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ival in seawater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2초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장거리 수송을 위한 적정 수온 및 염분 조건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 of live container for long distance transport in liv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양성진;명정인;박정준;신윤경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3-370
    • /
    • 2014
  • 북방전복을 활어상태로 장거리 수송에 적합한 수온 및 염분의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온 및 염분 별 생존율, 산소소비율의 생리적리듬 및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10^{\circ}C$$8^{\circ}C$에서는 모든 염분에서 생존율이 96-100%로 폐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6^{\circ}C$$4^{\circ}C$의 경우 염분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북방전복의 염분내성농도는 24.9 psu (Shin et al., 2011) 으로 염분 25 psu 이하는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염분이므로 저수온과의 복합 영향을 고려해볼 때 수송조건에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북방전복의 24시간 동안 산소소비율의 일주리듬은 일반해수와 염분 $30{\pm}0.5psu$에서 수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염분 및 수온 별 산소소비율은 모든 염분에서 수온이 하강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일반해수에 비해 $30{\pm}0.5psu$에서 산소소비율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북방전복 발상피와 근육의 조직학적 지표는 염분 $30{\pm}0.5psu$이하와 수온 $6^{\circ}C$이하의 복합구에서 상피층의 두께 감소 또는 혈림프동 확장 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북방전복의 장거리수송을 위한 수온의 적정범위는 $8-10^{\circ}C$, 염분은 $30{\pm}0.5psu$이상으로 여겨진다.

사육수의 급격한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 (Mugil cephalus)와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an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Rapid Changes in Salinity of Rearing Water)

  • 장영진;허준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0-316
    • /
    • 1999
  • 염분변화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성장 및 생존율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해수와 담수에서 광염성 어류로 알려진 숭어와 틸라피아를 재료로 급격한 염분변화 조건에서 어체의 생리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숭어의 코티졸 농도와 글루코스 농도는 해수사육과 담수사육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틸라피아는 해수사육에 따른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숭어의 $Na^+,\;Cl^-$$K^+$ 농도는 실험개시시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틸라피아는 해수사육에 따른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숭어의 삼투질농도는 293.5$\~$335mOsm/kg 범위를 보였다. 틸라피아는 해수사육 3일째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생존율에 있어 숭어는 $96.5\%$를 보였고, 틸라피아는 해수사육 3일만에 전량 폐사하였다.

  • PDF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 정자의 냉장보존 (Cold Storage of Sperm in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 장영진;고강희;임한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81-386
    • /
    • 1997
  •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various diluents in cold storage on the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sperm. Various diluents of glucose, L. yokohamae serum, marine fish Ringer's solution, sodium citrate and Ca2+ free artificial seawater (ASM) (tris-HCI, pH 7.4) containing 3 mM ethylene glycol-bis (2-aminoethyl ether) tetraacetic acid (EGTA) were used to store the sperm at 4℃. The storage effect was evaluated using motility index and survival rate of sperm. Glucose and sodium citrate were found to be better diluents which maintained high motility and survival rate of sperm for a storage period of 10 days. Some morphological changes of spermatozoa were observed during the cold storage with diluents. In particular, a detachment of the nuclear enveloped and of the plasma membrane from the nucleus in spermatozoa was observed. Morphological normality of the stored spermatozoa diluted with 0.3 M glucose was better than that of the stored spermatozoa undiluted or diluted with Ca2+ free ASW containing 3 mM EGTA.

  • PDF

Preservation of Marine Heterotrophic Bacteria by Using a Deep-freezing Method

  • Park, Shin-Hye;Lee, Hyun-Sang;Lee, Hong-Kum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3호
    • /
    • pp.240-243
    • /
    • 2001
  •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and suspending solutions on the preservation of marine heterotophic bacteria was investigated. Six halotolerant and four halophilic bacterial isolates suspended in either distilled water or artificial seawater were preserved in glycerol and dimethylsulfoxide at -70$\^{C}$, respectively. After one year of preservation, the recovery rates on the appropriate agar plates were estimated. The survival rate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strain tested, regardless of the preservation conditions tested.

  • PDF

염분변화에 따른 붉바리(Epinephelus akaara)와 대왕붉바리 (E. bruneus ♀×E. lanceolatus ♂)의 성장, 생존 및 스트레스 반응 (Effects of Salinity on the Growth, Survival and Stress Responses of Red Spotted Grouper Epinesphelus akaara and Hybrid Grouper E. akaara ♀ × E. lanceolatus ♂)

  • 임상구;한상범;임한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12-619
    • /
    • 2016
  • In this study, we crossbred Epinephelus akaara and E. lanceolatus to produce a hybrid grouper with faster growth and adaptation to domestic aquaculture environments. The plasma cortisol and glucose levels and osmoregulation (stress response indicators) of the hybrid grouper, E. akaara ♀ × E. lanceolatus ♂, were investigated under several salinity levels (32, 24, 16, and 8 psu). The body lengths and weights of E. akaara (8.2 ± 0.1 cm, 8.3 ± 0.4 g) and the hybrid (8.6 ± 0.1 cm, 10.0 ± 0.4 g) were similar at the start of the experiment, bu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Juveniles of both E. akaara and the hybrid showed greater weight gain, specific growth, and feed conversion rate (FCR) under low salinity of 16 psu. Under the 8 psu treatment, the juvenile E. akaara all died, while the hybrid juveniles survived. Plasma cortisol levels were not affected by lower salinity in both specie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hybrid is more tolerant of low salinity than is E. akaara, although both species exhibited higher growth and FCR at 16 psu, lower than the salinity of natural seawater. Thus, juveniles of both E. akaara and the hybrid can be more effectively cultured in brackish areas or waters with salinity lower than that of seawater.

넙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TBT의 독성 (The Effect of TBT Toxicity on Survival and Growth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탁건태;김중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3-108
    • /
    • 2001
  • 해수 및 먹이생물 플랑크톤으로부터의 먹이연쇄에 따른 독성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먹이사슬 시스템을 사용하여 넙치 자어에 대한 TBTO의 독성영향을 알아보았다. 0.5ng/L 농도의 TBTO를 처리하였을 때 해수 또는 먹이생물 (Chlorella and Rotifer)만에 의한 TBTO의 넙치 자어에 대한 독성도는 거의 동일하게 큰 영향을 나타나지 않았으나, 먹이생물 및 해수 모두에 의한 영향은 독성의 상승 작용으로 크게 나타났다. 넙치 치어에 대한 급성독성 실험의 결과, 1, 10, 25, 50. 100, 250, 500 및 1000ng/L의 각 TBTO 처리 농도에 대한 반수치사시간($LT_{50}$)은 각각 230.0, 48.0, 24.0, 14.6, 9.3, 5.5, 3.0 및 1.7시간이었고, 96시간 반수치사농도 ($96hr-LC_{50}$)는 3.5ng/L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만성독성 실험은 TBTO $1\sim10 ng/L$ 농도 범위에서 실시하였다. 4개월의 장기간의 실험결과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해수와 배합사료에 TBTO를 처리한 모든 군에서 넙치 치어의 체중 및 전장은 느린 증가율을 보였다. 만성적 독성 영향은 1 ng/L의 농도에서는 침지식과 습식에 따른 넙치 치어의 성장과 생존율은 유의 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P>0.05), 해수에 직접 TBTO를 처리한 5 및 10ng/L의 TBTO 농도에서는 20일 이전에 $90\%$의 넙치 치어가 사망함으로써, 먹이생물에 처리하여 공급하였을 때보다 독성영향이 크게 나타나 넙치 치어의 성장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이상의 결과를 볼 때, TBTO는 최소 5ng/L 농도 이하에서 규제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조사되어진 TBTO 평균 농도는 10ng/L이며, 선박의 출입이 잦은 항구 및 내만은 다른 유득 물질과 함께 높은 농도로 TBTO가 잔류하므로, 넙치 수정란 및 먹이생물이 생존 가능한 농도 이하로 TBTO의 사용을 규제해야 될 것이다.

  • PDF

알지네이트 코팅 Miamiensis avidus (Ciliophora: Scuticociliatida) 경구백신의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 대한 효능평가 (Efficacy of alginate microsphere oral vaccine against Miamiensis avidus (Ciliophora: Scuticociliatida)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 신수미;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1-321
    • /
    • 2023
  • Miamensis avidus에 대한 alginate Microsphere (Alginate MS) 경구백신의 넙치에 대한 효능을 침지와 주사경로의 공격감염으로 확인하였다. Trial 1에서는 불활화 M. avidus (IMa)와 IMa를 alginate로 코팅한 IMa+Alginate MS 를 사료와 혼합하였으며 총 5일 동안 3.75 × 106 cells/fish의 농도로 먹였다. 경구백신 투여 5주 후 침지로 공격감염했을 때, IMa+Alginate MS 그룹의 상대생존율 (RPS)은 50% (50% 해수 침지감염)와 37.5% (100% 해수 침지감염)였다. IMa 단독투여 그룹은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Trial 2에서는 항원을 2.38 × 106 cells/fish의 농도로 5일간 나누어 먹였다. 경구백신 투여 2주 후에는 복강주사로 효능을 평가하였고, IMa+Alginate MS 투여구의 상대생존율은 30.8%였으며 IMa 단독투여 그룹은 백신의 투여효과가 전혀 없었다. 경구백신 투여 종료 5주 후 50% 해수에서 침지감염으로 공격감염 한 경우 IMa+Alginate MS 투여구의 상대생존율은 42.9%, IMa 단독투여 그룹의 상대생존율은 14.3%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Alginate로 M. avidus항원을 코팅함으로써 M. avidus항원을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 넙치에 높은 방어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반폐쇄식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양식 (Culture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a Semi-closed Recirculating Seawater System)

  • 장영진;김승헌;양한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7-468
    • /
    • 1995
  • 현재 유수식 방법으로 양식되고 있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육상수조 양식에서 환수율, 월동시가온 및 양식배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양식장에 설치한 반폐쇄식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을 이용하여 1992년 2월부터 1994년 1월까지 2년 동안(실험 I , 실험II) 넘치를 사육하면서 그 실용성을 연구하였다. 실험 I에서는 평균전장 7.5cm, 평균체중 3.4g, 실험II에서는 각각 5.0cm, 1.8g의 종묘를 사용하였다. 실험 I의 사육수 용존 무기태질소량은 $NH_4-N\;0.247-0.512ppm,\;NO_2-N\;0.010-0.043ppm,\;NO_3-N\;0.108-0.342ppm$ 실험II에서는 각각 0.091-0.715ppm, 0.002-0.045 ppm, 0,007-0.277 ppm 범위에서 변화하였다. 일간섭식률은 실험 I $0.67-2.41\%$, 실험II $0.69-2.22\%$, 사료효율은 각각 $34.8-59.8\%,\;40.5-88.4\%$였다. 실험 I에서의 어체는 사육 340일만에 전장 40.0-42.8cm, 체중 695.0-852.6g으로 성장하였고, 실험II에서는 사육 365일후에 전장 36.7-39.7cm, 체중 552.4-706.4g으로 자라났다. 사육종료시 어체의 평균 생존율은 실험 $192.0\%$, 실험II $96.0\%$였다. 어체의 체표면적이 수조바닥을 덮는율(covering rate)은 넙치의 수용밀도의 지표로 활용 가능하였다. 사육시 어체의 최대 수용량은 실험 I에서 덮는율 2.2, 중량 $34.1kg/m^2$였고, 실험II에서는 각각 $2.6,\;36.3kg/m^2$였다.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은 현행의 유수식 양식시스템에 비해 양식 생산성 및 연안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도가 높은 양식방법으로 평가되었다.

  • PDF

사육수의 단계적인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Mugil cephalus) 와 틸라피아(Oreochronis niloticus)의 생리적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Grey Mullet(Mugil cephalus) and Nile Tilapia(Oreochronis niloticus) by Gradual Change in Salinity of Rearing Water)

  • 허준욱;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3-292
    • /
    • 1999
  • Physiological responses (cortisol, glucose, GPT, GOT, hematocrit, sodium, chloride, potassium, total protein and osmolality),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grey mullet and Nile tilapia were tested by the gradual salinity changes for 70 days. Three different sizes of grey mullet, small (MS, $13.3\pm1.8cm$), middle(MM, $28.9\pm3.6cm$) and large (ML, $36.0\pm2.0cm$), and three different sizes of tilapia, small (TS,$16.5\pm1.7cm$), middle (TM, $20.6\pm1.8cm$) and large (TL, $27.2\pm2.7cm$)were used. Salinity of reareing water was increased $\5textperthousand$ in every 5 days until it reached at $0\textperthousand$. The cortisol concentrations in all size groups of grey mullet were increased at both full strength seawater (SW) and fresh water (FW) at the end. The cortisol concentrations of TM and TL groups were higher in SW than FW (0 and 70 days). The GOT values of grey mullet were lower than those of Nile tilapia. The sodium concentrations of grey mullet in SW were ranged 160~184 mEq/$\ell$, while those of Nile tilapia were the highest in the SW. No mortality was observed in MM and ML groups but survival rate of MS group was 76$\textperthousand$. Overall survival rate of Nile tilapia was lower than grey mullet. Survival rate of TS, TM and TL groups were $79\textperthousand$, $29\textperthousand$ and $55\textperthousand$, respectively.

  • PDF

근대화와 김치문화 (Modernization and Kimchi culture)

  • 강정원;안주영;이하얀;최학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9-141
    • /
    • 2019
  •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which can be considered westernization, has influenced Korean folk culture. In this process the kimchi culture could be destroyed. However the kimchi culture has survived very well to da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is survival of the kimchi culture. To accomplish this, the enormous influence of modernization on kimchi culture and the cause of its successful survival was investigat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 think that the kimchi culture can survive because of the inherent system and structure. Kimchi is composed of vegetables, salt, seasoning, and salted seafood (jeotgal), which are systemized. We also described the kimchi ethnography in this region to study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eastern coast uses a different method to salt the cabbage during the production of Kimchi, namely it uses seawater to accomplish this. Additionally, pollak broth is used instead of jeotgal. However nowadays the regional uniqueness of kimchi culture has greatly disappeared in large part, and Korean kimchi is standardized in this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