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lementary pol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단동하우스에서의 보강지주 설치 효과 (Effect of a Supplementary Pole on the Structural Stability in the Single-span Plastic Greenhouses)

  • 염성현;김승희;이상봉;김민영;김철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3-69
    • /
    • 2010
  • 2007년 4월 이전까지 10~15년 동안 규격시설로 운영되어 오던 농가지도형 단동하우스에서의 보강지주 설치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전의 연구로 적설하중에 대한 수식 계산을 통해 보강지주 설치 단동하우스의 추가적설심이 제시된 바 있으나 모델이 농가지도형 단동하우스 규격과 상이해 연구 결과를 농가지도형 단동하우스에 그대로 적용하기에 무리가 따랐다. 본 연구에서는 농가지도형 단동하우스를 3차원 강뼈대 구조물로 모델링 하여 보강지주 설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재하시험을 통해 해석결과를 검증하였다. 구조해석 결과, 단동하우스에 보강지주 설치 시 안전적설심은 오히려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파이프 체결 부에서의 집중 하중으로 지붕도리에 큰 응력이 걸리기 때문으로 보강지주 설치 시에는 지붕도리의 규격도 함께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붕도리를 강화하고 보강지주를 3~4m 간격으로 설치할 경우, 안전적설심은 기본모델에서 보다 2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강지주 규격별 농가지도형 단동하우스 5종의 안전적설심을 제시하였다.

STRONG GRAVITATIONAL LENSES AND MULTI-WAVELENGTH GALAXY SURVEYS WITH AKARI, HERSCHEL, SPICA AND EUCLID

  • Serjeant, Stephen
    • 천문학논총
    • /
    • 제32권1호
    • /
    • pp.251-255
    • /
    • 2017
  • Submillimetre and millimetre-wave surveys with Herschel and the South Pole Telescope have revolutionised the discovery of strong gravitational lenses. Their follow-ups have been greatly facilitated by the multi-wavelength supplementary data in the survey fields. The forthcoming Euclid optical/near-infrared space telescope will also detect strong gravitational lenses in large numbers, and orbital constraints are likely to require placing its deep survey at the North Ecliptic Pole (the natural deep field for a wide class of ground-based and space-based observatories including AKARI, JWST and SPICA). In this paper I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he multi-wavelength survey coverage in the NEP, and discuss the prospects for the detection of strong gravitational lenses in forthcoming or proposed facilities such as Euclid, FIRSPEX and SPICA.

급경사지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폴 계측시스템 구축 및 적용성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and Applicability on of Smart Pole Measuring System for Monitoring Steep Slope Sites)

  • 이진덕;장기태;방건준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8
    • /
    • 2014
  • 급경사지 계측에 활용을 위하여 GNSS와 TRS센서를 주축으로 하여 전원, 통신 등의 부대설비, 그리고 변위 추출 및 가시화 등의 데이터처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스마트폴 계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마트폴 계측센서의 개념은 GNSS안테나 바로 밑에 TRS센서 및 자이로(gyro) 센서 등, 그리고 하단에 함수비센서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지표변위는 물론, 지반의 병진, 활동, 침하 등의 세가지 요인을 추출해 내고 함수비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스마트폴 계측시스템은 데이터 수신부, 데이터 수집 및 전송부, 데이터 처리부로 구분하여 각 부분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축한 다음, 현장적용성 평가를 위해 인위적 변위를 도입한 시험계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NEP-WIDE POINT SOURCE CATALOG

  • Kim, Seong Jin;Lee, Hyung Mok;NEP-Wide Team, NEP-Wide Team
    • 천문학논총
    • /
    • 제27권4호
    • /
    • pp.147-148
    • /
    • 2012
  • We present a photometric catalog of infrared (IR) sources based on the North Ecliptic Pole Wide field (NEP-Wide) survey of AKARI, which covered a 5.4 $deg^2$ circular area centered on NEP. The catalog contains about 115,000 sources detected at the 9 IRC filter bands, comprehensively covering a wavelength range from 2 to $24{\mu}m$. This is a band-merged catalog including all of the photometry results from the supplementary optical data as well as the IRC bands. To validate a source at a given IRC band, we searched for counterparts in the other bands. The band-merging was done based on this cross-matching of the sources among the filter bands. The NIR sources without any counterpart in any other bands are finally excluded to avoid false objects.

GPS/GLONASS와 TS 결합에 의한 도근점 측위의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Positioning Supplementary Control Point with the Combined GPS/GLONASS and TS)

  • 박운용;곽두호;김용보;백기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9-20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위성측위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위성 데이터 수신에 장애가 없는 개활지역, 신호차단과 다중경로 오차를 유발하는 고층 건물 및 차량통행과 전주 등이 산재한 도심지역을 실험지로 선정하여, GPS/GLONASS, TS/RTK-GPS 결합관측의 적용성을 제시하고, 기존 정지관측기법과의 정확도 비교와 결합관측방법의 활용성을 검토한 결과, 먼저 정적상대측위는 대상지별로 GPS 단독, GPS/GLONASS 결합의 방법으로 도근점의 성과와 0∼0.006m의 오차를 보였고, 실시간 위성측위에서 모호정수(Ambiguity) 고정해를 얻지 못한 RTK-GPS와 TS의 결합의 경우에는 도심지에서는 0.010∼0.077m 였으며, 개활지에서는 0.008∼0.078m 오차를 보였다. 이 값은 축척 l/l,200 지적도에서 측선거리 l00m의 경우 연결허용오차 12cm보다 작으므로 실용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남북 천문분야 협력방안 기초 연구 II : 남북한 천문역서 비교 (A STUDY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IELD OF ASTRONOMY II : ASTRONOMICAL ALMANAC)

  • 양홍진;임인성;이용복;최현규
    • 천문학논총
    • /
    • 제33권1호
    • /
    • pp.1-7
    • /
    • 2018
  • In order to encourage collaboration with North Korea in astronomy research field, we have studied the astronomical almanacs published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almanac contains fundamental astronomical data including not only daily calendar data but also unique characteristics selected by necessity in each country. We compared the South and North Korean astronomical almanacs in terms of contents, detailed descriptions, unique items, and so forth. We used the 2017 almanac for South Korea and 1993 almanac which is useful for this research for North Korea. We found that there were several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lmanacs. The North Korean almanac is published for the astronomer or navigator, thus it has supplementary information about spherical astronomy such as precession of the north pole and position of celestial bodies. Whereas the South Korean almanac is published for the general public, and it distinctively contains luni-solar calendar, 24 solar terms, national holidays, etc.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research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astronomy.

PROPERTIES OF OPEN CLUSTERS CONTAINING BLUE STRAGGLERS

  • Lee, Hyun-Uk;Chang, Heon-Young
    • 천문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51-59
    • /
    • 2017
  • The presence of blue stragglers pose challenges to standard stellar evolution theory, in the sense that explaining their presence demands a complex interplay between stellar evolution and cluster dynamics. In the meantime, mass transfer in binary systems and stellar collisions are widely studied as a blue straggler formation channel. We explore properties of the Galactic open clusters where blue stragglers are found, in attempting to estim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two favored processes,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resulting from open clusters in which blue stragglers are absent as of now.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require a sophisticated process in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this approach is straightforward and has resulted in a supplementary supporting evidence for the current view on the blue straggler formation mechanism.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Open clusters in which blue stragglers are present have a broader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Z-axis pointing towards the North Galactic Pole than those in which blue stragglers are absent. The probability that two distributions with respect to the Z-axis are drawn from the same distribution is 0.2%. (2) Average values of $log_10(t)$ of the clusters with blue stragglers and those without blue stragglers are $8.58{\pm}0.232$ and $7.52{\pm}0.285$, respectively. (3) The clusters with blue stragglers tend to be relatively redder than the others, and are distributed broader in colors. (4) The clusters with blue stragglers are likely brighter than those without blue stragglers. (5) Finally, blue stragglers seem to form in condensed clusters rather than simply dense clusters. Hence, we conclude that mass transfer in binaries seems to be a relatively important physical mechanism of the generation of blue stragglers in open clusters, provided they are sufficiently old.

RTK-GPS와 RTK-GPS/GLONASS에 의한 도근점 측위의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Positioning Supplementary Control Point with the RTK-GPS and RTK-GPS/GLONASS)

  • 박운용;김진수;김용보;백기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1-6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위성측위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위성 데이터 수신에 장애가 없는 개할지역, 신호차단과 다중경로 오차를 유발하는 고층 건물 및 차량 통행과 전주 등이 산재한 도심지역을 실험지로 선정하였다. 첫째, 재래식 측량방법으로 RTK-GPS와 RTK-GPS/GLONASS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고 결과적으로 실시간 GPS단독측위보다 GPS/GLONASS 결합 시 성과가 더 우수하게 나왔다. 그리고 개할지역에처는 실시간 차분측위와 실시간 동적 측위 모두 GPS/GLONASS 결합시 성과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 전산화를 위한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기본도의 수치화 작업과 기존 도면을 전산화하는 방법에 있어 RTK-GPS, RTK-CPS/GLONASS 방법을 사용한다면 시간과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며, 향후 GPS와TS 결합으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자료기반 구축, 지적재조사 사업 준비 및 현장실시설계 등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