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grafting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14초

전자선 조사에 의한 온도응답성 나노섬유 표면의 제조 및 특성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responsive Nanofibrous Surfaces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 전현애;오환희;김영진;고재억;정호윤;강인규;김원일;권오형
    • 폴리머
    • /
    • 제32권4호
    • /
    • pp.359-365
    • /
    • 2008
  • 전기방사법에 의해 미생물 유래의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였고, 전자선조사에 의해 나노섬유상에 poly(N-isopropylacrylamide)(PIPAAm)을 그래프트함으로써 온도응답성 나노섬유표면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나노섬유는 랜덤하게 배열되었으며 평균직경이 400 nm이었다. ATR-FTIR 및 ESCA 분석에 의해서 PIPAAm이 나노섬유 표면에 성공적으로 그래프트되었음을 확인하였다. PIPAAm을 그래프트 하지 않은 표면에서는 물접촉각의 변화가 없었으나, PIPAAm이 그래프트된 나노섬유 표면에서는 온도가 $37^{\circ}C$에서 $20^{\circ}C$로 바뀜에 따라 물접촉각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IPAAm이 그래프트된 표면에서 높은 온도에서는 소수성의 특성을 가지다가, 낮은 온도에서는 PIPAAm 사슬이 수화되면서 친수성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제조한 온도응답성 나노섬유는 조직적합성이 우수하였으며, 저온처리에 의해 배양세포가 원활히 탈착 회수됨을 알 수 있었다.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의 수술 방법과 결과 (Endoscopic Radial Artery Harvest: Techniques & Results)

  • 정영균;이종태;조준용;김규태;장봉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35-41
    • /
    • 2006
  • 배경: 관상 동맥 우회로 조성술에서 요골동맥 이식편의 사용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저자들은 전통적 획득방법에 따른 미용상의 문제와 신경학적 증상 등을 줄이고자 내시경을 이용하여 요골동맥 이식편을 획득하였고, 그 사용 방법과 조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을 위해 내시경을 통한 요골동맥 수확을 시행한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요골동맥은 비우성의 팔에서 수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손목의 요골부에 2 cm절개를 시행하여 내시경을 삽입 후 요골동맥을 박리하고 전주와 부위에 5 mm 절개를 시행하여 요골동맥을 매듭 후 절제하였다. 결과: 표재 요골 신경 지배 부위의 감각 이상이 23예 있었으며 가쪽 아래팔 피부 신경 지배부위의 감각 이상은 없었으며 수부의 기능 저하 역시 없었다. 창상 내 국소 부위 혈종이 있던 1예를 제외하고는 창상 문제는 없었다. 술 후 7.9$\pm$3.6개월 후 전화 문진을 통해 추적 관찰하였으며 감각 이상을 보이던 23예 중 4예에서 증상이 지속되었으며 창상의 미용적인 측면에서는 모두 만족하였다. 술 후 요골동맥의 조기 개통성 평가를 위해 66예에서 다검출기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 원위부와 근위부 모두 협착이 2예(3.0$\%$), 폐색이 1예(1.5$\%$)가 관찰되었다. 결론: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은 전통적 개방식 수확법에 비해 수부의 기능 장애 없이 신경학적 합병증의 빈도는 낮았으며 창상의 미용학적 만족도는 매우 뛰어났다. 그리고, 이식편의 단기 개통률도 전통적인 방법과 차이가 없어 적극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2년과 4년 누적 생존율은 A군이 95.4$\%$, 79.9$\%$, B군이 95.4$\%$, 90.1$\%$였다(p=ns). 결론: 70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은 낮은 사망률과 만족할 만한 합병증 발생률로 시행될 수 있어 환자 나이만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해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한다.rtening Fraction)은 평균 23.6$\pm$4.7$\%$에서 37.4$\pm$7.9$\%$로 호전되었고, 좌심실의 수축기말의 용적지수(LVEDDI: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mension index to body surface area)는 수술 전100.8$\pm$25.6 mm/$m^{2}$에서 79.3$\pm$ 15.8 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The healing effect of platelet-rich plasma on xenograft in peri-implant bone defects in rabbits

  • Peng, Wang;Kim, Il-kyu;Cho, Hyun-young;Seo, Ji-Hoon;Lee, Dong-Hwan;Jang, Jun-Min;Park, Seung-Hoo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8권
    • /
    • pp.16.1-16.9
    • /
    • 2016
  • Background: The association of biomaterial combined with repair factor-like platelet-rich plasma (PRP) has prospective values. Bovine-derived xenograft has been identified as an osteoconductive and biocompatible grafting material that provides osseointegration ability. PRP has become a valuable adjunctive agent to promote healing in a lot of dental and oral surgery procedures. However, there are controversies with respect to the regenerative capacity of PRP and the real benefits of its use in bone graf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e of PRP combined with xenograft for the repair of peri-implant bone defects. Methods: Twelve rabbit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the experimental surgery with implant installation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Autologous PRP was prepared before the surgical procedure. An intrabony defect (7.0 mm in diameter and 3.0 mm deep) was created in the tibia of each rabbit; then, 24 titanium dental implants (3.0 mm in diameter and 8.5 mm long) were inserted into these osteotomy sites. Thus, a standardized gap (4.0 mm) was established between the surrounding bony walls and the implant surface. The gaps were treated with either xenograft alone (control group) or xenograft combined with PRP (experimental group). After healing for 1, 2, 3, 4, 5, and 6 weeks, the rabbits were sacrificed with an overdose of KCl solution. Two rabbits were killed at each time, and the samples including dental implants and surrounding bone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for histological analysis. Results: More newly formed bone and a better bone healing process were observed in control group.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an percentage of bone-to-implant contact i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25.23 vs. 8.16 %; P < 0.05, independent-simple t 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addition of PRP to bovine-derived xenograft in the repair of bone defects around the implant, PRP may delay peri-implant bone healing.

Evaluation of the course of the inferior alveolar canal in the mandibular ramu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Kwon, Kyung-Hwan;Sim, Kyu-Bong;Lee, Jae-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4호
    • /
    • pp.231-239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provide guidelines in order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nerve injury during mandibular ramus bone harvesting, an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inferior alveolar canal (IAC) to include its distance from the exterior buccal cortex. Materials and Methods: In January and February 2009, 20 patients who visited the Wonkwang University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reporting various conditions underwen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an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tients with missing left or right mandibular first molars or incisors, or who had jaw fracture or bone pathologies, were excluded. The reference point (R point) was defined as the point where the occlusal plane reached the anterior ramus of the mandible. The position of the IAC in relation to the R point, the buccal bone width (BW), the alveolar crest distance (ACD), the distance from the alveolar crest to the occlusal plane (COD), and the distance from the IAC to the sagittal plane (CS) were determined using proprietary image analysis software which produced cross-sectional coronal and axial images. Results: The distance medially from the R point to the IAC along the axial plane was $6.19{\pm}1.21mm$. The HD from the R point, posteriorly to IAC, in the lateral view was $13.07{\pm}2.45mm$, the VD from the R point was $14.24{\pm}2.41mm$, and the ND from the R point was $10.12{\pm}1.76mm$. The pathway of the IAC was positioned almost in a straight line along a sagittal plane within $0.56{\pm}0.70mm$. The distance from the buccal bone surface to the IAC increased anteriorly from the R point. Conclusion: Marking osteotomy lines in the retromolar area in procedures involving bone harvesting should be discouraged due to the risk of damage to IAC structures. Our measurements indicated that the area from the R point in the ramus of the mandible to 10 mm anterior can be safely harvested for bone grafting purposes.

요소수지를 주체로 한 편직물구조 개선연구 (Urea Resin Treat Effects on Silk Textiles)

  • 최병희;이양후;김한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23
    • /
    • 1978
  • 본 연구는 견직물의 촉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바람직한 방추성을 보유하는 보다 좋은 요소수지가 공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년간에 걸친 보고이다. 특히 본보고는 요소와 결합하는 폴마린양을 극소화한데 특징이 있고 일반요소수지보다도 더욱 우수성을 보이는 반금속성요소수지(Homo Metalic Urea Resin)을 개발하였다는 사실도 첨가하며 본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보고에 수록된 요소수지조성은 폴마린함량을 극소화하였고 조성된 수지에서 거의 폴마린냄새를 인정할 수 없을 정도였으며 이전에 보고된 어느 것보다 가장 소량의 폴마린으로 요소수지를 만들었다. 2. 필자가 최초로 만든 화합물 즉 uric zincchloride와 폴마린을 원료로 하여 새로운 반금속성요소수지(Homo Metalic Urea Resin)를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합성수지처리와 중앙처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3. 위의 두가지 수지처리에서 방추도, 강연도 및 발키네스 등이 증가되었는데 신규개발한 수지가 더욱 좋은 결과를 보였다. 4. 견방사나 저연사견직물이 생사나 고연사손직물의 경우보다 좋은 방추개선을 보였다. 5. 두가지 수지처리법이 모두 실용상의 경제성이 좋았다. 6. 강력과 신도가 수지처리후 다소 저하되었는데 이것은 수지처리로 가교작용과 증량작용이 일어났기 때문이었다. 7. 특수한 요소수지처리방법으로 양모와 유사한 견사제조법도 개발했다. 이 방법은 요소용액에 침지한 생사를 폴마린가스로 충만된 밀실에 방치해 둠으로서 생사표면에 스케일을 발생하게 한 것이다.

  • PDF

골내낭에 매식된 수종의 생체요법재료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 Study Of Different Bioceramic Implants In Intrabony Defects)

  • 이철우;최상묵;한수부;박상현;김현종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27-4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with the effects of 4 different surface active bioceramics on the healing process of alveolar bone defects in dogs. Artificial alveolar bone defects depth 4-6mm, width 3-4mm) were created with # 6 round bur at interproximal areas of maxillary canine, maxillary 2nd premolar, mandibular canine, and mandibular 3rd premolar. porous hydroxyapatite(Interpore $200^R$) , 45S5 bioglass, CJ4/lOC crystalline glass, and JJ crystalline glass were implanted in intrabony defects randomly.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4 categories according to its implant material. After implantation, all groups were examined postoperatively 4 weeks to 12 weeks. 3 dogs was selected randomly and sacrificed after vascular perfusion with 2.5% glutaraldehyde at every 4 weeks. Tissue blocks with surroundig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s were removed and immersed in formaldehyde/glutaraldehyde fixative. After 20 weeks decalcification with EDTA and formic acid, sections were made and observed under light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e encapsulation of inactive connective tissue was observed around graft particles in 4 weeks. As time elapsed, the thickness of surrounding connective tissue was decreased. Osteoconductive bone growth pattern was seen apparently in all groups. CJ4/lOC crystalline glass showed the most active bone formation until 8 weeks. 45S5 bioglass was, however, the most active in new bone formation at 12 weeks. Though there was difference in resorption rate among grafting materials, the size of graft particles was decreased gradually. 45S5 bioglass was resorbed faster than the others. On the other hand, porous hydroxyapatite was degraded most slowly. Phagocytosed particulate matters was observed in the cytoplasm of multinuclear multinuclear giant cell and macrophage und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suggested suggested that 45S5 bioglass and CJ4/lOC crystalline glass may have some enhanced reparative potential when compared to porous hydroxapatite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efeds. JJ crystalline glass reguires a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safety of its use.

  • PDF

비복신경을 이용한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신경재건;해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MICRONEUROSURGICAL RECONSTRUCTION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USING THE SURAL NERVE;HISTOLOGIC STUDY)

  • 김명진;김병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30-36
    • /
    • 1991
  • 본 연구는 구강 및 악안면 영역에서의 미세 신경 재건술에 대한 일련의 연구의 하나로서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신경 결손부를 재건할 경우 가장 많이 이용되는 비복신경에 대한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이식 신경 선택시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사체에서 채취한 10편의 비복 신경으로 하였고 각 신경편의 길이 측정후 신경편의 근심부, 중심부, 원심부에 대하여 신경의 평균 총단면적, 신경속의 평균 숫자, 신경속의 평균 총단면적 등을 측정하였고 신경속의 주행 양태 및 신경 주의 외막의 미세혈관 분포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채취 가능한 비복 신경의 길이는 평균 35.5cm 이었고 신경의 평균 총단면적은 근심부, 중심부, 원심부에서 부위별로 각각 $3.83mm^2$, $3.28mm^2$, $4.65mm^2$이고, 신경속의 평균 총단면적은 부위별로 각각 $0.80mm^2$, $0.79mm^2$, $1.23mm^2$이었다. 신경속의 평균 숫자는 부위별로 각각 7.67, 6.17, 3.83개 이었고 주로 복신경속 모양(polyfascicular patten)의 구조를 보이며, 신경속의 주행양태는 불규칙하였고 신경 주위 외막의 미세혈관 분포는 존재하였지만 이약하였다. 신경이식 수술후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신경의 총단면적이 비슷하거나 크며 비슷한 신경속의 숫자를 지니는 유사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이식신경을 선택하여 최대로 신경속간 접합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하는데 비복 신경은 신경속의 해부학적 특성, 크기, 숫자로 보아 하치조신경, 안면신경, 부신경등 악안면부의 신경이식에 널리 쓰일 수 있는 이식 신경으로 사료되며 특히 원심부에서 채취가능한 약 15cm 가량의 비복신경은 하치조 신경의 신경속 구조와 매우 유사하며 하치조신경 결손부의 이식 신경으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개질 폴리에틸렌 코팅 강관의 부착 및 체결부 성능 평가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Adhes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Joints for Modified Polyethylene Coated Steel Pipes)

  • 이명규;조상환;김민욱
    • Composites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238-245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강관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개질 폴리에틸렌 코팅 처리된 강관의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방식인 기계적 전처리 코팅의 경우 확관시 폴리에틸렌 부착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칼슘 혼입 인산 아연 피막을 활용한 화학적 전처리 공정이 적용되었다. SEM 및 EDX 분석결과, Zn/Ca 비 1.0에서 가장 치밀한 구조가 확인되었다. 또한, 확관 시의 코팅 이탈 방지를 위한 그라프트 처리 무수말레산을 기반으로 엘라스토머, 금속산화물, 블로킹방지제, 슬립제를 각기 다른 조합으로 혼입하여 개질된 폴리에틸렌 코팅 강관에 대한 부착 및 연신율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개질 재료를 혼입한 시험체(S4)에서 금속산화물만 혼입한 시험체(S2)대비 25% 이상 향상된 성능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정이 완료된 코팅 파이프에 대하여 표면부 코팅 손상 방지를 위한 파이프 고정 부속 일부인 쐐기형 소켓링과 이탈 방지 압륜을 개발하고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양막과 콜라겐을 이용한 생체 적합 드레싱 소재 개발 및 백서 창상치유 실험 (DEVELOPMENT OF BIOCOMPATIBLE DRESSING MATERIAL MADE OF COLLAGEN AND AMNIOTIC MEMBRANE AND WOUND HEALING EXPERIMENT IN RAT)

  • 안강민;이지호;이의룡;이종호;이종원;김성포;양은경;김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3호
    • /
    • pp.189-199
    • /
    • 2006
  • Purpose of study: Partial thickness skin graft is the golden standard regimen for full-thickness skin defect caused by burn or trauma. However, in case of extensive burns of more than 50% of total body surface area, the donor site is not sufficient to cover all defects. As a second choice, allograft, xenograft and synthetic materials have been used to treat skin defect. Among them the amniotic membrane(AM) was used as a biological dressing for centuries because of its potential for wound healing. In this study, quantification of EGF in AM and effect of AM-collagen complex on full thickness skin defects was examined. Materials & Methods: The concentration of EGF in fresh, deep frozen and freeze-dried AM was evaluated by ELISA. EGF-R immunostaining was performed in freeze-dried AM. SD rats weighing 250${\sim}$300g was used for wound healing experiment. Three full thickness skin defects(28mm diameter) were made on dorsal surface of SD rat. The control group was covered by Vaselin gauze and AM-collagen complex and $Terudermis^{(R)}$. was grafted in two other defects. Healing area, Cinamon's score were evaluated before biopsy. Grafted sites were retrieved at 3 days, 1 week, 2 weeks and 4 weeks after operation. H & E and Factor VIII immunohistochemical stai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icroscopic adhesion and structural integrity and microvessel formation. Results: 1. EGF concentration of fresh, deep frozen and freeze-dried AM showed similar level and EGF-R was stained in epithelial layer of freeze-dried AM. 2. At 4 weeks after grafting, the healing area of AM-collagen and Terudermis group was 99.29${\pm}$0.71% and 99.19${\pm}$0.77 of original size. However, that of control group was 24.88${\pm}$2.90. 3. The Cinamon's score of AM-Collagen and $Terudermis^{(R)}$. group at 4 weeks was 15.6${\pm}$1.26 and 14.6${\pm}$3.13 and that of control group was 3.7${\pm}$0.95.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p<0.05). 4. Histologic examination revealed that AM protected leukocyte infiltration and epithelial migration was nearly completed at 4 weeks. $Terudermis^{(R)}$. group showed mild neutrophil infiltration until 2 weeks and completion of epithelization at 4 weeks. Control group showed massive leukocyte infiltration until 4 weeks. 5. Microvessels were increased sharply at 1 week and control group at 1 and 4 week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erudermis^{(R)}$. group of same interval(p<0.05)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with AM group(p<0.05). Conclusion: EGF and EGF-R were well preserved in freeze-dried AM. AM attached to collagen acted as excellent biologic dressing which had similar effect with $Terudermis^{(R)}$. AM showed anti-inflammatory action and healing was completed at 4 weeks after full-thickness skin defect.

잠재적인 UV 센서를 위한 희토류 금속착물이 기능화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Rare-Earth Metal Complex-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for a Potential UV Sensor)

  • 박성수;김미라;오원태;김예담;이예은;이윤건;하강범;정도준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4호
    • /
    • pp.136-14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원으로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를 사용하고 주형으로 트리블럭 공중합체(P123)를 사용하여 산성 조건에서 자기조립 방법과 수열합성 과정을 거쳐서 잘 배열된 육방체 구조의 메조세공 배열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물질(Surfactant-extracted SBA-15)을 합성하였다. Surfactant-extracted SBA-15는 약 980 nm의 크기를 가지는 짧은 로드의 입자 모양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표면적과 세공 직경은 각각 730 m2g-1와 70.8 Å이었다. 한편, 포스트-합성방법(post-synthesis method)을 이용하여 메조세공 내에 아미노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을 그래프팅(grafting) 하였다. 아미노실란으로 개질된 메조다공성 실리카(APTES-SBA-15)는 잘 배열된 세공구조(p6mm)를 가지고 짧은 로드의 입자모양을 잘 유지 하였다. APTES-SBA-15의 표면적과 세공 직경은 각각 350 m2g-1와 60.7 Å으로 감소하였다. APTES가 개질된 메조 다공성 실리카에 희토류 금속이온(Eu3+, Tb3+) 용액을 처리하여 메조세공 내에 희토류 금속 착물이 도입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물질을 합성하였다. (Eu/APTES-SBA-15, Tb/APTES- SBA-15) 이들 물질은 λex=250 nm 광에 의해 특징적인 광발광 스펙트라를 나타내었다. (Tb/APTES-SBA-15를 위하여 5D47F5 (543.5 nm), 5D47F4 (583.5 nm), 5D47F3 (620.2 nm) 전이; Eu/APTES-SBA-15를 위하여 5D0→7F0 (577.7 nm), 5D0→7F1 (592.0 nm), 5D0→7F2 (614.9 nm), 5D07F3 (650.3 nm) and 5D07F4 (698.5 nm) 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