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vised learning

검색결과 738건 처리시간 0.028초

자기조직화 교사 학습에 의한 패턴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tern Recognition with Self-Organized Supervised Learning)

  • 박찬호
    • 정보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7-2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직화 교사학습 신경망인 SOSL(Self-Organized Superised Learning)과 이 신경망의 구조를 제안한다. SOSL신경망은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경망으로써 다수 개의 컴포넌트 에러 역전파 신경망들과 수정된 PCA신경망으로 구성된다. CBP신경망은 군집화되고 복잡한 입력패턴에 대하여 교사학습을 병렬적으로 수행한다. 수정된 PCA신경망은 군집화 및 지역투영에 의하여 원 입력패턴을 보다 작은 차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안된 SOSL은 많은 입력패턴을 가짐으로써 큰 네트워크 크기를 가지게 되는 신경망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 PDF

Breast Cancer Classification in Ultrasound Images using Semi-supervised method based on Pseudo-labeling

  • Seokmin 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1호
    • /
    • pp.124-131
    • /
    • 2024
  • Breast cancer classification using ultrasound, while widely employed, faces challenges due to its relatively low predictive value arising from significant overlap in characteristics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as well as operator-dependency. To alleviate these challenges and reduce dependency on radiologist interpretation, the implementation of automatic breast cancer classification in ultrasound image can be helpful. To deal with this problem, we propose a semi-supervised deep learning framework for breast cancer classification. In the proposed method, we could achieve reasonable performance utilizing less than 50% of the training data for supervised learning in comparison to when we utilized a 100% labeled dataset for training. Though it requires more modification, this methodology may be able to alleviate the time-consuming annotation burden on radiologists by reducing the number of annotation, contributing to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breast cancer detection process in ultrasound images.

독점 멀티 분류기의 심층 학습 모델을 사용한 약지도 시맨틱 분할 (Weakly-supervised Semantic Segmentation using Exclusive Multi-Classifier Deep Learning Model)

  • 최현준;강동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27-233
    • /
    • 2019
  • 최근 딥러닝 기술의 발달과 함께 신경 네트워크는 컴퓨터 비전에서도 성공을 거두고 있다. 컨볼루션 신경망은 단순한 영상 분류 작업뿐만 아니라 객체 분할 및 검출 등 난이도가 높은 작업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보였다. 그러나 그러한 많은 심층 학습 모델은 지도학습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는 이미지 라벨보다 주석 라벨이 더 많이 필요하다. 특히 semantic segmentation 모델은 훈련을 위해 픽셀 수준의 주석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훈련을 위해 영상 수준 라벨만 필요한 약지도 semantic segmentation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약지도학습 방법은 대상의 특정 영역만 탐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 반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의 모델이 사물의 더 다른 부분을 인식하도 multi-classifier 심층 학습 아키텍처를 사용한다. 제안된 방법은 VOC 2012 검증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문헌간 유사도를 이용한 자동분류에서 미분류 문헌의 활용에 관한 연구 (Utilizing Unlabeled Documents in Automatic Classification with Inter-document Similarities)

  • 김판준;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1-271
    • /
    • 2007
  • 문헌간 유사도를 자질로 사용하는 분류기에서 미분류 문헌을 학습에 활용하여 분류 성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자동분류를 위해서 다량의 학습문헌을 수작업으로 확보하는 것은 많은 비기 들기 때문에 미분류 문헌의 활용은 실용적인 면에서 중요하다. 미분류 문헌을 활용하는 준지도학습 알고리즘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분류된 문헌을 학습데이터로 삼아서 미분류 문헌을 분류하는 첫 번째 단계와, 수작업으로 분류된 문헌과 자동으로 분류된 문헌을 모두 학습 데이터로 삼아서 분류기를 학습시키는 두 번째 단계로 구성된다. 이 논문에서는 문헌간 유사도 자질을 적용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두 가지 준지도학습 알고리즘을 검토하였다. 이중에서 1단계 준지도학습 방식은 미분류 문헌을 문헌유사도 자질 생성에만 활용하므로 간단하며, 2단계 준지도학습 방식은 미분류 문헌을 문헌유사도 자질생성과 함께 학습 예제로도 활용하는 알고리즘이다. 지지벡터기계와 나이브베이즈 분류기를 이용한 실험 결과, 두 가지 준지도학습 방식 모두 미분류 문헌을 활용하지 않는 지도학습 방식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행효율을 고려한다면 제안된 1단계 준지도학습 방식이 미분류 문헌을 활용하여 분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A Comparison Study of Classification Algorithms in Data Mining

  • Lee, Seung-Joo;Jun, Sung-Rae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8권1호
    • /
    • pp.1-5
    • /
    • 2008
  • Generally the analytical tools of data mining have two learning types which are supervised and un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are main analysis tools for supervised learning. In this paper, we perform a comparison study of classification algorithms in data mining. We mak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popular classification algorithms which are LDA, QDA, kernel method, K-nearest neighbor, naive Bayesian, SVM, and CART. Also, we use almost all classification data sets of UCI machine learning repository for our experiments. According to our results, we are able to select proper algorithms for given classification data sets.

준지도 학습 및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기가격 예측 (Electricity Price Prediction Based on Semi-Supervised Learning and Neural Network Algorithms)

  • 김항석;신현정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0-45
    • /
    • 2013
  • Predicting monthly electricity price has been a significant factor of decision-making for plant resource management, fuel purchase plan, plans to plant, operating plan budget, and so 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phisticated prediction model in terms of the technique of modeling and the variety of the collected variables. The proposed model hybridizes the semi-supervised learning an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s. The former is the most recent and a spotlighted algorithm in data mining and machine learning fields, and the latter is known as one of the well-established algorithms in the fields. Diverse economic/financial indexes such as the crude oil prices, LNG prices, exchange rates, composite indexes of representative global stock markets, etc. a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semi-supervised learning which predicts the up-down movement of the price. Whereas various climatic indexes such as temperature, rainfall, sunlight, air pressure, etc, are used for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which predicts the real-values of the price. The resulting values are hybridized in the proposed model. The excellency of the model was empirically verified with the monthly data of electricity price provided by the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Semi-Supervised Recursive Learning of Discriminative Mixture Models for Time-Series Classification

  • Kim, Mi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3권3호
    • /
    • pp.186-199
    • /
    • 2013
  • We pose pattern classification as a density estimation problem where we consider mixtures of generative models under partially labeled data setups. Unlike traditional approaches that estimate density everywhere in data space, we focus on the density along the decision boundary that can yield more discriminative models with superior classification performance. We extend our earlier work on the recursive estimation method for discriminative mixture models to semi-supervised learning setups where some of the data points lack class labels. Our model exploits the mixture structure in the functional gradient framework: it searches for the base mixture component model in a greedy fashion, maximizing the conditional class likelihoods for the labeled data and at the same time minimizing the uncertainty of class label prediction for unlabeled data points. The objective can be effectively imposed as individual mixture component learning on weighted data, hence our mixture learning typically becomes highly efficient for popular base generative models like Gaussians or hidden Markov models. Moreover, apart from the 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 the proposed recursive estimation has several advantages including the lack of need for a pre-determined mixture order and robustness to the choice of initial parameters. We demonstrate the benefits of the proposed approach on a comprehensive set of evaluations consisting of diverse time-series classification problems in semi-supervised scenarios.

EER-ASSL: Combining Rollback Learning and Deep Learning for Rapid Adaptive Object Detection

  • Ahmed, Minhaz Uddin;Kim, Yeong Hyeon;Rhee, Phill Ky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12호
    • /
    • pp.4776-4794
    • /
    • 2020
  • We propose a rapid adaptive learning framework for streaming object detection, called EER-ASSL. The method combines the expected error reduction (EER) dependent rollback learning and the active semi-supervised learning (ASSL) for a rapid adaptive CNN detector. Most CNN object detectors are built on the assumption of static data distribution. However, images are often noisy and biased, and the data distribution is imbalanced in a real world environment.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collaborative sampling and EER-ASSL. The EER-ASSL utilizes the active learning (AL) and rollback based semi-supervised learning (SSL). The AL allows us to select more informative and representative samples measuring uncertainty and diversity. The SSL divides the selected streaming image samples into the bins and each bin repeatedly transfers the discriminative knowledge of the EER and CNN models to the next bin until convergence and incorporation with the EER rollback learning algorithm is achieved. The EER models provide a rapid short-term myopic adaptation and the CNN models an incremental long-term performance improvement. EER-ASSL can overcome noisy and biased labels in varying data distribution. Extensive experiments shows that EER-ASSL obtained 70.9 mAP compared to state-of-the-art technology such as Faster RCNN, SSD300, and YOLOv2.

ART-1 기반 퍼지 지도 학습 알고리즘 (ART1-based Fuzzy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 김광백;조재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83-889
    • /
    • 2005
  • 다층 구조 신경망에서 널리 사용되는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은 초기 가중치와 불충분한 은닉층의 노드 수로 인하여 지역 최소화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에서 은닉층의 노드 수를 설정하는 문제와 ART-1에서 경계 변수의 설정에 따라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ART-1과 퍼지 단층 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결합한 ATR-1 기반 퍼지 다층 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 한다. 자가 생성을 이용한 제안된 퍼지 지도 학습 알고리즘은 입력층에서 은닉층으로 노드를 생성시키는 방식은 ART-1을 적용하였고, 가중치 조정은 특정 패턴에 대한 저장 패턴을 수정하도록 하는 winner-take-all 방식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학습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민등록증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오류 역전파 알고즘보다 연결 가중치들이 지역 최소화에 위치할 가능성이 줄었고 학습 속도 및 정체 현상도 개선되었다.

Utilizing Mean Teacher Semi-Supervised Learning for Robust Pothole Image Classification

  • Inki Kim;Beomjun Kim;Jeonghwan Gwa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7-28
    • /
    • 2023
  • 포장도로에서 발생하는 포트홀은 고속 주행 차량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망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작업자가 직접 포트홀을 탐지하는 방식을 사용해왔으나, 이는 작업자의 안전 문제와 예측하기 어려운 범주에서 발생하는 모든 포트홀을 인력으로 탐지하는 것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또한, 도로 환경과 관련된 지반 환경이 포트홀 생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완벽한 포트홀 방지는 어렵다. 데이터셋 구축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지도하에 라벨링 작업이 필요하지만, 이는 매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ean Teacher 기법을 사용하여 라벨링된 데이터의 샘플 수가 적더라도 지도학습보다 더욱 강인한 포트홀 이미지 분류 성능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성능지표와 GradCAM을 통해 입증되었으며, 준지도학습을 사용할 때 15개의 사전 학습된 CNN 모델이 평균 90.41%의 정확도를 달성하며, 지도학습과 비교하여 2%에서 9%의 차이로 강인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