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rogate foster hom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가정위탁서비스의 보호형태별 특성과 위탁아동의 적응에 관한 요인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Foster Care Types and Factors of the Adjustability for the Foster Children)

  • 양심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131-148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family foster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s of foster parents-surrogate, kin, general parents and predicting factors of foster children's adjustability to new environment. Participants were 618 cases of foster parents in 17 areas of the country through stratified sampling. It was found that the surrogate foster parent, tends to be older, received less education, has lower income, and is in poor health, as opposed to kin parents or general foster parent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foster parent's age, living arrangement, income, education, consideration of foster child, and the periods of foster care experience as well as child's sex, contact of biological parents on emotional, behavioral, and family relational adjustment of the foster children.

조부모 대리양육 아동의 장기위탁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hildren's Long-Term Boarding Care at Surrogate Foster Home)

  • 이현주
    • 아동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3-7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long term boarding care of children provided by grandparents in surrogate foster homes. Data were collected from 10 children 15 to 18 years of age by in 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from May 2007 to July 2007. Analysis of data was by the phenomenological analytic method of Giorgi(1970). Seven essential themes were extracted: (1) ambivalence about being labeled "family headed by a child," (2) recognition of the burden to grandparents with appreciation for their care, (3) resentment and yearning for parents, (4) economic hardship, (5) discord with grandparents, (6)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7) overcoming such obstacles as poor economic conditions and loneliness.

  • PDF

종합병원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 불안 및 대리양육 (Parenting Stress, Parenting Guilt Feelings, Separation Anxiety and Alternative Care in Hospital-Nurses)

  • 박윤경;이주연;임소라;장희란;강효정;김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02-3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미취학 자녀를 가진 기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을 파악하고 대리양육에 따라 이러한 변수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8월 15일부터 2014년 1월 30일까지로 대상자는 미취학 자녀가 있는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3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불안은 공통적으로 나이, 직장만족도, 양육에 대한 직장동료 및 배우자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대리양육의 만족도와 대리양육형태에 따라서도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그리고 격리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에서 출근 시 일반보육시설에 맡기거나 다른 양육자의 집에 맡기는 경우가 다른 양육자가 가정으로 와서 대리양육을 하는 경우보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이 더 많았다. 어머니의 심리적인 부담은 자녀의 양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성인력의 비중이 높은 병원 간호사의 지속적인 근무를 위해서는 양육을 지지할 수 있는 직장 내 환경개선과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양육지원 대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