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resolut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43초

조리개 마스크 휠을 이용한 정칙화 기반 초해상도 디모자이킹 (Regularization-based Superresolution Demosaicing using Aperture Mask Wheels)

  • 신정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46-153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베이어 영역에서의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컬러 영상으로 복원하기 위한 초해상도 디모자이킹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조리개 마스크 휠의 다양한 형태의 조리개 마스크로 초점 열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취득한 저해상도 영상들은 서로 다른 방향의 초점열화를 가지며 부화소 단위의 영상 정합이 필요하지 않고 단지 조리개 마스크 형태에 해당하는 초점열화만 추정하면 초해상도 영상복원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의 카메라 렌즈 시스템에 조리개 마스크 휠을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렌즈 시스템을 제작할 필요 없이 초해상도 영상을 복원할 수 있는 카메라 시스템으로 확장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조리개 마스크를 이용한 사용한 초해상도 디모자이킹 기술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존의 초해상도 영상복원과 디모자이킹 기술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공간 및 컬러 해상도가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보였다.

방향성 직사각형 열화 영상을 사용한 초해상도 영상복원 (Superresolution Restoration From Directional Rectangular Blurred Images)

  • 신정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09-11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저해상도 영상들 사이의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서로 다른 형태의 열화영상들로부터 초해상도 영상을 복원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초해상도 영상 복원을 위해서 직사각형 조리개 마스크를 90도 회전하여 두 장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렌즈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술은 저해상도 영상에서 발생한 초점열화를 프레임마다 추정할 필요가 없고, 조리개 마스크 형태에 해당하는 초점열화만 추정하면 된다. 취득한 영상 간에는 평행 이동이 없기 때문에 영상정합이 필요하지 않다. 직사각형 조리개 마스크를 직교하여 취득한 두 장만의 영상으로 충분히 배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저해상도 영상들 사이의 정합오류와 정합을 위한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 영상을 추정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기존의 카메라 렌즈 시스템에 조리개 마스크를 추가하여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렌즈 시스템을 제작할 필요 없이 초해상도 영상을 복원할 수 있는 카메라 시스템으로 확장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향성 직사각형 열화를 사용한 초해상도 영상복원 기술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존의 초해상도 영상복원 기술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해상도가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보였다.

Phase Only Pupil Filter Design Using Zernike Polynomials

  • Liu, Jiang;Miao, Erlong;Sui, Yongxin;Yang, Huaijia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1호
    • /
    • pp.101-106
    • /
    • 2016
  • A pupil filter is a useful technique for modifying the light intensity distribution near the focus of an optical system to realize depth of field (DOF) extension and superresolu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design of the phase only pupil filter by using Zernike polynomials. The effect of design parameters of the new filters on DOF extension and superresolution are discussed, such as defocus Strehl ratio (S.R.), superresolution factor (G) and relative first side lobe intensity (M).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two types of pupil filters, the proposed filter presents its advantages on controlling both the axial and radial light intensity distribution. Finally, defocused imaging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o further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and superiority of the proposed pupil filter on DOF extension and superresolution in an optical imaging system.

4차원 Light Field 영상에서 Dictionary Learning 기반 초해상도 알고리즘 (Dictionary Learning based Superresolution on 4D Light Field Images)

  • 이승재;박인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76-686
    • /
    • 2015
  • Light field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취득한 후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확장이 가능한 4차원 light field 영상은 일반적인 2차원 공간영역(spatial domain)과 추가적인 2차원 각영역(angular domain)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4차원 light field 영상을 유한한 해상도를 가진 2차원 CMOS 센서로 취득하므로 저해상도의 제약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4차원 light field 영상이 가지는 해상도 제약 조건을 해결하기 위하여, 4차원 light field 영상에 적합한 딕셔너리 학습 기반(dictionary learning-based) 초해상도(superresolutio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4차원 light field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많은 수의 4차원 패치(patch)들을 바탕으로 딕셔너리를 구성 및 훈련하며, 학습된 딕셔너리를 바탕으로 저해상도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공간영역과 각영역의 해상도를 동시에 각각 2배 향상시킨다. 실험에 사용된 영상은 상용 light field 카메라인 Lytro에서 취득하였고 기존의 알고리즘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A Method for Improving Resolution and Critical Dimension Measurement of an Organic Layer Using Deep Learning Superresolution

  • Kim, Sangyun;Pahk, Heui Jae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2호
    • /
    • pp.153-164
    • /
    • 2018
  •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ritical dimensions indicate the features of patterns formed by the semiconductor process. The purpose of measuring critical dimensions is to confirm whether patterns are made as intended. The deposition process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forms a luminous organic layer on the thin-film transistor electrode. The position of this organic layer greatly affects the luminescent performance of an OLED. Thus, a system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organic layer from outside of the vacuum chamber in real-time is desired for monitoring the deposition process. Typically, imaging from large stand-off distances results in low spatial resolution because of diffraction blur, and it is difficult to attain an adequate industrial-level measurement. The proposed method offers a new superresolution single-image using a conversion formula between two different optical systems obtained by a deep learning technique. This formula converts an image measured at long distance and with low-resolution optics into one image as if it were measured with high-resolution optics. The performance of this method is evaluated with various samples in terms of spatial resolution and measurement performance.

Packet-Reduced Ranging Method with Superresolution TOA Estimation Algorithm for Chirp-Based RTLS

  • Oh, Daegun;Go, Seungryeol;Chong, Jong-Wha
    • ETRI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361-370
    • /
    • 2013
  • In this paper, a packet-reduced ranging method using a superresolution time of arrival estimation algorithm for a chirp-based real-time locating system is presented. A variety of ranging methods, such as symmetric double-sided two-way ranging (SDS-TWR), have been proposed to remove the time drift due to the frequency offset using extra ranging packets. Our proposed method can perform robust ranging against the frequency offset using only two ranging packets while maintaining almost the same ranging accuracy as the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algorithm, the error performance of our proposed ranging method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others. The total ranging performance of TWR, SDS-TWR, and our proposed TWR are analyzed and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i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nd multipath channels in the presence of the frequency offset.

4 차원 Light Field 영상에서의 학습 기반 초해상도 알고리즘 (Learning-Based Superresolution for 4D Light Field Images)

  • 이승재;박인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97-498
    • /
    • 2015
  • 영상을 취득한 후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으로 확장이 가능한 4 차원 light field 영상은 일반적인 2 차원 공간 (spatial) 영역과 추가적인 2 차원 각 (angular)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4 차원 light field 영상을 2 차원 CMOS 센서로 취득하므로 이에 따른 해상도 제약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4 차원 light field 영상이 가지는 해상도 제약 조건을 해결하기 위하여, 4 차원 light field 영상에 적합한 학습 기반 (learning-based) 초해상도 (superresolutio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공간영역 해상도 그리고 각영역의 해상도를 각각 2 배 향상시킨다. 실험에 사용되는 영상은 상용 light field 카메라인 Lytro 에서 취득하며, 기존의 선형 보간 기법인 bicubic 기법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 PDF

Land Cover Super-resolution Mapping using Hopfield Neural Network for Simulated SPOT Image

  • Nguyen, Quang Minh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6_2호
    • /
    • pp.653-663
    • /
    • 2012
  • Using soft classific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land cover proportions from the remotely sensed image. These land cover proportions are then used as input data for a procedure called "super-resolution mapping" to produce the predicted hard land cover layers at higher resolution than the original remotely sensed image. Superresolution mapping can be implemented using a number of algorithms in which the Hopfield Neural Network (HNN) has showed some advantages. The HNN has improved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through superresolution mapping greatly with the high resolution data. However, the super-resolution mapping is based on the spatial dependence assumption, therefore it is predicted that the accuracy of resulted land cover classes depends on the relative size of spatial features and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remotely sensed image.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capability of HNN to implement the super-resolution mapping for SPOT image to create higher resolution land cover classes with different zoom factor.

Gaussian Apodization이 되어 있는 X-선 결상계의 초분해능 (Gaussian apodization and superresolution optical imaging system for soft X-ray region)

  • 송영란;이민희;이상수
    • 한국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95
    • /
    • 1996
  • Gauss pupil를 이용하는 초분해능 광학계가 .lambda.=0.013.mu.m인 연 X-선영역에서 정밀하게 취급되었다. 회절상의 적분에서 허수축방향의 선적분치가 작은 값이 된다는 것을 증명하고 이것을 무시하여 실수축 위의 선적분 만으로서 회절상을 구하였다. 이 광학게에서 회절상이 분해능에 대한 구경의 공간주파수대폭(2.omega. $_{o}$ )의 제약 조건이 없다. .omega..rarw..inf.일 때의 회절상의 중심의 강도의 e$^{-2}$ 배의 강도를 초분해능 광학계가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추가적인 조건에서 부터 .omega.$_{o}$ .geq.1/2.sigma.(.omega.$_{o}$ =12*$10^{5}$ , 1/2.sigma.=5.0*$10^{5}$ )의 조건을 얻고, 이 조건에서부터 .DELTA.x=1/2(FWHM).geq. 0.26.lambda.=0.0034.mu.의 관계식을 얻었다 (단, NA=0.25, Rayleigh resolution limit=2.lambda.). 본 연구에서 .DELTA.x=0.008.mu.m인 초분해능 연X-선 결상계를 제시하였으며 이 분해능은 Rayleigh의 분해한계 2.lambda.=0.026.mu.m보다 작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