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 yach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우드벤딩 기술을 이용한 레저선박(요트) 가구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Furniture Design for Leisure Boat (Yacht) Using Wood Bending Technology)

  • 백은;류종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6-46
    • /
    • 2017
  • Recently, the demand for marine leisure industry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five-day work week and the per capita income approaching US $ 30,000. In particular, the Republic of Korea is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and is composed of 3,150 islands and coastline. As shipbuilding infrastructure is abundant and the government is expected to actively support policies as a new growth engine, leisure boat furniture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rapidly along with leisure boat manufacturing. Therefore, in this paper, after understanding the leisure boat (yacht) and analyzing the requirements of yacht furniture, we proposed a beautiful yacht furniture design that is lightweight, durable and safe using a 120-foot super yacht that can bes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yacht furniture using wood bending technology and color variation of woods.

여름철 파워요트 실내환경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oor Environment Performances of Power Yacht in Summer Season)

  • 이한석;도근영;임덕민;김학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5-18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슈퍼요트의 쾌적한 실내환경조성을 목적으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요트가 주로 운항되는 여름철 실내공간에 형성되는 실내환경성능에 대해 실측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외부와 연결된 살롱의 문을 닫을 경우 선박배기가스의 실내유입은 거의 없으나 문을 여는 경우에는 급속히 실내공기가 오염되므로 쾌적한 실내공기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실내환기방법 및 환기량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운항 시에는 모든 실이 선원보호 소음규제치인 60dB을 넘고 있어 실내의 소음대책이 시급하다. 3) State cabin과 Guest cabin은 에어컨가동에 의해 과냉됨으로써 실내 환경이 쾌적범위를 벗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공진장치에 의한 지진해일파의 제어에 관한 수치시뮬레이션(I) (임원항과 묵호항에 대해) (Numerical Simulation on Control of Tsunami by Resonator (I) (for Imwon and Mukho ports))

  • 이광호;전종혁;김도삼;이윤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481-495
    • /
    • 2020
  • 항내로 침입하는 특정 주파수대의 파랑을 제어할 목적으로 파랑필터이론에 근거한 공진장치가 고안된 이후, 선박의 장주기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미국 Long Beach 항 J-부두와 이탈리아 로마 요트항 등지의 실해역에 공진장치가 적용된 사례가 보고되어 있다. 최근, 초장주기파 혹은 고립파로 근사된 지진해일파의 제어에 관한 공진장치의 유용성과 적용성은 확인되어 있지만, 실해역에서의 지진해일파를 대상으로 한 검토는 보고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해안에 위치한 묵호항과 임원항에 기개발된 형상의 공진장치를 적용하여 1983년 동해중부지진해일과 1993년 북해도남서외해지진해일의 작용 하에 항내에서 지진해일고의 저감율을 COMCOT 모델에 의한 수치해석으로부터 검토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묵호항에서는 최대 40%~50% 정도, 임원항에서는 최대 21% 정도의 저감율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이로부터 실해역의 지진해일파에 대해서도 공진장치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적의 공진장치를 얻기 위해서는 현장 여건 등을 고려하여 공진장치의 형상, 배치 및 크기에 관해 다각도로 검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