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rheological properties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5초

냉각된 종이의 잉크수리 문제에 관한 연구 (Ink Transfer Problem on a Cooled Paper)

  • 전성재;홍기안;윤종태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7-96
    • /
    • 2008
  • Paper stock could be situated in a cooled environment seasonally and/or regionally otherwise it is stored in a controlled warehouse. In this paper, printing problems on a cooled paper are investigated and characterized in terms of paper properties. For this purpose, various kinds of sample are cooled down under a specially designed freezing device and printed for observing their printability. Causes for poor ink transfer on a cooled paper are suggested due to condensation, surface inactivity, and rheological change in ink film. Paperboards with higher amount of binder, thick and/or multi-coated layers are more vulnerable to poor ink trap. Severe drying of wet coating could cause a similar result as that of the coatings with higher binder formulation. It is shown that more absorptive porous structure is desirable for better ink receptivity in a cooled status. Printing on a dampened surface may be an indicator for ink transferability on a cooled paper. Finally, desirable directions for papermaker and printshop are suggested.

  • PDF

냉각된 종이의 잉크수리성에 관한 연구 (Ink Transfer Problem on Cooled Papers and its Causes)

  • 전성재;손창만;홍기안;윤종태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7-27
    • /
    • 2006
  • Paper could be situated in a cooled environment seasonally or regionally otherwise it is forced to be in a controlled circumstance. In this paper, printing problems on a cooled paper are investigated and characterized in terms of paper properties. For this purposes, various kinds of sample are cooled down under a specially designed freezing device and printed for observing their printability. Causes for poor ink transfer on a cooled paper are suggested due to condensation, surface inactivity, and rheological change in ink film. Paperboards with higher amount of binder, thick and/or multi coat layers are more vulnerable to poor ink trap. Severe drying could cause the same effect as that of higher binder formulation. It is shown that more absorptive porous structure is desirable for better ink receptivity in a cooled status. Printing on a dampened surface may be an indicator for ink transferability on a cooled paper. Finally, desirable directions for papermaker and printshop are suggested.

  • PDF

Optimal Mixing Ratio of Seafood Sauce with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 Park Kyong-Tae;Kim Min-Soo;Kwon Byung-Min;Shin Eun-Soo;Ryu Hong-Soo;Jang Dae-He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195-200
    • /
    • 2005
  • This study optimized the mixing ratios of seafood sauce with blue crab for maximal sensory attributes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central composite design. It evaluated sensory appeal, nutritional value, and some rheological properties. The optimal formulation appeared to be 252 g of tomato paste, 78 g of chopped garlic, and 519 g of blue crab block; this ratio resulted in a predicted sensory score of 5.7 (on a 7-point scale) for overall acceptability. Addition of blue crab block increased moisture, ash, and protein contents in various sauces, but fat contents were similar in every sauce. Major free amino acids such as glutamic acid, phospho serine, asparagine, and arginine composed about $60\%$ of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Standard and optimized sauces were red and light yellow, and those color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American-style sauces. Optimal viscosity was half the value of American-style sauces; more blue crab block added to the sauce resulted in lower viscosity. Adding this sauce to seafood dishes will likely aid development of flavoring substances.

고상-액상 전이형 에멀젼의 레올로지 거동 (The Rheological Behaviors of Solid-Liquid Transfer Emulsion)

  • 박병규;한종섭;이상민;이천구;윤명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5-140
    • /
    • 2005
  • 본 연구는 고형상 에멀젼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특성을 레올로지를 이용해 관찰해 보았다. 고형상 에멀젼이 전단변형에 따라 고상에서 액상으로의 전이시 전단속도가 큰 고형상 에멀젼의 경우 낮은 전단변형과 높은 전단변형에서 두 번의 전이구간을 보여주는 반면에 전단속도가 작은 고형상 에멀젼의 경우 높은 전단변형에서 전이구간이 한 번만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고형상 에멀젼의 전단변형에 따른 표면의 물리적 특성이 중요한 요소로서 고형상 에멀젼의 구성요소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유상과 수상으로 구성되어진 고형상 에멀젼에서 수상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면 표면전이(surface transition) 구간이 점점줄어들다가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유상과 분체로 구성되어진 고형상 에멀젼에서는 분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전이 구간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유상, 수상 그리고 분체로 이루어진 고형상 에멀젼에서는 분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전이 구간이 점점 줄어들다가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우레탄 필름에 인쇄된 신축 가능한 전극 패턴의 특성 (Properties of Stretchable Electrode Pattern Printed on Urethane Film)

  • 남수용;권보석;남현진;남기우;박효준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4-71
    • /
    • 2018
  • Currently, functional patterns are formed by screen printing on stretchable films, and they are applied to wearable and stretchable devices.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silver paste were prepared using three polyester binders with different Tg and molecular weights in order to impart elasticity to the conductive pattern itself. Rheological properties and DSC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each silver paste. Then, each silver paste was screen printing and cured by an IR dryer to evaluate adhesive strength, pencil hardness, resistance and surface shape change according to strai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ilver paste using a binder with a low Tg and a high molecular weight has the smallest resistance change depending on the strain. Namely, it was found that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a binder with a low Tg and a high molecular weight as the stretchable electrode.

수분 활성 실리카 겔 분산계의 전기유변학적 특성 (Electrorheological Properties of Water Activated Silica Gel Suspensions)

  • 안병길;최웅수;권오관;문탁진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3권3호
    • /
    • pp.115-123
    • /
    • 1997
  • The electrorheological (ER) behavior of suspensions in silicone oil of silica gel powder (average particle size 49 $\mu$m) absorbed water was investigated at room temperature with electric fields up to 2.4 KV/mm. In this paper, for development of succcessful ER fluids used for wide temperature range later, we would like to know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water on ER effect. As a first step, the ER fluids involving water activated silica gel were measured not only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ielectric constant, current dens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but also the rheological properties on the strength of electric field, the quantity of dispersed phase and absorbed wate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water absorbed to the particles directly affects to the surface charge density of electric double layer model proposed by Schwarz and makes dielectric constant and current density of ER fluids increase. The current density and dynamic yield stress $($\tau$_y)$ of water activated silica gel suspensions was in exponential proportion to the strength of electric field, the quantity of dispersed phase and absorbed water. And the optimum water quantity and weight concentration of silica gel for electrorheological effect were 4-5 wt% and 15 wt%, respectively.

흑삼 및 흑마늘을 이용한 블랙잼 유동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for Rheological Properties of Black Jam Produced by Black Ginseng and Black Garlic)

  • 이기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3-191
    • /
    • 2020
  • 본 연구는 흑삼과 흑마늘을 이용하여 블랙잼을 제조하면서 물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해 보았다. 블랙잼의 배합 조건은 흑삼(X1, 30-54 g), 흑마늘(X2, 75-135 g), 펙틴 4.5 g, 사과페이스트 270 g 및 프럭토올리고당 360 g이며, 반응 변수로는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깨짐성 및 부착성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깨짐성 및 부착성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각각 0.8948, 0.9103, 0.9032, 0.9097, 0.8561로 5~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블랙잼의 탄력성이 가장 높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탄력성은 흑삼 함량 54.00 g 및 105.83 g에서 194.39%로 나타났으며, 탄력성이 가장 낮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탄력성은 흑삼 함량 31.48 g 및 119.43 g에서 164.11%로 나타났다. 블랙잼의 응집성이 가장 높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응집성은 흑삼 함량 48.85 g 및 129.62 g에서 40.96%로 나타났다, 응집성이 가장 낮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응집성은 흑삼 함량 50.06 g 및 82.77 g에서 32.96%로 나타났다. 블랙잼의 씹힘성이 가장 높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씹힘성은 흑삼 함량 42.95 g 및 106.83 g에서 43.19 g로 나타났다. 블랙잼의 깨짐성이 가장 높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깨짐성은 흑삼 함량 32.10 g 및 88.04 g에서 16,874 g로 나타났으며, 깨짐성이 가장 낮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깨짐성은 흑삼 함량 50.53 g 및 83.91 g에서 678 g로 나타났다. 블랙잼의 부착성이 가장 높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부착성은 흑삼 함량 32.91 g 및 124.60 g에서 14.06 g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흑삼과 흑마늘의 배합비와 블랙잼의 물성의 관계를 조사함으로서 건강기능성 소재를 이용하여 누구나 즐겨 먹을 수 있는 블랙잼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Maltodextrin류의 표면도포에 의한 냉동전분의 Microwave 가열특성 개선 (Improvement of Microwave Heating Properties of Frozen Starch by Spray of Surface Materials)

  • 김은미;한혜경;김인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35-1040
    • /
    • 2005
  •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는 간편 조작 및 조리시간 단축 등의 장점이 있으나, 전자파에 의한 급격한 온도상승으로 식품, 특히 전분성 냉동식품 등의 표면에 급격한 수분증발을 유도하여 식품의 식감저하 및 품질저하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를 개선하고자 4종의 도포제를 전분표면에 도포하여 저장 및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한 수분을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조건별로 제조된 시료들을 저장조건 즉 저장온도별$(0,\;20,\;-50^{\circ}C)$, 저장기간(90일)을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시료의 물성측정 결과 0, $-20^{\circ}C$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hardness, brittleness, cohesiveness 등이 증가되었고, tapioca(TA) 혼합첨가구의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brittleness, cohesiveness 등이 기본반죽물(Control)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A 혼합첨가구 중에서도 $7\%$ M3를 도포한 시료(TM)의 물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어 TA첨가 및 $7\%$ M3도포가 전자레인지 가열 조리에 의한 품질저하방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열전 위 변화는 저 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호화개시 온도(To)는 낮은 쪽으로 이동하고, 엔탈피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ndothermic peak의 면적도 함께 증가하였다. 또한 다른 시료들에 비해 TM의 흡열엔탈피 $({\Delta}H)$가 낮은 것으로 보아 $7\%\;M3$의 도포가 표면의 품질저하방지(경화억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SEM을 이용한 미세구조관찰 시에도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장된 냉동전분들의 물성 및 노화정도를 측정한 결과 control보다는 도포제가 도포가 되지 않은 TN과 TM의 효과가 더 좋았으며, 그 중 $7\%\;M3$가 도포된 TM이 전자레인지 가열조리에 따른 품질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CaCO3 안료의 분산 안정성에 대한 용제의 영향 (Effect of Solvent on the Dispersion Stability of CaCO3 Pigment)

  • 이근대;류영철;서차수;홍성수;안병현;문명준
    • 공업화학
    • /
    • 제8권2호
    • /
    • pp.252-261
    • /
    • 1997
  • 여러 종류의 용제와 수지용액에 있어서의 $CaCO_3$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Dyno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Dynometer를 이용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분산계의 분산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었으며, Dynometer를 이용한 분산 안정성 평가로부터 구한 $CaCO_3$ 안료의 용해성 파라미터, ${\delta}$는 11.62(${\delta}_d=8.04$, ${\delta}_p=5.05$, ${\delta}_h=6.70$)이었다. 안료와 친화력이 약한 용제가 첨가되는 경우 수지 용액내에서의 안료표면에의 수지 흡착층을 증가시켜 수지 용액내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수지 용액 제조시 소량 첨가된 용제도 안료를 포함한 전체 분산계의 유동성과 분산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탄소계 나노소재를 적용한 시멘트 페이스트 복합체의 유변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Reolog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 Materials as Cement Composites)

  • 김원우;문재흠;양근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27-23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탄소계 나노소재를 적용한 시멘트 페이스트 복합체의 유변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탄소계 나노소재인 산화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의 사용성을 고려하여 수용액 상태로 혼입한 굳기전 시멘트 페이스트에서 흐름성 및 레올로지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굳은 시멘트 페이스트 복합체는 만능재료 실험기를 활용하여 압축강도 측정을 검토하였다. 산화그래핀은 수용액 상태로 혼입하였을 때 혼입율 상승 시 흐름성이 감소하고 소성 점도와 전단응력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탄소나노튜브 수용액도 동일한 경향성을 가졌으나 시멘트 중량대비 0.2 % 미만을 혼입한 경우 산화그래핀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증가율이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판상형 형태인 그래핀의 비표면적이 커서 시멘트 페이스트의 흐름성을 감소시키고 소성 점도와 전단응력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탄소나노튜브 수용액은 0.2 %이상 혼입 시 소성점도가 일반배합 대비 2.16배 수준으로 급격히 상승하며 전단응력도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량이 과혼입 되면서 시멘트 페이스트 내에서 분산이 제대로 되지 않아 탄소나노튜브 간의 뭉침으로 인한 응집효과로 판단된다. 압축강도는 그래핀 혼입시 강도 상승율이 미미하였으며, CNT는 최대 약 12 %의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탄소계나노소재 적용 시 상대적으로 CNT를 사용할 경우가 사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나 최대 혼입량 및 분산에 사용될 계면활성제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