동안 중탕하여 제조한 당도 $60^{\circ}Brix$ BMs20이 음료베이스용 시럽 및 디저트용 시럽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보리 및 보리가공품 실용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쌍화음료 저열량화를 위한 감미료의 관능적 특성(I);아스파탐, 아세로설팜 칼륨, 효소처리 스테비아의 상대 당도 및 쌍화음료에서의 관능적 특성 (Sensory Properties of Low Calorie Ssanhwa Beverages Containing Sweetener(l);Relative Sweetness and Sensory Properties of Ssanghwa Beverages Sweetened with Glucosyl Stevia, Acesulfame-K and Aspartame)

  • 백숙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0-196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id the development of a reduced-calorie ssanghwa beverage, by using substitutes for high fructose com syrup(HFCS). The relative sweetness levels of HFCS, aspartame, acesulfame-K, and glucosyl stevia solutions were examined in comparison to a 10% sucrose solution in a binary solution model. And the sensory properties of ssanghwa beverages containing aspartame, acesulfame-K, and glucosyl stevia were evaluated at the equi-sweetness to HFCS. In the binary solution model, the relative sweetness of HFCS to sucrose was 0.8, while the values for aspartame, acesulfame-K, and glucosyl stevia were 140, 170, and 100, respectively. Sweet taste and sweet after tas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HFCS, aspartame, acesulfame-K, and glucosyl stevia solutions. On the other hand, bitter taste, first taste, and overall eating qua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HFCS and aspartame solutions and between the acesulfame-K and glucosyl stevia solutions. Finally, the ssanghwa beverages sweetened with HFCS, acesulfame-K, and aspartame only had slight differences in sensory properties. However,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beverages sweetened with HFCS and glucosyl stevia,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