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tant-free emulsion copolymeriz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Part 1 : Styrene과 COPS-I의 무유화공중합 (Part 1 : Soap-Free Emulsion Copolymerization of Styrene with COPS-I)

  • 이기창;추헌승;하정미
    • 접착 및 계면
    • /
    • 제15권3호
    • /
    • pp.93-99
    • /
    • 2014
  • 본 Styrene (ST)과 sodium 1-allyloxy-2-hydroxypropane sulfonate (COPS-I)의 무유화 공중합을 다양한 중합조건(ST, COPS-I, KPS, DVB의 농도 및 중합온도)하에서 실시하여, 165~550 nm 입자경 범위의 단분산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COPS-I와 KPS의 농도, 중합온도, DVB의 농도 등의 변화는 고분자 입자수(입자경), 중합속도, 분자량, 제타전위 등에 밀접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입자수의 증가는 중합속도와 제타전위를 증가시켰으나 분자량은 감소하였다.

무유화 유화중합에 의해 합성된 Core/shell 형태 PMMA/CdS 나노입자의 특성분석 (Characterization of Core/Shell PMMA/CdS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Surfactant-free Emulsion Polymerization)

  • 윤효정;임영목;심상은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4호
    • /
    • pp.188-192
    • /
    • 2012
  • in-situ 무유화 유화중합 및 후속 CdS 코팅 공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이용하여 CdS로 코팅된 PMMA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합성된 CdS/PMMA 나노입자의 크기는 201.7 nm 였으며, TGA 및 원소 분석 결과 10.37 wt%의 CdS를 함유하고 있었다. PMMA 입자 표면에 코팅된 CdS 나노결정의 크기는 3.55 nm였으며 주로 (111) 결정면으로 성장되었다. UV-vis 분석 결과 blue-shifting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CdS/PMMA 하이브리드 입자상태에서의 CdS는 벌크 상태의 CdS가 갖는 2.41 eV의 밴드갭 에너지보다 큰 2.70 eV를 갖기 때문에 발생하는 양자구속효과에 의하여 기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