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gical procedure

검색결과 1,921건 처리시간 0.031초

상악 전치부 잔존 유치와 매복 견치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 증례 보고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FTER EXTRACTION OF RETAINED DECIDUOUS TEETH AND IMPACTED CANINES: REPORT OF A CASE)

  • 유지연;김여갑;이백수;권용대;최병준;김영란;백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30-333
    • /
    • 2009
  • 저자들은 본 증례의 경우 치근이 흡수된 전치와 매복 견치의 발치 후 심한 치조골의 흡수와 연조직의 변화가 예상되는 것을 고려하여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수술을 결정하였다. 초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적은 골삭제, 보다 큰 직경과 치근형태의 임플란트를 선택하여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장골에서 채취한 망상골로 골결손부를 채우고 부가적으로 상순 지지를 위해 흡수성 차폐막과 순측 골면에 onlay형태의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자연스럽고 심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한증 환자에서의 T2 Sympathicotomy의 효과 (Hyperhidrosis Treated by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 윤용한;이두연;김해균;이교준;신화균;강정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71-174
    • /
    • 1999
  • 배경: 다한증은 젊은 나이에 0.6%에서 1%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흉강 내시경 기구의 발전으로 2 mm 내시경에 의한 다한증 치료가 가능하게 되어 수술 후 통증이나 상처에 대한 걱정 없이 수술을 시행할 수 있게되었고 또한 보상성 다한증등의 합병증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수술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훙부외과에서는 1997년 9월부터 1998년 2월까지 89례의 다한증 환자에서 2 mm 흉강경을 이용한 89례의 흉부교감 신경절 절단술(sympathicotomy)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추적 가능하였으며 평균수술시간은 30분이었으며 평균입원기간은 1일이었다. 결과: 수술후 보상성 다한증은 57례(64.0%)에서 나타났으며 생활에 불편한 정도의 보상성 다한증은 14례(15.7%) 였다.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율은 일반적인 수술방법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다한증의 정도는 훨씬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의 만족도는 96.6%에서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3.4%에서 만족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2 mm 흉강경을 이용한 T2 흉부교감 신경절 절단술(sympathicotomy)은 다한증의 치료를 위한 치료방법으로 매우 간편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되어지며 신경의 재 성장에 의한 재발등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장기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결론: 본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 병원에서는 1997년 9월부터 1998년 2월까지 2 mm흉강경을 이용하여 T2 sympathicotomy를 시행하여 다한증치료를 하였기에 임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조기위암으로 진단된 환자에서의 전복강경하 위전절제술의 초기 경험 (Totally Laparoscopic Tot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An Initial Experience)

  • 이정선;이한홍;김진조;박승만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0권1호
    • /
    • pp.26-33
    • /
    • 2010
  • 목적: 전복강경하 위전절제술(TLTG)의 방법을 보고하고 그 기술적 용이성 및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09년 9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천성모병원에서 조기위암으로 진단 받은 후 TLTG를 시행 받은 11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수술 결과 그리고 병리학적 소견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평균 $385.6{\pm}94.1$분이었고 복강 내 문합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97.5{\pm}60.0$분이었고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는 평균 47개였다. 유동식 섭취 개시 시기는 수술 후 평균 $6.1{\pm}7.6$일이었고 수술 후 재원 기간은 평균 $14.2{\pm}11.9$일이었다. 개복 수술로의 전환 예는 없었고 수술 중 합병증이 2예, 수술 후 합병증이 3예에서 발생하였으며 한 예의 수술 사망 예가 있었는데 환자는 수술 후 4일째 혈소판 수혈에 반응하지 않는 원인불명의 혈소판 감소증이 발생하여 수술 후 6일째 복강 내 출혈에 의해 사망하였다. 결론: TLTG는 기술적으로 용이하였고 비교적 안전하였다. 그러나 긴 복강 내 문합 시간과 수술 시간은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하순 및 하악골 정중열의 치험례 (MEDIAN CLEFT OF THE LOWER LIP AND MANDIBLE;A CASE REPORT)

  • 차두원;김현수;백상흠;김진수;변기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263-269
    • /
    • 2001
  • 하순 및 하악골 정중열은 매우 드문 선천성 기형으로 , 하순절흔에서부터 하악은 물론 경부, 흉부까지 연장되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정중부로의 중배엽의 침투 실패, 하악돌기의 유합부전 그리고 외부 요인들이 논의되고 있다. 치료방법 및 시기에 관해서는 임상소견이 다양하고 증례가 드물기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그러나 현재의 경향은 연조직 기형은 연하 및 발음의 기능적 장애를 예방하기 위하여 가능한 조기에 치료하며, 악골고정을 위한 강선 결찰 혹은 골이식술은 사춘기 후로 미루는 추세이다. 본 교실에서는 저작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8세 여자 환자의 임상소견에서 하악골 정중열과 하순의 수술로 인한 반흔조직 및 하순에서부터 치조골을 가로지르는 섬유성 소대 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하악의 정중열을 장골 이식을 이용 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추후 하순과 순. 설측 전정의 연조직 기형은 심미성과 기능 향상을 위해 부가적인 술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백서 두개골 부분결손시 골막 유무에 의한 골치유 양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ONE HEALING ON PARTIAL DEFECT OF CALVARIAL BONE WITH OR WITHOUT PERIOSTEUM IN RAT)

  • 송영완;조병욱;심정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746-757
    • /
    • 1996
  • Bony defects may be found as a result of congenital anomalies, traumatic injury, automobile collisions and industrial accidents in the maxillofacial area. Such conditions are often associated with severs functional and esthetic problem. Various surgical procedure has been utilized in attempts to repair and reconstruct bony defects. Bone is a complex, living, constantly changing tissue. The architecture and composition of cancellous and cortical bone allow the skeleton to perform its essential mechanical functions. Periosteum covers the external surface of bone and consists of two layers : an outer fibrous layer and an inner more cellular and vascular layer. The inner osteogenic layer or cambium layer can form new bone while the outer layer firms part of the insertions of tendons, ligaments and muscles. This study was under taken to evaluate bone healing process on partial defect of calvarial bone with or without periosteum in rat. We made calvarial defects of different size(4mm, 6mm, 8mm) with periosteum or without periosteum in rat to study the effect of defect size on healing process.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sacrified at 1, 2, 4, 6, 8 weeks, postoperatively. We examed the specimens by gloss findings, light microscophy, and fluorescent microscoph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loss findings: Control groups are larger bony defects than experimental groups after 2 weeks, and than control groups advanced healing of defected bone but experimental groups are lesser after 4, 6 weeks. After 8 weeks, bone defect has not been identified i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2. Light microscope: All defects of control groups are larger bony defects than experimental groups after 2 weeks. And than control groups show smaller defect after 4 weeks. After 8 weeks, the control group reveal pin-point sized, hardly identifiable defect space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 small, but definite defect space. 3. Fluorescent microscope : Each week, new bone formation of control group is very similar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this study, Osteogenesis of calvarial bone defects with periosteum or without periosteum was examined for 8 weeks in rats. The replaced periosteum had batter new bone formation than the removed periosteum.

  • PDF

하악 우각부 골절 시 2개의 miniplate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술에 대한 전향적 예비 임상연구 (The prospective preliminary clinical study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using 2 miniplates)

  • 양승빈;장창수;김주원;임진혁;김좌영;양병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4호
    • /
    • pp.320-324
    • /
    • 2010
  • Introduction: The placement of a single miniplate is not sufficient to achieve rigid fixation in mandibular angle fractures. It often causes difficulties in reducing the intermaxillary fixation (IMF) period. Consequently, the placement of 2 miniplates is preferable. The intraoral approach in 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RIF) of a mandibular angle fracture with 2 miniplates is often challenging. Accordingly, an alternative of transbuccal approach is performed. However, this method leaves a scar on the face and can result in facial nerve injury. This clinical study suggests a protocol that can maintain rigid fixation without a transbuccal approach in mandibular ang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7 patients who sustained fractures of the mandibular angle and treated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ORIF under general anesthesia was done using the intraoral approach. One miniplate was inserted on external oblique ridge of the mandible, and the other was placed on lateral surface of the mandibular body with contra-angle drill and driver. A radiographic assessment and occlusal contact point examination was carried out before surgery, and 2, 4 and 6 weeks after surgery. Result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80 minutes. Regarding the occlusion state,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increased after surgery. Paresthesia and infection were reported to be complications before surgery. Conclusion: The placement of 2 miniplates using contra-angle drill for ORIF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allows early movement of the mandible without IMF. We propose this approach to reduce the patients’discomfort and simplify the surgical procedure.

Clinical experience in managing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five-year appraisal in a Nigerian subpopulation

  • Braimah, Ramat;Taiwo, Abdurrazaq;Ibikunle, Adebayo;Oladejo, Taoreed;Adeyemi, Mike;Adejobi, Francis;Abubakar, Siddiq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4권3호
    • /
    • pp.112-119
    • /
    • 2018
  • Objectives: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TMJA) is a joint pathology caused by bony and/or fibrous adhesion of the joint apparatus, resulting in partial or total loss of 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between 2012 and 2016 in the northwest region of Nigeria. The data retrieved includes gender, age, etiology of ankylosis, duration of ankylosis, laterality of ankylosis, type of imaging technique, type of airway management, types of incision, surgical procedure, mouth opening, interpositional materials used, and complications. Results were presented as simple frequenci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irty-six patients with TMJA were evalua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ere 21 males (58.3%) and 15 females (41.7%), yielding a male:female ratio of 1.4:1.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5 to 33 years with $mean{\pm}standard$ deviation ($13.8{\pm}6.6years$). Thirty-five cases (97.2%) were determined to be true/bony ankylosis, while only 1 case (2.8%) was false/fibrous ankylosis. Most of the TMJA cases (16 cases, 44.4%) were secondary to a fall. In our series, the most commonly utilized incision was the Bramley-Al-Kayat (15 cases, 41.7%). The mostly commonly performed procedures were condylectomies and upper ramus ostectomies (12 cases each, 33.3%), while the most commonly used interpositional material was temporalis fascia (14 cases, 38.9%). The complications that developed included 4 cases (11.1%) of severe hemorrhage, 1 case (2.8%) of facial nerve palsy, and 1 case (2.8%) of re-ankylosis. Conclusion: Plain radiographs, with their shortcomings, still have significant roles in investigating TMJA. Aggressive postoperative physiotherapy for a minimum of 6 months is paramount for successful treatment.

성견의 외과적 치근이개부 골결손에 차폐막과 골이식재를 이용한 조직유도재생술시 치유양상 (Guided Tissue Regeneration Using Barrier Membrane and Osseous Grafts in Surgically Created Furcation Defects in Dogs)

  • 정은희;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4호
    • /
    • pp.967-987
    • /
    • 1996
  •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healing patterns of 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 using resorbable $Vicryl^{(R)}$(polyglactin 910) mesh and nonresorbable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ePTFE) membrane with or without bone grafting using autogeneous bone and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allograft(DFDBA) in the grade II furcation defects. Mucoperiosteal flaps were reflected buccally in the mandibular 2nd, 3rd and 4th premolar areas and furcation defects were created surgically by removing $5{\times}6mm$ alveolar bone in 4 dogs. Root surfaces were thoroughly debrided of periodontal ligament and cementum, and notches were placed on root surface at the most apical bone level. In the right and left mandibular quadrant, each tooth was received $Vicryl^{(R)}$ mesh(ACE Surgical Supply Co., USA) only, $Vicryl^{(R)}$ mesh with DFDBA, $Vicryl^{(R)}$ mesh with autogeneous bone grafts, ePTFE membrane($Core-tex^{(R)}$ membrane, W.L. Gore & Associates Inc., USA) only, ePTFE membrane with DFDBA or ePTFE membrane with autogeneous bone grafts. For the fluorescent microscopic examination, fluorescent agents were injected at 2, 4 and 8 weeks after surgery. Four weeks after surgery, 2 dogs were sacrificed and ePTFE membranes were removed from remaining 2 dogs, which were sacrificed at 12 weeks after surgery. Undecalcified tissues were embedded in methylmethacrylate and $10{\mu}m$ thick sections were cut in a buccolingual direction. These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stain and Masson's trichrome stain, and evaluated by descriptive histology and linear measur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Vicryl^{(R)}$ mesh group showed less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than ePTFE membrane group. 2) The combination of GTR using $Vicryl^{(R)}$ mesh and osseous grafts resulted in new attachment and new bone formation more than GTR using $Vicryl^{(R)}$ mesh only. 3) GTR using ePTFE membrane, with or without osseous grafts, enhanced periodontal regeneration. 4) Root resorption and dentoalveolar ankylosis were observed in the areas treated with the combination of GTR and DFDBA. It wa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adjunctive bone grafting in GTR procedure depends on the material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barrier membranes. $Vicryl^{(R)}$ mesh performed a barrier function and the use of adjunctive bone grafting may enhance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 PDF

75세 이상 고령 위암환자들의 수술치료 성적에 의한 임상적 특성 (Operative Treatment of Patients Over 75 Years Old with Gastric Cancer)

  • 이연아;정귀애;민영돈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17-221
    • /
    • 2005
  • 목적: 최근 평균수명의 증가로 고령자에서 위암 진단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술방법 및 수술 전후 환자관리법이 발전함에 따라 수술적 치료의 적용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저자들은 고령 위암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및 수술에 따른 합병증 및 치료효과를 비고령군과 비교하여 고령 위암환자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선대학교병원 외과에서 1995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위암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7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확인을 통한 후향적 방법을 사용하여 고령군(75세 이상)과 비고령군(75세 미만)을 임상적 특성, 수술의 근치도 및 술 후 합병증, 전체생존율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과: 임상적 특성에 해당하는 성별, 위암의 위치, 암의 침윤도, 림프절 절제범위, 조직학적 병기에서 고령군과 비고령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수술의 근치도와 수술 후 조기합병증의 발생 빈도에서도 두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위암발현 양상은 고령군과 비고령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수술적 근치도, 술 후 합병증, 전체생존율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위암환자의 수술적 치료의 적용에서 고령은 제한인자가 아니며, 위암수술 후 예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PDF

IVR장치의 성능 평가 기준 개발 (Establishment of Quality Control System for Angiographic Unit)

  • 강병삼;손진현;김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36-244
    • /
    • 2011
  • 성능이 저하된 IVR 장치의 지속적 사용은 환자 및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잘못된 영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IVR장치의 성능평가를 위한 적절한 시험방법 및 검사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IVR장치의 국내현황 및 규격을 조사하였으며, 표준팬텀을 이용하여 국내 IVR장치의 성능을 현장 측정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절한 IVR 장치의 화질 및 성능평가 기준을 설정하였다. 장치의 기본적 성능에 관한 검사를 위해 관전압시험, 관전류 시험, 반가층 시험을 실시하며, NEMA stndard XR-21 Phantom을 표준팬텀으로 사용하여 화질 및 선량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표준팬텀을 이용한 검사항목은 image-field geometry, spatial resolution, low-contrast iodine detectability, wire resolution, phantom entrance dose이다. 또한 매일, 매주, 1개월, 3개월, 6개월 및 1년 주기의 평가항목을 설정하였다. 장치의 성능기준은 진단용방사선안전관리 규정을 준용하여 kVp시험은 평균오차 ${\pm}10%$, mA시험은 평균오차 ${\pm}15%$, 반가층시험은 80kVp에서 최소 2.3mmAl으로 설정하였다. 표준팬텀의 검사기준은 image-field geometry에서 최소 acceptable이 나와야 하며, spatial resolution은 Image Intensifier 나 detector 크기기준으로 34-40cm은 0.8 lp/mm, 28-33cm은 1.0lp/mm, 22-27cm은 1.2 lp/mm이상이 나와야 한다. low contrast iodine detectability는 최소농도 200mg/cc 이상 보여야 하며, phantom entrance dose는 10R/min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Wire resolution은 정지 상태에서 최소 0.012인치까지 보여야 하며, 움직일 때 최소 0.022인치까지 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